$\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Learning Motivati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3, 2019년, pp.271 - 283  

김우겸 (대전과학고등학교) ,  최동열 (대전과학고등학교) ,  곽승철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  김희수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교과의 지질 단원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소재 과학고등학교 1학년 91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 일부에 대하여 제작된 가상현실 학습 자료로 1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때 학습 동기 전략 ARCS를 사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 사전검사를 한 다음 수업 진행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교과 지질단원의 핵심 개념 요소가 포함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을 선택하여 가상현실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야외답사의 단점인 시간, 거리,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지구과학 교과 수업에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 요소 중 주의집중, 만족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은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 주의집중 향상에 도움이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learning materials on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 learning material for geological learning that allows obser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ocks in Korean topography that is closely rela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1학년 지구과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가상현실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교과 지질 단원에서 학습해야하는 핵심 개념 요소가 포함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을 선택하여 3D파노라마 가상현실 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지구과학 교과 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인 학습 동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S2: 교재 속 사진을 통해 설명을 듣는 것보다 가상현실을 통해 설명을 들으니 더 실감나고 자세하게 알 수 있었어요.
  • S3: 실제로 보는 것 것처럼 현장감이 있어 그 지형의 모습을 관찰하고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 S4: 가상현실이라는 새로운 환경으로 학습하니 재미있었고, 더 집중해서 학습할 수 있었어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 역량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이 제공되어야 하는가? 또한 과학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자연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갖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와 과학 학습의 즐거움 및 과학의 유용성을 인식하는데 있으며 이는 학교 교육에서 정의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학습 과제에 흥미와 필요성을 인식하고 계속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기가 제공이 되어야 한다(Kim & Le, 2015). 특히, 과학 과목은 개념과 원리 이해를 요구하는바 높은 학습 동기 유발이 일어나지 않으면 지속적인 학습과 다음 단계로의 학습 진행이 어려우며, 최근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점점 낮아져 무동기 학생들이 늘고 있는 추세로(Park, 2019)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동기적 측면을 고려한 학습 전략들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촉진된 학습 동기는 학습 효과를 높이도록 해준다(Le, 2012).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한편 미래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가상현실, 빅데이터 활용 등의 5G 서비스 환경이 주도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Park & Kim, 2015; Kely, McCain, & Jukes, 209; Lim, Ryu, & Kim, 2017).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학교 교육도 학생들이 융합적 사고와 창의성 등의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바꾸어야한다(Oh,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중 하나는 무엇인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중 하나는 일상생활 속 문제 해결에 있어서 기본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처리하여 활용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의 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데 있다(MOE, 2015). 이는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의 능력 중 교육정보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J., Kang, W., & So, K. (2012). The effects of utilization of creative techniqu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243-252. 

  2. Bae, Y., Park, P., Moon, G., Ryu, I., Kim, W., Lee, H., & Sin, S. (2018). An instructional design of STEAM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and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and attitude of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5), 593-603. 

  3. Caliskan, O. (2011). Virtual field trips in education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Journal of Faculty of Educational Sciences, 44(1), 91-92. 

  4. Cheon, J., & Kim, H. (2018). Comparison of class effect of real field trip and virtual field trip. School Science Journal, 12(3), 331-340. 

  5. Heo, J., & Lee, G. (2013).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os o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4), 345-355. 

  6. Hong, C., & Kim, Y. (2010).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experiment program on the science achievement,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creativity: Centering the chemistry unit in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2), 80-90. 

  7. Keller, J. M., & Song, S. (1999). Attractive calss design. Gyeonggi, Korea: Kyoyookbook. 

  8. Kelly, F. S., McCain, T., & Jukes, I. (2009). Teaching the digital generation: no more cookie-cutter high school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9. Kim, D., & Jeong, S. (2014). Design and application of a virtual reality based teaching model for field based learning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1), 133-142. 

  10. Kim, G., & Lee, G. (2011). Developing web-based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by using flash panorama and exploring the ways of utilization: a case of Jeju islan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2), 212-224. 

  11. Kim, J., & Kim, Y. (2011). A proposal of a teaching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event-diagram for second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in special relativit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2), 283-294. 

  12. Kim, 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in Jeokbyeokga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8(3), 205-215. 

  13. Kim. H., & Lim. C. (2019). Developing a geologic 3D panoramic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for Mudeung UNESCO global geopark, South Korea. IUGS-Episodes, 42(3), 235-244. 

  14. Kim, S., & Lee, Y. (2015). The effects of storytelling science classes applying ARCS strategy on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2), 227-239. 

  15. Kim, T., & Go, J. (2019). The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lear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5(1), 99-120. 

  16. Kwon, S., Lee, Y., Choi, S., & Kwon, Y. (2018). Learners from leveraging life sciences VR content influenced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6), 585-605. 

  17. Lee, G. (2013).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2), 162-172. 

  18. Lee, I. (2012). Development of a learning model for improvement of biology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brain motivation and reward system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9. Lim, J., Ryu, K., & Kim, B.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4(2), 5-32. 

  20. Min, G. (2018). The change of science interest in elementary scienc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2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Ministry of educatio notice 2015-74 Science and curriculum. Sejong, Korea: Author. 

  22. No, H.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program using VR contents : around the 4th grade 'Earth and Moon' unit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23. Oh, C. (2018).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effect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future core competencies. KNU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2(2), 23-58. 

  24. Park, E. (2019). Affect regulation and motivation regulation in science learning: Analysis of regulation type and phenomenological stud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5. Park, J., & Kim, B. (2015). Trends and technical requirements for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10(11), 1257-1264. 

  26. Seol, G. (2019). A study of functional connectivity and structural change of brain in VR content based life sciences learning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7. Sin, I. (2014). The effect of goal-based scenarios using virtual reality on graphicacy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8. Sung, J. (2019). An exploratory study of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as the expansion of maker education spac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9. Yun, M. (2019)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on of 3D panorama virtual reality and the geological field study sites in Maensapji, Hakseong-r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3(2), 339-3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