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1, 2011년, pp.52 - 61  

김정아 (세명대학교) ,  김인경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llect data 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but also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cculturative stress. Method: Subjects included 143 Ch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정도를 조사하고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보며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정도 및 그들 간의 관계를 보고,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적인 관점 방안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맞춤형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정도 및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고,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맞춤형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4년제 대학에 유학중인 중국인 대학생이며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총 143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결론 및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업과 문화적응의 두 가지 과제를 이뤄야 하는 유학생들에게 간호학 분야에서 신체적인 건강을 유지하게 해줌으로서 이 같은 문제에 좀 더 강한 대처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더불어 자기효능감 유학 만족도 증진을 위한 정신적인 지지 또한 해주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시켜주는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변수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중점으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고, 그 영향력을 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구마다 결과의 차이를 보이므로 지속적으로 간호학적인 관점에서 반복 연구를 시행함은 의의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앞으로 유학생들이 좀 더 많이 유입될 것을 예측한다면 현재시점에서의 반복연구 및 정확한 영향요인 규명, 그리고 제도 개선 등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학생들의 적응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서적인 부분을 지지해주는 관련 요인을 발견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맞춤형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간호중재영역 확장을 도모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9월 4일부터 9월 20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충북 J시에 위치한 일개 4년제 대학에 유학중인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의 정확성을 위해 중국어 뿐 아니라 한국어 소통도 충분히 가능한 유학생의 도움을 받아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설문지 작성 전 및 진행기간 동안 연구대상자는 어떠한 위해도 받지 않을 것이며,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이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 적응이란? 문화 적응이란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발생하는 사회ㆍ문화적 심리적 변화 현상을 말하며 현재 유학생들은 문화 부적응으로 인하여 사회심리적인 문제, 행동문제 등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Henkin et al., 2009; Sandhu & Asrabadi, 1994).
통계청(2009)의 국내 외국인 유학생자료에 따른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인구는? 우리나라 역시 이와 같은 물결로 인하여 유학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2009)의 국내 외국인 유학생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인구는 총 75,850명으로 2003년에 12,314명에 비해 약 5배정도 증가하였고 출신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70,13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별로는 중국인 유학생이 53,461명으로 전체의 70.5%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복순 (2009).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1(2), 5-32 

  2. 김광숙, 조윤희, 라진숙, 박주영 (2008).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망 및 건강습관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2(2), 211-223. 

  3. 김귀분, 석소현 (2010). 한국과 중국 중년여성의 자기효능,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2(4), 365-374. 

  4. 김선아 (2010).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7, 57-68. 

  5. 김아영, 차정은 (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51-64. 

  6. 김희경, 손연정, 이미라, 임경춘, 장혜경, 한수정, 양남영, 유명란, 고은자 (2010). 국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2(2), 143-153. 

  7.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8. 박지은 (2006).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9. 박헌일, 김기원 (2001).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계명연구논총, 19, 7-23. 

  10. 오가실, 오경옥, 이숙자, 김정아, 정추자, 김혜령, 전화연, 강정희 (2008). 한국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6), 881-890. 

  11. 이난, 김헌수 (2008).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23(2), 77-97. 

  12. 이동영(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3. 이수범, 김동우 (2009).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 47-79. 

  14. 이수연 (2009).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조기유학생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매개 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6(2), 45-62. 

  15.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지, 22(3), 589-607. 

  16. 이승종 (1996).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교육연구, 9, 157-176. 

  17. 이영휘, 이영자 (2005). 대학생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생활적응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5(4), 664-671. 

  18. 임춘희 (2009).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문화에서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93-112. 

  19. 통계청 (2009, september 4). 유학생 통계, from http://www.index.go.kr/ 

  20. 하정희 (2008).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0(2), 473-496. 

  2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2. Brandt, P. A., & Weinert, C. (1981) The PRQ - 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30. 277-280. 

  2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24. Constantine, M. G., Okazaki, S., & Utsey, S. O. (2004) Self-concealment, social self-efficacy,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n African, Asian, and Latin Americ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4(3), 230-241. 

  25. Greenland, K., & Brown, R. (2005). Acculturation and contact in Japa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Kingdom.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5(4), 373-389. 

  26. Guo, R., Deng, S., Liang, J., & Yan, Y. (2009). Influence of family factors on self-effica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Baise City. Journal of Hygiene Research, 38(3), 320-322. 

  27. Henkin, S., Tucker, K. L., Gao, X., Falcon, L. M., Qawi, I., & Brugge, D. (2009). Association of depression, psychosocial stress and acculturation with respiratory disease among puerto rican adults in Massachusett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DOI 10.1007/ s10903-009-9307-y. 

  28. Khan, A., & Husain, A. (2010).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strength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Reports, 106(2), 534-538. 

  29. McGinley, M., Carlo, G., Crockett, L. J., Raffaelli, M., Stone, R. A., & Iturbide, M. I. (2010). Stressed and helping: the relations among acculturative stress, gender, and prosocial tendencies in Mexican American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50(1), 34-56. 

  30. Pan, J. Y., Wong, D. F., Joubert, L., & Chan, C. L. (2008). The protective function of meaning of life on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Australia and Hong Kong: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7(2), 221-231. 

  31. Sandhu, D. S., & Asrabadi, B. R. (1994).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75, 435-4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