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Aged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5 no.1, 2011년, pp.28 - 37  

이정인 (혜천대학 간호과) ,  김순이 (혜천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examined influencing factors on death anxiety in the aged. Method: This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10, from357 older home-dwelling adults. The questionnaires solicited information on death anxiety, family function, morale, health be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 가족기능, 사기, 건강행위, 자아통합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가족기능, 사기, 건강행위, 자아통합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대도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357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부터 6월까지이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 가족기능, 사기, 건강행위, 자아통합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가족기능, 사기, 건강행위, 자아통합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죽음불안은 죽는 과정과 죽을 때 겪어야 할 고통에 대한 두려움, 죽은 다음 미지의 세계에 대한 불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대부분의노 인들은 죽음에 대해 불안과 수용의 복합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데 노년기의 심리적 불안들은 죽음불안과 깊은 관련이 있다(Hooyman & Asuman, 2002).
  •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주제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과 가족 기능, 건강행위, 사기,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가족기능, 건강행위, 사기,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및 제도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죽음불안연구에서 자아통합감, 경제와의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인 삶의 사기를 진작시킬 여러 가지 대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해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통합이란? 자신을 완전히 수용하는 자아통합은 노년기 삶의 중요한 개념으로 자기의 과거 및 현재의 인생을 바라던 대로 살았다고 받아들이고 만족스럽게 여기고 의미 있게 생각하며 앞으로 다가올 죽음을 인정하고 기다리는 태도를 갖는 것을 말하는데(Choi, 2007) 이러한 맥락에서 노년기 중요한 발달 과업인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관련성을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다.
죽음불안이 포함하는 개념은? 이러한 죽음불안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미지에 대한 두려움, 자기의 소멸, 죽어가는 과정, 타인에 대한 의존, 고통을 인내할 수 없는 무능력, 혼자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 등 다양한 측면을 내포하고 있고 일상적인 삶 가운데 경험하는 생의 마지막 단계나 순간에 대한 두려운 정서나 생각이며 불안만이 아니라 공포, 걱정, 불편함 등까지 포함한다(Circirelli, 2001).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노인들은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또 노인에게 죽음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노인들도 다른 어떤 연령과 마찬가지로 불안하고 분노하고 부정하기도 한다(Choi et al.
노인들이 활발한 신체활동과 능동적인 사회참여를 통해 건강하고 긍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제언한 것은? 첫째, 다양한 사회 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권 대상자로 죽음불안의 비교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죽음불안에 대한연구를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zo, O., Tunca, A., & Simsek, Y. (2009). The effect of death anxiety and age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A terrormanagement theory perspective. The Journal of Psychology, 143(4), 377-389. 

  2. Choi, J. H., Shin, H. C., Choi, H. L., Kim, B. S., & Won, J. W. (200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1(6), 994-1005. 

  3. Choi, W. S. (2007). A study on the elderly'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755-773. 

  4. Choi, Y. H., & Kim, S. Y. (1997).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int tool of the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3), 603-613. 

  5. Choi, Y. H., et al. (2007). The elderly and Health. Seoul : Hyunmoonsa. 

  6. Circirelli, V. G. (2001). Personal meaning of death in older adults and young adults in relation to their fears of death. Death Studies, 25, 663-683. 

  7. Collett, L. J., & Lester, D. (1969).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dying. Journal of Psychology, 72, 179-181. 

  8. Erikson, E. H. (1964). Childhood and society, 2nd(Ed). New York : Norton. 

  9. Furer, P., & Walker, J. R. (2008). Death anxiety: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Quarterly, 22(2), 167-182. 

  10. Havighust, R. J. (1977).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A book of readings. Barry, J. R. & Wingrove, C. R. (eds), New York: Schenman. 

  11. Hooyman, R. N., & Asuman, K. H. (2002). Social gerontology, 6th(Ed). Allyn and Bacon. 

  12. Jang, H. I. (2007).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social support is degree of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13. Kim, K. H., Kim, H. S., & Park, K. S. (2005).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self-esteem, and lonelines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7(2), 200-207. 

  14. Kim, J. S. (1989). A study of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of the ag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Y. S., & Kim, J.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275-289.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10). The Autumn of future population. Retrieved January 12, 2011, from http://www.nso.fo.kr 

  17.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Simon & Shuster, Inc 

  18. Kuhn, K., & Janosik, E. H. (1980). Establishment of a family function. New York : McGraw Hill Book Company. 

  19. Lawton, M. P. (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0, 85-89. 

  20. Madnawat, A. V. S., & Kachhawa, P. S. (2007). Age, gender, and living circumstances: Discriminating older adults on death anxiety. Death Studies, 31, 763-769. 

  21. McDowell, I., & Newell, C. (1996). Measuring health. New York.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2. Moon, A. L. (1996). Moral among Korean American elders living alone with a spouse only and its correlat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6(1), 96-109. 

  23. Park, J. Y. (2007). Influencing factors on death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Ajou, Suwon. 

  24. Pender, N. J. (1990). Expressing health through lifestyle patterns. Nursing Science Quarterly, 3(3), 115-122. 

  25. Seo, G. S. (2008). Health behavior in the aged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1201-1212. 

  26. Sim, M. K.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f death among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usan, Pusan, Korea. 

  27. Sohn, H. H. (2004). An ecological approach to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in Kangseo-ku, Kangnam-ku, Seou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2), 77-92. 

  28. Suh, H. K. (1987). A study on behavior of death of Korean elde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7. 39-59. 

  29. Walsh, F. (200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O. K. Yang, M. O. Kim, & M. M. Choi, Trans). Seoul: NaNam. 

  30. Yoo, Y. G. (2004).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orale of the elderly stay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2), 297-3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