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262 - 269  

권영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영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출한 충청남도 소재 2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노인대학에 등록된 자로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18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94(${\pm}0.3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죽음과정의 불안 3.06(${\pm}0.32$)점, 사후죽음의 불안 2.88(${\pm}0.51$)점, 존재상실의 불안 2.75(${\pm}0.43$)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특성에 따른 전체 죽음불안수준은 여성노인이 남성보다(t=125.39, p=.001), 나이가 적을수록(F=1.16, p=.003), 경제수준이 낮을수록(F=3.36, p=.000), 가족관계가 좋을수록(F=0.43, p=0.34), 종교가 있는 경우(t=125.39, p=.000)에 죽음불안이 높았다. 죽음불안은 우울할수록(r=.192, p=.009), 영적안녕이 낮을수록(r=-.234, p=.002) 삶의 질이 낮을수록(r=-.190, p=.009) 높았으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우울, 영적안녕으로 경제상태(${\beta}=-.36$, p=.00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0.3%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death anxiety. The subjects did not have an impaired cognitive function, and were from one Chungcheongnamdo 2 district in the elderly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187 elderly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과 죽음불안의 관계 분석 및 영향요인을 밝힘으로써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노인인구 현황과 향후 예측은?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회적 지지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2010년 65세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1.3%로 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였으며, 2035년에는 65세 이상 독거 노인 가구 수가 전체 가구의 45%에 달할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4].
65세 이상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연구대상은 편의표출한 충청남도 소재 2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노인대학에 등록된 자로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18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94(${\pm}0.3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죽음과정의 불안 3.06(${\pm}0.32$)점, 사후죽음의 불안 2.88(${\pm}0.51$)점, 존재상실의 불안 2.75(${\pm}0.43$)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특성에 따른 전체 죽음불안수준은 여성노인이 남성보다(t=125.39, p=.001), 나이가 적을수록(F=1.16, p=.003), 경제수준이 낮을수록(F=3.36, p=.000), 가족관계가 좋을수록(F=0.43, p=0.34), 종교가 있는 경우(t=125.39, p=.000)에 죽음불안이 높았다. 죽음불안은 우울할수록(r=.192, p=.009), 영적안녕이 낮을수록(r=-.234, p=.002) 삶의 질이 낮을수록(r=-.190, p=.009) 높았으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우울, 영적안녕으로 경제상태(${\beta}=-.36$, p=.00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0.3%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고령사회에서 노인 문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개인과 사회가 아무런 준비 없이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대부분이 독거노인으로[5] 독거노인의 경우 가족의 경제적 도움, 보호, 간병등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없으며 고독, 빈곤, 질병 등의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M. Lee, Translation, 1998, Philippe Aries, L'homme devant la mort, Paris: seuil, 1983. 

  2. S. Y. Kim, A study on the cultural experience of death and rituals between Korean women and Married Female Immigrants,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15. 

  3. 'Well-dying' Law, enforemen since 2018. a target and requirement?, JTBC 2016-01-09, http://news.jtbc.joins.com, accessed June, February, 4, 2015. 

  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uture household estimate report. 2014, http://kosis.kr. 

  5. K. J. Lee, E. Lee, Factors Affecting Spiritual Well-being in Underprivileged Older Women Living Alone,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8, No. 4, pp. 538-546, 2011. 

  6. J. K. Lee, J. H. Kim, A Study on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Vol. 14, No. 3, pp. 191-211, 2013. 

  7. K. M. Lee, K. S. Kyung, Ethnography Case Study on the Village Community of the Elderly Dy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5, No. 2, pp. 509-524, 2015. 

  8. Y. S. Kim, J. M,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1, pp. 275-289, 2009. 

  9. D. H. Lim, Study of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Practical Wellbeing on Death Anxiety among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Vol. 2, No. 2, pp. 33-51, 2014. 

  10. H. R. Kim, Comparison of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0, No. 1, pp. 13-27, 2014. 

  11.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Issue No. 11-1351000-000316-12). Seoul: Author. 2012, pp. 303. 

  12. H. K. Kim, H. J. Lee, S. M.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279-292, 2010. 

  13. K. M. Nam,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2, pp. 325-348, 2011. 

  14. C. S. Rim, G. S. Jang, M. S. Jeong,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22, pp. 193-224, 2013. 

  15. Y. D. Song, J. A. Son, S. M. Park, An analysis of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643-660, 2010. 

  16. I. K. Seo, H. C. Cho,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on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Fami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1, pp. 135-162, 2013. 

  17. J. N. Soh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1, No. 2, pp. 118-126, 2012.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2.118 

  18. H. R. Kim, E. H. Kim,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Oth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1, pp. 463-477, 2014. 

  19. I. K. Seo, Y. S. Le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nvironment and Suicidal Idea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Do No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9, pp. 383-415, 2015. 

  20. M. S. Song,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1. 

  21. J. H. Kang, A Investigat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996. 

  22. Y. S. Kim, A study on the living arrangement, hous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4. 

  23. M. N. Oh, A study o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home and in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03. 

  24. W. S. Choi, A Study on the Elderly'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7, No. 4, pp. 755-773, 2007. 

  25. J. I. Lee,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Middle Aged,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6. No. 3, pp. 572-580, 2012.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572 

  26. K. E. Chang,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49, No. 49, PP. 267-286, 2010. 

  27. M. Y. Chung, K. S. Cha, O. H. Cho,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3, pp. 367-374, 2015.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367 

  28. J. I. Lee, S. Y. Kim,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Aged,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5. No. 1, pp. 28-37, 2011. 

  29. S. Y. Kim, J. I. Lee, Self-transcendence, Spiritu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3, pp. 480-489, 2013.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