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잡곡인 조, 기장, 수수에 대하여 핀밀을 이용한 분쇄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제분하여 이들에 대한 항산화성분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핀밀로 분쇄한 경우 평균 입자직경은 각각 102.12, 89.52 및 $102.25\;{\mu}m$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는 각각 9.43, 9.52 및 $10.18\;{\mu}m$로 핀밀에 비해 10배 이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분쇄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지방 함량은 저온초미분쇄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저온초미분쇄보다 핀밀분쇄 시료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gamma}$-oryzanol 함량은 조에서 핀밀 및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각각 116.07 및 $145.30\;{\mu}g$/g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수율은 저온초미분쇄 시료가 핀밀 분쇄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탄닌 함량은 대체적으로 분쇄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58 및 15.03 mg/g ER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henolic compound를 정량 분석한 결과 조는 pyrogallol, gallic acid, (+)-catechin, salicylic acid, ferulic acid, rutin 등이, 기장은 pyrogallol, rutin, gallic acid, kaempfrol, salicylic acid 등이, 수수는 (+)-catechin, salicylic acid, pyrogallol, myricetin, hesperidin, chlorogenic acid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시료 추출물이 각각 178.10 및 251.56 mg TE/g ER로 핀밀분쇄 시료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방법에 따른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검정한 결과 항산화성분은 대체적으로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약간 높은 함량으로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항산화활성은 수수와 기장에서 저온초미분쇄 시료 추출물이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of foxtail millet (FM), proso millet (PM), and sorghum (SG) using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pin mill and ultra fine). The particle size of the FM, PM, and SG were 102.12, 89.52, and $102.25\;{\mu}m$, re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식품의 분말화에 대한 연구는 Kim 등(10)의 모형 식품분말의 흡습특성 등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11,12), 분쇄가공기술에 대한 연구는 분쇄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쌀가루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보고(13)하였고 Lee 등(14) 또한 분쇄기 종류에 따른 보리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와 Kum 등(15)의 분쇄기 종류를 달리한 쌀가루 및 제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잡곡인 조, 기장, 수수에 대하여 핀밀을 이용한 분쇄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이들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Each value is mean±SD (n=3).
  • 3)Each value is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장의 주성분은? 기장(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의 주성분은 당질이고 쌀에 비해 소화율은 떨어지나, 단백질, 지방질, 비타민 A 등이 풍부하고 떡을 만들면 소화율이 향상된다(1). 수수(sorghum, Sorghum bicolor L.
식품을 분쇄를 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분쇄를 하는 공정에서는 보통 동력의 98% 이상이 분쇄장치의 운전과 분쇄조업에서 마찰열과 소음으로 소모되고 불과 2% 미만이 분쇄물의 표면적 증가에 기여한다(6,7). 이때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품온이 상승하고 열에 불안전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열에 민감한 성분의 연화 또는 융해가 일어날 수 있다(8,9). 따라서 분쇄기를 선정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크기와 특성, 분쇄 후 입자크기, 입도분포, 분쇄온도 등과 같은 품질요소와 소음, 분진, 제조원가 등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6,7).
수수에 다량 함유된 유효성분은? 수수(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는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식량자원(2)으로 쌀, 보리, 밀, 옥수수에 이어 중요한 잡곡으로 식이섬유,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3), phenolic compounds의 대부분은 flavonoid로 알려져 있다(4). 율무(adlay, Coix lacryma-jobi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2. Chang HG, Park YS. 2005. Effects of waxy and normal sorghum flours on sponge cake properties. Food Eng Prog 9: 199-207. 

  3.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63-369. 

  4.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5. Cha YJ, Lee SY. 2005. Cytotoxicity and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extracts from gamma-irradiated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s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13-618. 

  6. Lee JW, Seo CH, Chang KS. 200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63-369. 

  7. Seo CH, Lee JW, Kim NM, Do JH, Yang JW, Chang K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with different mill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70-374. 

  8. Song JC, Park HJ. 1997. New food processing. Yulin Publishing, Seoul, Korea. p 105-120. 

  9. Kang SH. 1995. Powder technology. Sci Tech Media, Seoul, Korea. p 160-167. 

  10. Kim DW, Chang KS, Lee UH, Kim SS. 1996.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model food pow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46-1150. 

  11. Park DJ, Ku KH, Kim SH. 1996.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fraction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 air-class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97-505. 

  12. Ko JW, Lee WY, Lee JH, Ha YS, Choi YH. 1999.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28-137. 

  13. Park YK, Seog HM, Nam YJ, Shin DH. 198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04-510. 

  14. Lee YT, Seog HM, Cho MK, Kim S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rinding mi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78-1083. 

  15. Kum JS, Lee SH, Lee HY, Kim KH, Kim YI. 1993.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46-551. 

  16.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7.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18. Rogers EJ, Rice SM, Nicolosl RJ, Carpenter DR, McClelland CA, Romanczyk LJ. 1993.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gamma$ -oryzanol components and simultaneous assessment of tocopherols in rice bran oil. J Am Oil Chem Soc 70: 301-307. 

  19.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 Han MR, Kim AJ, Lee SJ, Kim MH. 2008. Investig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potato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Food Eng Prog 12: 44-48. 

  21. Han MR, Kim AJ, Chang MJ, Lee SJ, Kim HS, Kim MH. 2009.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Food Eng Prog 13:335-340. 

  22. Han MR, Chang MJ, Kim MH.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rice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60-166. 

  23. Xu Z, Hua N, Godber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gamma$ -oryzanol components from rice bran against cholesterol oxidation accelerated by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J Agric Food Chem 49: 2077-2081. 

  24. Wennermark B, Ahlmen H, Jagerstad M. 1994. Improved vitamin E retention by using freshly milled whole-meal wheat flour during drying. J Agric Food Chem 43: 1348- 1351. 

  2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26.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27.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8.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α-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9.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0.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24-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