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삼 제조과정 중 증포 횟수에 따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lack Ginseng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156 - 162  

김효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연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보람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란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재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남기열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문병두 ((주)고려바이오 홍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근을 제거한 피부직삼을 흑삼제조 시 구증구포의 각 증별로 얻어진 인삼을 주정으로 추출한 추출물의 품질학적 특성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피부직삼의 증포 횟수가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였으며, 흡광도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4회째부터 크게 증가하여 갈색도가 진해졌다. 벤조피렌 분석 결과 8증과 9증에서 0.04 ppb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Rg1 및 Rb1 함량은 증포 횟수에 따라 19.07 mg/g에서 1.70 mg/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흑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DPPH radical 소거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으로 분석하였으며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IC_{50}$값은 피부직삼이 14.09 mg/mL, 1회 증포 시 12.20 mg/mL, 3회 증포 시 7.63 mg/ mL, 9회 증포 시 3.12 mg/mL로 증포 과정이 증가할수록 $IC_{50}$값은 4.5배 감소하였으며, FRAP value는 피부직삼으로 흑삼 제조 시 증포 횟수의 증가에 따라 155.6% 증가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각각 피부직삼 51.12%, 1회 증포 69.34%, 9회 증포 84.13%로 증포 과정이 반복될수록 증가하였다. Hydroxyl radical $IC_{50}$ 측정값은 1회 증포 31.24 mg mL, 9회 증포 3.04 mg/mL로 증포 횟수가 증가할수록 hydroxyl radical $IC_{50}$ 값이 9.7배 감소하였다. Total phenol 함량은 1회 증포 시 0.61 mg/mL, 6회 증포 시 0.79 mg/mL, 9회 증포 시 0.83 mg/mL로 total phenol 함량이 증포 횟수의 증가에 따라 126% 증가하였다. 따라서 피부직삼을 이용하여 흑삼 제조 시 증포를 9회 반복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은 78~155.6% 증가하였는데, 이는 phenol 함량이 168%까지 증대된데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ginseng prepared by nine repeated steaming-drying cycles. Ethanol extracts from each cycle of ginseng showed 33.5~41.0% of yields, 36.2~44.5% of moisture content and $64\sim66^{\circ}Brix$ of soluble solids. A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흑삼 제조시 시루를 이용하여 찌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직삼을 증삼기를 이용하여 구증구포 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항산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성분은 어떻게 되는가? Meyer)은 한의학적으로 기허 (氣虛) 사용되는 중요한 보기약(補氣藥) 중의 하나이며,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많은 한방의서에서 체력 증강, 소화기, 신경, 대사, 순환기 계통 등의 기능 조절을 위한 단미제 또는 복방제의 주요 구성생약으로 이용되어 왔다(1,2). 인삼의 성분은 탄수화물(60~70%), 함질소화합물(12~16%), 사포닌(3~6%), 지용성성분(1~2%), 회분(4~6%), 비타민(0.05%) 등을 함유하고 있다(3). 인삼 제품 중 수삼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인삼을 말하며, 백삼은 4년근 이상의 수삼을 원료로 하여 표피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원형 유지 제품을 뜻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열을 가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화학 변화를 받은 것이다(4).
인삼 제품 중에서 새로운 원형 삼류 신제품인 흑삼은 어떻게 제조되는가? 최근에는 ginsenoside의 함량을 더 증강시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흑삼이라는 새로운 원형 삼류 신제품이 개발되어 인삼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흑삼은 한약재 수치법 중의 하나인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원리를 이용해 수삼을 9번 찌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조된 것으로 색깔은 흑색을 띤다(5). 흑삼은 수삼의 새로운 가공인삼으로 화학성분은 ginsenoside Re, Rf, Rg1, Rg2, Rh1 함량이 백삼 홍삼보다 증가되며, 열처리에 의해 ginsenoside Rg1, Rg2, Rh1, Rh2등은 홍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6).
인삼 제품에는 무엇이 있는가? 05%) 등을 함유하고 있다(3). 인삼 제품 중 수삼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인삼을 말하며, 백삼은 4년근 이상의 수삼을 원료로 하여 표피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원형 유지 제품을 뜻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열을 가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화학 변화를 받은 것이다(4). 최근에는 ginsenoside의 함량을 더 증강시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흑삼이라는 새로운 원형 삼류 신제품이 개발되어 인삼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am KY. 1996. Choishin Corea Insam. Chonil Press, Seoul, Korea. p 4-79. 

  2. Kim HJ, Hwangbo MH, Lee JW, Im HG, Lee IS. 2007. Antioxidant effects of ginseng powder on liver of benzo ( $\alpha$ )pyrene-treated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17-221. 

  3. Kong BR, Park MJ, Min JW, Kim HB, Kim SH, Kim SY, Yang DC.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fermented and red ginseng extracts. J Ginseng Red 32: 238-234. 

  4. Kim KY, Shin JK, Lee SW, Yoon SR, Chung HS, Jeong YJ, Chio MS, Lee CM, Moon KD, Kown JH. 2007. Quality and functional preparations of red ginseng prepared with different steaming time and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94-499. 

  5. Jo EJ, Kang SJ, Kim AJ. 2009. Effects of steam-and dry-processing temperatures on the benzo(a)pyrene content of black and red ginseng. Korean J Food & Nutr 22: 199-204. 

  6. Rho SS, Park JH. 2008. The effects of Ginseng radix preparata extract on anti-thrombotic activity. J East West Medicine 2: 47-61. 

  7. Kim EK, Lee JH, Cho SH, Shen GN, Jin LG, Myung CS, Oh HJ, Kim Dh, Yun JD, Roh SS, Park YJ, Seo YB, Song GY. 2008. Preparation of black Panax ginseng by new methods and its antitumor activity. Kor J Herbology 23: 85-92. 

  8. Kim SN. 2008. Study on ginsenoside patterns on the steam processing of Korean ginseng and hypoglycemic action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of 9 time-steamings ginsengs. PhD Dissertation. Joongbu University, Chungnam, Korea. 

  9.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rn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0. Shin YM, Son CW, Sim JH, Kim MR.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added yogur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8-75. 

  1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2.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V.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13. Kim DY. 1973. Studies on the browning of red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16: 60-77. 

  14. Han ST, Whang WK, Kim IH, Yang BW. 2005. Analysis of ginsenoside of black ginseng. Yakhak Hoeji 49: 490-494. 

  15. Jay HL, Wiliam JB, Franco B, Robert F, Charles RG, Michael K, Dietrich S, Giuseppe V. 1984. Patterns of lung cancer risk according to type of cigarette smoked. Int J Cancer 33: 569-576. 

  16. Kulkarmi MC, Anderson MW. 1984. Persistence of benzo( a)pyrene metabolite: DNA adducts in lung and liver of mice. Cancer Res 44: 97-101. 

  1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Korean Food Standard Codex. Vol 10, p 48-51. 

  18. Woo KS, Song DS, Lee JS, Lee HB, Jeong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with presoaking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89-294. 

  19.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 Med Crop Sci 16: 112-117. 

  20.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1. Kim DW, Lee YJ, Min WJ, Kim YJ, Rho YD, Yang DC. 2009. Conversion of acidic polysaccharide and phenolic compound of changed ginseng by 9 repetitive steaming and drying process, and its effects of antioxid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3: 121-126. 

  22. You JK, Chung MJ, Kim DJ, Seo DJ, Park JH, Kim TW, Choe M. 2009.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92-296. 

  23. Park JC, Cha JY, Lee CH, Doh ES, Kang IH, Cho YS. 2009.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nascus- fermented Korean red ginseng. Journal of Life Science 19: 1553-1561. 

  24.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25. Seo HS, Chung BH, Cho YG.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agrimony (Agrimonia pilosa L.) and Chinese lizardtail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 Med Crop Sci 16: 139-143. 

  26.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Rho J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82-1485. 

  27. Chung SK. 1997. Hydroxy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28. Manian R, Anusuya N, Siddhyraju P, Manian S. 2008.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 Ficus bengalensis L. and Ficus racemosa L. Food Chem 107: 1000-1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