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308 - 315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임상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박유화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함헌주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이광재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박동식 (국립농업과학원) ,  김경희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산물이용시험장) ,  김성문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alpha}$-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collected from wild plants in Gangwon-do. 90 wild plants were collected and their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Results of measuring ${\alpha}$-amylas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 90종을 이용하여 α-amylas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여 혈당 강하 및 항비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산채류를 선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α-glucosidase, α-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자생 산채 90종을 대상으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 하여 향후 혈당상승 억제제로 활용될 수 있는 소재를 선발 및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채는 무엇인가? 산채는 사람에 의해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에 반해 자연 그대로 산야에 자생하는 식물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산에서 자생하는 식·약용 식물은 대략 120과 350속으로 한국산 관속식물 4,500여종 중에서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산채는 32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2).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α glucosidase, α-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을 연구하여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항비만 활성 탐색은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α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 추출물 2종, α-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채류는 일반 야채류들과 비교하여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산에서 자생하는 식·약용 식물은 대략 120과 350속으로 한국산 관속식물 4,500여종 중에서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산채는 32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2). 산채류의 영양적인 효능으로는 일반 야채류들보다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3), 약리적인 효능으로는 항돌연변이성(4,5),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6,7), 간기능 개선(8,9), 항산화(10-12), 항비만(13-15), 항당뇨(16), 항균(17), 항염(18,19) 효과 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산채의 맛과 영양 그리고 생리활성은 급변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산채를 이용한 기능성 탐색 및 식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h SJ, Hong SS, Kim YH, Koh SC.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in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1: 12-18. 

  2.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tary Culture 5: 59-68. 

  3. Kim YD, Yang WM. 1986.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wild vegetabl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Nutr 15: 10-16. 

  4. Ham SS, Lee SY, Choi M, Hwangbo HJ. 1998.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effects of woorimil wheat flour extracts added with wild herb and seaweed p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77-1182. 

  5. Hwangbo HS, Ham SS. 199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ster scaber root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65-1070. 

  6. Bae JH, Yu SO, Kim YM, Chon SU, Kim BW, Heo B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ctivity of cancer cell. J Bio-Environment Control 18: 67-73. 

  7.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8. Kim HS, Kim GJ, Kim HS. 1998. Effect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on lipid components of liver and liver function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Food Nutr 11: 312-318. 

  9. Whang TE, Lim HO, Lee JW. 1999. Effect of fermented (Oenanthe stolonifera DC) extract of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liver function of alcohol-administered rats and mice. Korean J Med Crop Sci 7: 107-114. 

  10. Noh KS, Yang MO, Cho EJ. 200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8-12. 

  11. Heo SJ, Yang MO, Cho EJ. 2001. Analysi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k meat products added with pla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456-463. 

  12.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3. Kim EY, Jung EY, Lim HS, Heo YR. 2007. The effects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plasma adiponectin, resistin, C-reactive protein and homocysteine level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Korean J Nutr 40: 303-311. 

  14. Lim SS, Lee JH. 1997.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hypocholesterolamic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3-129. 

  15. Lee HJ, Chung MJ, Kim DJ, Choe M. 2009.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Coicis lachryma-jobi L. var., and Plantaginis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key enzyme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16-1521. 

  16. Choi J, Kim WB, Nam JH, Park HJ. 2007. Anti-diabetic effec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rat. Korean J Plant Res 20: 362-366. 

  17. Moon YG, Choi KS, Lee KJ, Kim KY, Heo MS. 2006.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164-169. 

  18. Koh YJ, Park YK, Kim YS, Cha DS, Choi HD. 2009. Preparation of hot water extracts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1-395. 

  19. Park JC, You YB, Lee JH, Kim NJ. 1994.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the components from some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Nutr 23: 671-674. 

  20. Egede LE, Ellis C. 2010. Diabetes and depression: global perspectives. Diabetes Res Clin Pract 87: 302-312. 

  21.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22. Han HK, Je HS, Kim GH. 2010.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powder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43-349. 

  23. Kim SG, An GH, Yoon SW, Lee YC, Ha SD. 2003. A study on dietary supplement to reduce obesity by the mechanism of decreasing lipid and carbohydrate absor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9-526. 

  24. Jang YS, Jeong JM. 2010.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39-1445. 

  25. Fuwa H. 1954. A new method for microdetermination of amylase activity by the use of amylose as substrate. J Biochem 41: 583-603. 

  26. Houghton PJ, Soumyanath A. 2006.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yllanthus amarus. J Ethnopharmacol 107: 449-455. 

  27. Wang HZ, Chang CH, Lin CP, Tsai MC. 2006. Using MTT viability assay to test the cytotoxicity of antibiotics and steroid to cultured porcine corneal endothelial cells. J Ocular Pharm Therapeutics 12: 35-43. 

  28.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29. Lee BB, Park SR, Han CS, Han D,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30. Kim JS, Kwon CS, Son KH, Kim JI. 2000.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me wild vegetable extracts. J Food Sci Nutr 5: 174-176. 

  31. Watanabe J, Kawabata J, Kurihara H.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ochu-cha.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77-178. 

  32. Park JH, Baek MR, Lee BH, Yon GH, Ryu SY, Kim YS, Park SU, Hong KS. 2009.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ion activity of compounds from roots extract of Pueraria thunbergiana. Korean J Med Crop Sci 17: 357-362. 

  33. Lee SJ, Kim CH. 2007. Inhibitory effects of Artermisia capillaris Thumb. on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Korean J Med Crop Sci 15: 128-131. 

  3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4. Screening of plant sources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digestive enzymes and its application to development of weight-control foods. Report o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p 57-68. 

  35.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 Park HS,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36. Choi HJ, Kang JS, Choi YW, Jeong YK, Joo WH. 2008. Inhibitory activity on the diabetes related enzym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419-424. 

  37. Borgstom B. 1986. Luminal digestion of fat. In The Exocrine Pancreas: Biology, Pathobiology, and Disease. 1st ed. Raven press, New York, NY, USA. p 361-373. 

  38. Woo SE, Kwon JH, Yang SY, Park HY, Kim HK. 2008. Development of egg yolk antibody specific to the pancreatic lipase domain for anti-obes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299-306. 

  39.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