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주거의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 and Improvement of the Studio Type Urban Lifestyle Housing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0 no.2 = no.85, 2011년, pp.156 - 166  

조민정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io type urban lifestyle housing was recently introduced as a new urban multi-housing typology. It was particularly created to meet the increasing housing demand of one-person households due to the population change and the shortage of housing supply. However, some concerns have been raise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사례의 주거계획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특히 주거의 다양성, 대지의 환경조건과 도시 맥락에 대한 대응, 거주자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측면에 문제점이 노출되어 이에 대한 계획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계획은 철근 콘크리트의 벽식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단위 세대의 분리가 고정되어 있다.
  • 그러나 정부의 정책 방향이 기존 공동주택의 건설, 공급기준 완화를 통한 소형 공동주택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도시형 생활주택의 무분별한 양산과 도시 주거환경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최근 소형 공동주택 시장에서 1인가구의 주거유형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주거의 계획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시공 현안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건설적 발전방안을 공유함으로써 도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계획 및 제도적 정책 제고를 유도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사업성 위주의 개발 또한 기존의 원룸형 주거유형을 답습하는 계획수준을 요구하여 다양한 디자인 시도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주거의 향후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유사 주거유형에 대한 국외 선진 사례들의 계획적, 제도적 시사점을 예로 들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계획적 측면에서는 건물의 배치와 단위세대 공간구성의 다양성 확보, 인접 건물의 대응과 자연조건의 유입을 확대하는 공간계획을 제안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최근 소형 공동주택 시장에서 1인가구의 주거유형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주거의 계획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시공 현안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건설적 발전방안을 공유함으로써 도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계획 및 제도적 정책 제고를 유도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IG Architects, BIG, Archilife, NY, 2010 

  2. Lane, Barbara M, Housing And Dwelling: Perspectives on Modern Domestic Architecture, 1st ed., Routledge, NY, 2006 

  3. Norberg-Schultz, Christian, The Concept of Dwelling, 거주의 개념, 구상적 건축을 향하여, 이재훈, 중판, 태림문화사, 서울, 1992 

  4. 국토해양부.한국주거학회, 미래주거환경 변화와 미래주택건설 방안 연구, 한국주거학회, 2008.12 

  5. 국토해양부, 도시형 생활주택 가이드, 국토해양부, 2010.3 

  6. 변미리 외 3,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7. 김혜련,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공급유형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10.8 

  8. 김진욱 외 2, 도시형 생활주택의 계획방향 및 설계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12 

  9. 신상영,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5권 제4호, 2010.8 

  10. 유해연.심우갑, 도시형 생활주택의 계획특성 연구: 단지형 다세 대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통권259 호, 2010.5 

  11. Concept, Vol.85, 월간 현대건축, CA현대건축사, 서울, 2006.5 

  12. Space, No.503, 공간사, 서울, 2009.10 

  13. El Croquis 139: Sanaa Sejima Nishizawa 2004-2008, English and Spanish ed., El Croquis, NY, 2008.4 

  14. 법제처, http://www.moleg.gov.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