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십전대보탕 발효물의 성분 분석 및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The Study on Compounds of the Fermented Sipjundaebo-tang and its Neuroprotective Activity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5 no.2, 2011년, pp.121 - 126  

양혜진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 ,  원진배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 ,  마진열 (한국한의학연구원) ,  마충제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pjundaebo-tang was a well-known restorative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that used to treat anemia, anorexia, fatigue and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bioconversion of compounds in the Sipjundaebo-tang (SJ) and fermented Sipjundaebo-tang with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 (F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4-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십전대보탕을 발효 균주,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확립된 십전대보탕 HPLC 동시 분석법에 적용하여 십전대보탕의 8종 지표성분의 함량 변화를 발효 전과 비교 분석하였다. 8종 지표성분은 십전대보탕을 구성하는 12종의 생약의 지표 성분 중, 5-HMF(숙지황), paeoniflorin(작약), ferulic acid(천궁), cinnamaldehyde(육계), decursinol(당귀), 6-gingerol(생강), decursin(당귀), glycyrrhizin(감초)을 선정하였다(Fig.
  • 30분 간 반응시킨 후, micro 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OD(optical density) 값을 측정하였다. 17) 십전대보탕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DA(%)(Electron donating activity)값으로 평가하였다. EDA(%) 값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19,20) HT22 세포의 보호 활성 평가는 glutamate로 인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세포 보호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MTT assay를 통해 실시하였다. 생쥐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는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oC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 12,13) 또한 쥐를 통한 십전대보탕에 대한 독성 연구결과 안전한 물질로 보고 되었다. 21,22) 본 연구에서는 십전대보탕에 대한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발효균주, Lactobacillus acidophilus KFRI 164를 통해 생물전환하였고 십전대보탕 발효 제제와 비교하여 성분변화,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대해 분석하였다. HPLC-DAD 분석법을 이용하여 SJ와 FSJ의 8종 지표성분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전환에 의해 SJ의 생리활성물질이 새로운 화합물로 전환되거나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실시하여 십전대보탕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여섯 가지 농도(0.
  • HT22 세포를 48 well plate에 6.7×104 cells/well로 각 300 µl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십전대보탕 시료(10, 100 µg/ml)와 trolox를 30 µl씩 처리하였으며, 1시간 배양 후 glutamate 30 µl씩 처리하였다.
  •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를 MRS(de Man, Rogosa and Sharp) broth 배지에 접종한 후 37o C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2회 계대 배양 한 후, 이를 각각의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위와 동일한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초기균를 1~5×107CFU/ml로 맞춰 희석하여 발효균으로 사용하였다.
  • 최적화된 이동상의 조건은 Table I에 제시되어 있다. UV 파장 검출의 각 지표 성분의 최대 UV 흡수 파장 값을 바탕으로 하여 paeoniflorin, 6-gingerol, 그리고 decursin은 230 nm, glycyrrhizin은 254 nm, 5-HMF는 280 nm, ferulic acid, cinnamaldehyde 그리고 decursinol은 300 nm로 설정하여 각 지표 성분의 해당 파장에서의 피크 면적 값을 측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십전대보탕 시료는 무게를 정확히 칭량하여 60% methanol에 10 mg/ml의 농도로 녹인 후, 0.
  • 1). 그리고 발효에 의한 생물전환 전후의 십전대보탕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십전대보탕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 분석에 사용된 십전대보탕 시료는 무게를 정확히 칭량하여 60% methanol에 10 mg/ml의 농도로 녹인 후, 0.45 µm membrane filter를 사용하여 여과한 뒤 20 µl씩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 분석은 SHISEIDO C18 column(5 µm, 250×4.60 m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column의 온도는 35oC를 유지하였다.
  • 25 mM ABTS 용액 30 µl와 1 U/ml의 peroxidase 30 µl를 넣고 37oC에서 10분 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십전대보탕의 hydrogen peroxide(H2O2) 소거 활성은 EDA(%) 값을 통해 평가하였다.
  • 여섯 가지 농도(0.25, 0.35, 0.50, 0.75, 1.00 그리고 1.25 mg/ml)의 십전대보탕 시료 용액 150 µl에 0.4 mM DPPH 용액 150 µl을 처리하여, 실온의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 인체 내 DNA의 손상 및 세포의 지질과산화를 촉진시켜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ydrogen peroxide의 소거 정도를 측정하여 SJ와 FSJ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Fig. 4). EDA(%) 값을 비교한 결과 FSJ가 SJ보다 최대 14.

대상 데이터

  • 14-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십전대보탕을 발효 균주,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확립된 십전대보탕 HPLC 동시 분석법에 적용하여 십전대보탕의 8종 지표성분의 함량 변화를 발효 전과 비교 분석하였다. 8종 지표성분은 십전대보탕을 구성하는 12종의 생약의 지표 성분 중, 5-HMF(숙지황), paeoniflorin(작약), ferulic acid(천궁), cinnamaldehyde(육계), decursinol(당귀), 6-gingerol(생강), decursin(당귀), glycyrrhizin(감초)을 선정하였다(Fig. 1). 그리고 발효에 의한 생물전환 전후의 십전대보탕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십전대보탕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 각 지표 성분의 순도는 97% 이상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위한 water와 methanol은 HPLC용 특급 용매로, trifluoroacetic acid(TFA)는 분석용 등급의 용매로 각각 J.T. Baker(USA)와 (주)대정화금에서 구입하였다.
  • HT22 cells는 서울대학교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에 사용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fetal bovine serum(FBS)은 Gibco (Invitrogen C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 분석에 사용된 지표 성분 중에서 hydroxymethylfurfural (5-HMF), ferulic acid 그리고 cinnamaldehyde은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그리고 6-gingerol, decursin 및 glycyrrhizin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확보하였으며, paeoniflorin과 decursinol은 각각 Wako(Japan)와 (주)엘컴사이언스에서 구입하였다. 각 지표 성분의 순도는 97% 이상을 나타냈다.
  • 본 연구에 사용한 HPLC는 Dionex사의 시스템으로, pump(LPG 3X00), auto sampler(ACC-3000), column oven(TCC-3000SD), diode array UV/VIS detector(DAD-3000(RS))로 구성되어있다. 분석은 SHISEIDO C18 column(5 µm, 250×4.
  • 본 연구에 사용한 십전대보탕 시료(3.0 g)와 십전대보탕의 발효에 이용한 균주,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는 각각 한국한의학연구원과 한국식품개발원으로부터 확보하였다. HT22 cells는 서울대학교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에 사용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fetal bovine serum(FBS)은 Gibco (Invitrogen Co.
  • 활성 검색에 사용된 L-glutamic acid monosodium salt hydrate(Glutamat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2,2-diphenyl-1-pik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thiazolin)-6-sulfonicacid(ABTS), 6-hydr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boxylic acid(trolox) 그리고 (+)-sodium L-ascorbate는 모두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지표 성분 중에서 hydroxymethylfurfural (5-HMF), ferulic acid 그리고 cinnamaldehyde은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그리고 6-gingerol, decursin 및 glycyrrhizin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확보하였으며, paeoniflorin과 decursinol은 각각 Wako(Japan)와 (주)엘컴사이언스에서 구입하였다.
  • 19,20) HT22 세포의 보호 활성 평가는 glutamate로 인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세포 보호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MTT assay를 통해 실시하였다. 생쥐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는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oC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T22 세포를 48 well plate에 6.
  • 60 m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column의 온도는 35oC를 유지하였다. 이동상으로는 water(A)와 0.1% trifuoroactic acid(TFA) methanol(B)을 이용하였으며, 이동상의 유속은 1.0 ml/min으로 하였다. 최적화된 이동상의 조건은 Table I에 제시되어 있다.
  • ,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활성 검색에 사용된 L-glutamic acid monosodium salt hydrate(Glutamat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2,2-diphenyl-1-pik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thiazolin)-6-sulfonicacid(ABTS), 6-hydr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boxylic acid(trolox) 그리고 (+)-sodium L-ascorbate는 모두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지표 성분 중에서 hydroxymethylfurfural (5-HMF), ferulic acid 그리고 cinnamaldehyde은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데이터처리

  • glutamate에 대한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은 relative protection(%)로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는 ANOVA test를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 SJ와 FSJ의 glutamate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의 보호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SJ는 glutamate 단독 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세포 보호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FSJ는 100 µg/ml에서 56.
  • 십전대보탕의 hydrogen peroxide(H2O2) 소거 활성은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6-sulfonicacid(ABTS)-peroxidase 평가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8) 여섯 가지 농도(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십전대보탕은 원기회복제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어느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는가? 9,10) 십전대보탕은 이러한 한방제제의 하나로 예로부터 원기회복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식욕부진 및 빈혈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뇌신경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활성 연구가 보고 되어 있다.
Glutamate란 무엇인가? Glutamate는 중추신경계의 주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excitatory neurotransmitter)로 뇌가 손상을 받으면 glutamate는 세포 내 유입이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세포 외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Glutamat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독성이 유발되면서 경쟁적으로 cysteine의 흡수가 억제된다.
십전대보탕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최근에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뇌신경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활성 연구가 보고 되어 있다. 11-13) 대한약전외한약 생약 규격집에 따르면 십전대보탕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백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 복령(Poria cocos Wolf), 당귀(Angelica gigas Nakai),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대추(Zizyphus jujube var. inermis Mill.),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그리고 감초(Glycyrrhiza glabra L.)로 구성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uoma, O. I. :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AOCS 75, 199 (1998). 

  2. Coyle, J. T. and Puttfarcken, P. : 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689 (1993). 

  3. Valko, M., Rhodes, C. J., Moncol, J., Izakovic, M. and Mazur, M. :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 (2006). 

  4. Satoh, T., Enokido, Y., Kubo, T., Yamada, M. and Hatanaka, H. : Oxygen toxicity induces apoptosis in neuronal cells. Cell. Mol. Neurobiol. 18, 649 (1998). 

  5. Smith, C. D., Carney, J. M., Starke-Reed, P. E., Oliver, C. N., Stadtman, E. R., Floyd, R. A. and Markesbery, W. R. : Excess brain protein oxidation and enzyme dysfunction in normal aging and in Alzheimer disease. Proc. Natl. Acad. Sci. U.S.A. 88, 10540 (1991). 

  6. Fonnum, F. : Glutamate: a neurotransmitter in mammalian brain. J. Neurochem. 42, 1 (1984). 

  7. Hara, J., Gerashchenko, D., Wisor, J. P., Sakurai, T., Xie, X. and Kilduff, T. S. :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increases behavioral arousal through modulation of hypocretin/orexin neurons. J. Neruosci. 29, 3705 (2009). 

  8. Kim, H.-J., Kim, J.-H., Son, E.-S., Lee, J.-M. and Park, H.-R. : Neur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root bark of morus alba on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neuronal cells. J. Life. Sci. 19, 963 (2009). 

  9. Liang, Y. Z., Xie, P. and Chan, K. : Quality control of herbal medicines. J. Chromatogr. B. 812, 53 (2004). 

  10. Normile, D. : The New Fac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cience 299, 188 (2003). 

  11. Heo, J. Y., Kim, B. S. and Kang, J. S. : Study on Antioxidant Action of Sipjeondaebo-tang. Kor. J. Orient. Physiol. Pathol. 17, 356 (2003). 

  12. Ryu, J. Y., Yun, J. M., Cho, K. H. and Moon, B. S. : Effects of Sipjeondaebo-Tang on oxidative stress of C6 glial cells. Kor. J. Orient. Physiol. Pathol. 18, 1120 (2004). 

  13. Lee, M.-Y., Ma, J.-Y., Choo, Y.-K. and Jung, K.-Y. : protection of spontaneous and glutamate-induced neuronal damages by Soeumin Sibjeundaibo-tang and Soyangin Sibimijihwang-tang in cultured mice cerebrocortical cells. Orient. Pharm. Exp. Med. 1, 55 (2000). 

  14. Hyon, J.-S., Kang, S.-M., Han, S.-W., Kang, M.-C., Oh, M.-C., Oh, C.-K., Kim, D.-W., Jeon, Y.-J. and Kim, S.-H. :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J. Kor. Soc. Food Sci. Nutr. 38, 1310 (2009). 

  15. Park, H. Y., Um, Y. R. and Ma, J. Y. :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substance in fermented rehmanniae radix preparata. Kor. J. Pharmacogn. 41, 58 (2010). 

  16. Doh, E.-S., Chang, J.-P., Lee, K.-H. and Seong, N.-S. :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Kor. J. Med. Crop Sci. 18, 255 (2010). 

  17.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H., Sakai, M. and Hara, Y. :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1, 885 (1996). 

  18. Muller, H. E. :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 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l. Mikrobiol. Hyg. 259, 151 (1995). 

  19. Satoh, T., Ishige, K. and Sagara, Y. :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cells of mouse afforded by ebselen against oxidative stress at multiple steps. Neurosci. Lett. 371, 1 (2004). 

  20. Maher, P. and Davis, J. B. : The role of monoamine metabolism in oxidative glutamate toxicity. J. Neurosci. 16, 6394 (1996). 

  21. Ma, J. Y., Huang, D. S., Lee, N. H., Ha, H. K., Yu, Y. B. and Shin, H. K. : Acute toxicity study on sipjeondaebo-tang in rat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2, 1192 (2008). 

  22. Han, S.-B., Shin, H.-T., Park, H.-M. and Lee, S.-D. : Sibjeondaebotang and Yugmijihwangtang's toxicological effects on pregnant rats. Kor. J. Oriental Prev. Med. Soc. 11, 15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