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비만도에 따른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성장발달상태 비교연구
Comparison of Growth from First to Sixth Grade Based on the Obesity Index of Six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3, 2011년, pp.212 - 221  

문현경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윤미옥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장민정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growth based on the obesity index in sixth grade. Heights and weights of 141 students from first to sixth grades were collected from school records. Other information was gathered by survey, and the weight length index (WLI) was calculated.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 아동들의 1학년 때부터 6학년 때까지 성장변화를 고찰하여 6학년 때의 비만도별로 초등학교 6년 동안의 성장변화를 비교하여 학동기 초기의 신체 발달과 6학년 때의 비만도가 어떤 연관 관계가 있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런 자료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의 전반적인 식생활 교육 시기 및 비만 예방 교육 시기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학동기 때의 체격은 대부분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계속되기 때문에 학동기 때의 건강은 평생건강의 밑바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을 6학년 현재의 신체계측치을 바탕으로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으로 체격의 범위를 분류하고 과거 이들의 신체발달의 성향, 즉 현재 체격의 유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1학년 때부터 5학년 때까지 각 대상자들의 비만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비만도군은 모든 학년에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의 빈도 분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중 부족현상이 어린시기에 위험한 이유는? 한편 영양섭취 편중에 의한 영양불균형과 미량영양소 섭취 부족 뿐만 아니라 최근 사회적으로 비만에 대한 관심과 날씬 함에 대한 기준이 마른 체형으로 변질되어감에 따라9) 젊은 층에서는 왜곡된 신체상을 동경하게 되고 이는 부적절한 체중 조절 또는 식이섭취 행위로 이어져 아동들에게도 결식과 저체중 등의 건강상태를 위협하는 현상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0,11)성장기 때 체중부족이 심각하면 저항력 감소와 성장이 지연이 나타날 수 있으며 피로와 소화기계 질환 등의 질병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학동기 같은 어린 시기의 체중 부족현상을 간과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또한 지금까지 여러 보고에 따르면 소아비만은 식습관 및 생활양상뿐 아니라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에 영향을 받는다.
학동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학동기는 일생 중에 신체적·정신적 성장발육이 가장 활발한 만 7세부터 12세까지의 초등학교 시기1) 로, 골격, 근육, 지방, 혈액 등의 체조직 증대를 지속하며 이러한 발육기에 있는 아동에게는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 시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다지고 정서적이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므로 이때의 영양불량이나 과잉 등은 성장의 지연뿐만 아니라 정서발달이나 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동기 시기에 적절한 영양공급이 중요한 이유는? 학동기는 일생 중에 신체적·정신적 성장발육이 가장 활발한 만 7세부터 12세까지의 초등학교 시기1) 로, 골격, 근육, 지방, 혈액 등의 체조직 증대를 지속하며 이러한 발육기에 있는 아동에게는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 시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다지고 정서적이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므로 이때의 영양불량이나 과잉 등은 성장의 지연뿐만 아니라 정서발달이나 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o S, Baek SK, Cheon MJ. Nutrition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remote villages of Gaesan-gun in Chung Buk province. J Korean Home Econ Assoc 1990; 28(1): 43-56 

  2. Ku JO, Mo SM, Lee JW, Choi HM. Special nutritional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1993. p.166-243 

  3. Lee YN, Kim WG, Lee SK, Chung SJ, Choi KS, Kwon S, Lee EW, Mo S.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lunch program, in socioeconomically high apartment compound of Seoul. Korean J Nutr 1992; 25(1): 56-72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2 

  5. Chung SJ, Kim CI, Lee EW, Mo S, Han CW.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out a school lunch program, in a low income group of Seoul. 1. A study on anthropometry and biochemical test. Korean J Nutr 1990; 23(7): 513-520 

  6. Chung YJ, Han JI. Prevalence of obesity, living habits and parent's characteristic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Taejon city. Korean J Nutr 2000; 33(4): 421-428 

  7. Lee MH. A study on status of dietary behavior by school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6 

  8. Kim HR. A strategy for child and adolescent health promotion: Nutrition, overweight and obesity. Health Welf Policy Forum 2008; 141: 20-31 

  9. Kim YK, Shin WS.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153-163 

  10. Seung JJ, Kim MH, Kim MH, Kim BY, Kim SK, Kim AJ, Kim YH, No SR, Sung MK, Lee YK, Lee JS, Jung BM, Choi MK, Choi SH, Han KH, Hong JI. Diet therapy: Theory and practice, Kwangmoonkag; 2003 

  11. Lee YS, Park HS, Lee MS, Sung MK, Park DY, Choi MK, Kim MH, Sung CJ. A study of nutrient intake, serum lipid and lepti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 in Kyunggi area. Korean J Nutr 2002; 35(7): 743-753 

  12. Kim JW. Study on an actual condition and relevant factors of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eongw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4 

  13. Shin Y. A review of childhood obesity.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5; 11(2): 240-245 

  14. Ku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Life cycle nutritional science. Seoul: Hyoil; 2006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Growth Standards Committe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standard; 2007 

  16. Oh SW. Current status of childhood obesity in Korea and countermeasure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olices, strategies, and programs by KFDA and KHIDI; 2010. p.39-54. 

  17. DuRant RH, Linder CW. An evaluation of five indexes of relative body weight for use with children. J Am Diet Assoc 1981; 78:(1) 35-41 

  18. Chang YK, Jung YJ, Moon HK, Yoon JS, Park HR. Nutritional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Shinkwang Publishing Co.; 2008 

  19. Park HR, Kim SL, Ha AW.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change in degree of obesity among priv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Nat Sci 1996; 13: 130-136 

  20. Moon HK, Chung HR, Kim YC. A study on anthropometric data of 5th grade students. II. Comparisons between underweight and overweight group by BMI. Korean J Nutr 1987; 20(6): 405-411 

  21. Shin EM, Yoon EY. A study on nutrients intake, physical and biochemic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aejon. J Korean Diet Assoc 1998; 4(2): 212-224 

  22. Kim EK, Moon HK. A comparison of the past physical growth,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by obesity index of six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Suppl): 475-485 

  23. Park MA, Moon HK, Lee KH, Suh SJ. A study on related risk factors of obesity for primary school children: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obese group. Korean J Nutr 1998; 31(7): 1158-1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