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의 1702년 강하화산재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1702 Fallout-ash from the Mt. Baegdusa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0 no.4 = no.66, 2011년, pp.243 - 250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정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화산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1702년의 역사기록을 화산학적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분화지점인 백두산으로부터 140 km 떨어진 2 장소에서의 강하화산재의 등층후선을 설정하여 경험식에 의하여 계산된 분출물의 최소량은 $1.2km^3$로 1702년의 백두산 분화 사건은 화산폭발지수 5에 해당하는 대규모 분화였다. 플리니안 분화에 의한, 열기를 가진 화산재구름이 바람의 영향 하에 지면 가까이 낮은 고도로 이동하면서 강하화산재가 발생 퇴적된 것을 잘 묘사하고 있다. 향후 분화에 대비하여 역사기록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한 화산의 특성 이해가 절실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ical eruption record in 1702 from the volcanological point of view, which is presumed to have occurred from Mt. Baegdusan volcano. The minium volume of erupted materials is estimated to be $1.2km^3$ when calculated with an empirical formula using an isopa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문서 해석의 결과에서 1702년에 백두산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분화가 있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에(町田,1998), 조선 숙종대왕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서기 1702년의 강화화산재 사건 기록에 대해 화산학적 분석을 해 보고자 한다. 이 기록은 한국, 중국, 일본의 연구자들이 모두 백두산의 분화 기록으로 해석하였다(윤성효와 최종섭, 1996; 윤성효와 이정현, 2011a, 2011b; 이정현과 윤성효, 2011; 町田, 1998; Wei et al.
  • 이 경우 원거리에서 정밀 지진계를 통한 관측이나 위성을 이용한 지표변화에 대한 원격 관측 방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셋째로는 화산의 과거 분화이력을 조사 분석하여 분화 특성과 성질을 파악함으로서 미래의 분화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의 역사시대 분화기록은 어떻게 되는가? 최근 들어 분화의 전조현상을 보이고 있는 백두산은 총 10여 회의 역사시대 분화기록을 가지고 있다. 즉 939년, 946~947년, 1014~1019년, 1199~1201년, 1401년, 1403년, 1405년, 1406년, 1597년, 1668년, 1673년, 1702년, 1903년 등의 분화기록이 정신공기, 일본기략,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장백산강강지략 등에 남아있다(표 1)(윤성효와 최종섭, 1996).
백두산 동사면에 황회색 강하부석층을 퇴적시킨 1702년 백두산 분화에서, 윤성효 등의 해석과 그에 대한 고찰은 어떠한가? 윤성효 외(2011)는 강하화산재를 발생시킨 것을 화쇄 난류(pyroclastic surge: Calder et al., 1999; Blousov et al., 2002)로 해석하였으나, 화쇄난류는 대개 수십 km 이내의 거리 밖에 이동하지 못하므로 백두산에서 140 km 떨어진 지역에 나타난 열기를 화쇄난류로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분화구에서 발생한 열기를 가진 화산재 구름이 바람의 영향 하에 낮은 고도로 운반된, 즉 바람에 의해 수정된 강하화산재 (wind-modified fall)로 해석할 수 있다(Scasso et al., 1994; Wilson and Hildreth, 1998).
백두산은 어떤 화산체인가? 백두산은 신생대 올리고세에 간헐적으로 시작된 화산활동으로부터 마이오세~플라이오세의 거대한 틈새 분화에 의한 현무암 용암대지의 형성 및 플라이스토세의 중심분화에 의한 장백산 순상화산체 형성, 그 이후 후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의 조면암질 성층화산체 형성 그리고 최후의 칼데라 형성 단계를 거치면서 만들어진 복식화산체이다(윤성효 외, 1993; Wei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朴 建, 林權, 2010, 白頭火山の歷史時代噴火について, 白頭山火山とその周邊地域の地球化學(谷口宏充 編), 東北アジア硏究セセンタ叢書, 41, 113-122. 

  2. 소원주, 윤성효, 1999, 백두산 화산의 홀로세 대분화 연구:개관, 한국지구과학회지, 20(5), 534-543. 

  3. 안중배, 김 준, 류찬수, 박선기, 서명석, 이화운, 정일웅, 정형빈, 2009, 대기과학, 시그마프레스, 255-256, 602p. 

  4. 윤성효, 원종관, 이문원, 1993, 백두산 일원의 신생대 화산활동과 화산암류의 특성 고찰, 지질학회지, 29(3), 291-307. 

  5. 윤성효, 2011, 백두산 대폭발의 날, 해맞이출판사, 

  6. 윤성효, 이정현, 2011a, 백두산 화산의 1702년 분화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연구. 2011년 한국지구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초록), 공주 공주대학교, 4월 15일, 23-24. 

  7. 윤성효, 이정현, 2011b, 백두산 천지화산의 1702년 분화 기록 해석. 2011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논문집(초록), 목포 신안비치호텔, 4월 27-29일, 119p. 

  8. 윤성효, 이정현, 정희윤, 2011, 백두산 화산의 1702년 분화 기록에 대한 해석 연구. 2011 추계지질과학연합 학술발표회 초록집(초록),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10월 26-29일, 172p. 

  9. 윤성효, 최종섭, 1996, 백두산 천지 칼데라 화산의 역사 분출기록. 한국지구과학회지 17, 376-382. 

  10. 이순환, 윤성효, 2011, 백두산 화산분출물 확산 예측에 대기흐름장 평균화가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2(4), 360-372. 

  11. Belousov, A., Voight, B., Belousov, M. and Petukhin, A., 2002, Pyroclastic surges and flows from the 8-10 May 1997 explosive eruption of Benymianny volcano, Kanchatka, Russia, Bulletin of Volcanology 64, 455-471. 

  12. Calder, E.S., Cole, P.D., Dade, W.B., Druitt, T.H., Hoblitt, R.P., Huppert, H.E., Ritchie, L., Sparks, R.S.J. and Young, S.R., 1999, Mobility of pyroclastic flows and surges, at the Soufriere Hills Volcano, Montserra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6(5), 537-540. 

  13. Fierstein J, and Nathenson M., 1992, Another look at the calculation of fallout tephra volumes. Bulletin of Volcanology, 54, 156-167. 

  14. Hayakawa, Y., 1985, Pyroclastic geology of Towada volcano. Bulletin of Earthquake Research lnstitute, University of Tokyo, 60, 507-592. 

  15. Horn, S. and Schmincke, H.-U., 2000. "Volatile emission during the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China/North Korea) ca. 969 AD". Bulletin of Volcanology, 61(8), 537-555. 

  16. 町田洋.新井房夫.森脇廣, 1981, 日本海を渡ってきたテフ ラ. 科學, 51, 562-569. 

  17.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18. 町田洋.光谷拓廣, 1994, 中國.北朝鮮國境における長白山の噴火年代にする樹木年輪年代學的硏究(中間報告). 地學雜誌, 103, 424-425. 

  19. 町田洋, 1998, 寫眞でみる火山の自然史. 東京大學出版, 119-128. 

  20. 宮本毅, 菅野均志, 奧野充, 那須浩郞, Miroslaw Makohonienko, 2010, 白頭山 10世紀巨大噴火以降の噴火史の再檢討, 白頭山火山とその周邊地域の地球化學(谷口宏充 編), 東北アジア硏究セセンタ一叢書, 41, 123-141. 

  21. Newhall, C.G. and Self, S., 1982, The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An estimate of explosive magnitude for historical volcan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7, 1231-1238. 

  22. Pfeiffer, T., Costa, A. and Macedonio, G., 2005, A model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ephra fall deposit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40, 273-294. 

  23. Scasso, R.A., Corbella, H. and Tiberti, P., 1994, Sedimentological analysis of the tephra from the 12-15 August 1991 eruption of Hudson volcano, Bulletin of Volcanology, 56, 121-132. 

  24. 下鶴大輔, 荒牧重雄, 井田喜明, 1995, 火山の事典, 583p. 

  25. Wei, H., Taniguchi, H., Miyamoto, T., and Jin, B., 2007, Stratigraphic sequences and magmatic cycles of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The report of North East Asian Studies, 11, 173-194. 

  26. Wei, H., Wang, Y., Jin, J., Gao, L., Yun, S.-H., Jin, B., 2007, Timeless and evolution of the intracontinental Tianchi volcanic shield and ignimbrite-forming eruption,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Lithos, 96, 315-324. 

  27. Williams, H., 1941, Calderas and their origin, California University Publication Geological Science, 25, 239-346. 

  28. Wilson, C.T.N. and Hidreth, W., 1998 Hybrid fall deposits in the Bishop Tuff, California : A novel pyroclastic depositional mechanism, Geology, 26, 7-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