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0 no.2, 2011년, pp.247 - 261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  김선희 (신라대학교) ,  김수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기연 (이화여자대학교) ,  김부미 (원광대학교) ,  윤수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윤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an inventory which can measure the affective achievement in mathematical learning especially targeted to Korean students. By using EFA and CFA, the six affective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uch as learning directivity, self control, anxiety, interest, c...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고정화 외 (2008).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5-3. 

  2. 김경희?김수진?김미영?김선희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3. 김명화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58(pp. 3-20). 

  4. 김부미 (1996). 교사변인과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선희?김기연 (2011).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6. 남상엽 (1999). 수학적 신념 및 태도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선화?김명화?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세미나자료집(연구자료 ORM 2010-58). 

  8.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1), 19-31. 

  9. 유지윤 (2000). '흥미존중교육'에 내재된 흥미개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순묵 (1990). 공변량구조분석. 서울:성원사. 

  11. 이종희?김부미 (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12. 이종희?김선희 (2005). Vygotsky 이론에 근거한 수학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도구 개발. 학교수학 7(3), 253-268. 

  13. 정구향?조영미?이대현?이봉주 (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1-4. 

  14. 정원식 (2001). 인간의 동기. 서울: 교육과학사. 

  15. 최인선 (1999).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생의 수학에 관련된 태도 비교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III). 한국교육개발원. RM92-05-02. 

  17. 허선영 (1998). 수준별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Aiken, L. R. (1974). Two Scales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5, 67-71 

  19.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1. Bentler, P. M., & Bennett, D. G. (1980). Significant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22.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23.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Newbury Park, CA: Sage, pp.136-162. 

  24. DeBellis, V., & Goldin, G.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31-147. 

  25. Chen, S.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beliefs and performance: a study of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Beijing and New York.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6.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6(1), 31(Ms.No.1225). 

  27. Furinghetti, F., & Moselli, F. (2009). Every unsuccessful problem solver is unsuccessful in his or her own way: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pro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0(1), 71-90. 

  28. Hannula, M. (2004). Introduction. PME 28th Conference, vol.1, 107-109. 

  29. Hannula, M. (2006a). Motivation in mathematics: Goals reflected in Emo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65-178. 

  30. Hannula, M. (2006b). Affect i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Towards integration of emotion, motivation, and cognition. In J. Maas, W. Schloeglamann (Eds.), New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9-232. 

  31. Kloosterman, P., & Stage, F. K. (1992). Measuring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2(3), 109-115. 

  32.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33. Medsker, G. J., Williams, L. J., & Holahan, P. J. (1994). A review of current practices for evaluating causal models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0, 439-464. 

  34.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ouwe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NY, 575-596. 

  35. Mullis, I. V. S., Martin, M. O., & Foy, P. (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Mathematics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 MA: Boston College. 

  36.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First Result from PISA 2003. 

  37. OECD (2009).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38.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39. Sandman, R. (1974).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s and user's man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148-149. 

  40. Schoenfeld, A, H. (1989). Explorations of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behavio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0(4), 338-355. 

  41. Schunk, D. H. (1984).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y, 19, 48-58. 

  42. Zimmerman, B, J., & Martinez-Ponz,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84-290. 

  43.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44. Zimmerman, B. J., & Schunk, D. H. (1989).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 Verla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