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연구 - Perry의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를 기반으로 -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ventory based on Perry Scheme and Langer's Mindfulness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4, 2017년, pp.775 - 793  

이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지현 (인천대학교) ,  최영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차원의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행동 의도, 정서적 차원의 감정으로 개념화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인지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마인드풀니스의 하부구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 이론을 고찰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검사도구는 수학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암기하는 수학 교수학습 상황을 진단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분석적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struments were developed to measure of mathematics attitudes by conceptualizati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as a cognitive dimension, mindfulness as a conative dimension, affect as an affective dimension. Perry's epistemological development scheme and Langer's mindfulness theor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인지적, 능동적, 정서적 차원을 포함한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에 있어 시기의 중요성을 주장한 여러 연구들 (Aiken, 1976; 이종희, 김선희, 2010;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을 참조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교과서나 교사가 정(定)한 답을 절대적 정(正)답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데 치중하는 수학 교수학습 상황을 고찰하고, 이를 반영한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차원의 ‘인식론적 신념(Epistemological beliefs) 2) ’과능동적(conative) 차원의 ‘행동 의도(behavioural intention)’ 그리고 정서적 차원의 ‘감정(emotion)’을 포괄하여 개념화하였다(Ajzen, 1988; Triandis, 1971).

가설 설정

  • 셋째,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 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학에 대한 태도의 개념화가 학교수학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학에서 태도의 정의는? 교육학에서 ‘태도’는 특정 대상에 대한 개인의 일관적이고도 지속적인 반응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태도는 선천적이기 보다는 학습되어 내재되는 특성이 있다(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이와 같은 관점에서 Fishbein과 Ajzen(1975)은 수학에 대한 태도를 수학적 경험의 누적 결과로서, 수학에 대한 개인의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반응으로 정의한다.
교육학에서의 태도의 특성은? 교육학에서 ‘태도’는 특정 대상에 대한 개인의 일관적이고도 지속적인 반응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태도는 선천적이기 보다는 학습되어 내재되는 특성이 있다(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이와 같은 관점에서 Fishbein과 Ajzen(1975)은 수학에 대한 태도를 수학적 경험의 누적 결과로서, 수학에 대한 개인의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반응으로 정의한다.
Perry는 인식론적 신념을 발달도식으로 구조화하여 어떤 네 위치로 구분하였는가? Perry는 학생들의 사고를 지배하는 패러다임인 인식론적 신념을 발달도식으로 구조화하여,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지식과 학습에 대한 신념을 기술하였다(Perry, 1968, 1970, 1997).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수준은 크게 이원론(dualism) - 다수 주의(multiplicity) - 맥락적 상대주의(relativism) -상대주의에서의 헌신(Commitment) 네 위치로 구분된다(Perry,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김민강(2003). 수학영재의 신념, 태도 및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부미(1996). 교사변인과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부미, 김수진(2012).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 1229-1252. 

  4.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9, 2010-9. 

  5. 백수연(1999). 성취수준에 따른 남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상경아, 곽영순, 박지현, 박상욱(2016).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5 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 2016-15-1. 

  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8. 양명희. (2004). 태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경험적 접근: 수학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2, 619-641. 

  9. 윤성경(2004).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수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규희, 이지현, 최영기(2016).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4), 683-700. 

  11. 이민찬; 길양숙(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情意)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A-수학교육, 37(2), 147-158. 

  12.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종희, 김부미(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14. 이종희, 김선희(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 759-785. 

  15. 이종희, 김선희, 김수진, 김기연, 김부미, 윤수철, 김윤민(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A-수학교육, 50(2), 247-261. 

  16. 이환철, 김형원, 이지혜, 이현숙, 고호경(2017).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학교수학, 19(2), 267-287. 

  17. 임성환, 황우형(2010).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E-수학교육 논문집, 24(2), 415-444. 

  18. 임효신(2015).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0. Ahire, S. L., & Devaraj, S. (2001). An empirical comparison of statistical construct validation approache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48(3), 319-329. 

  21. Aiken Jr, L. R. (1970).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4), 551-596. 

  22. Alro, H., & Skovsmose, O. (1996). On the right track.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6(1), 2-22. 

  23. Ajzen, I. (1988).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Open University Press, Milton Keynes. 

  24.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25.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26. Bodner, T. E., & Langer, E. J. (2001, June). Individual differences in mindfulness: the mindfulness/ mindlessness scale. In Poster presented at the 13th annual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Convention, Toronto, Ontario, Canada. 

  27.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822-848. 

  28.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36-162. 

  29. Buehl, M. M. (2003). At the crossroads of epistemology and motivation: Modeling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s'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achievement motivation, and task performance. 

  30. Crocker, L., & Algina, J.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6277 Sea Harbor Drive, Orlando, FL 32887. 

  31. Di Martino, P., & Zan, R. (2001, August).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ome theoretical issues. In PME CONFERENCE, 2, 3-351. 

  32. Diaz-Obando, E., Plasencia-Cruz, I., & Solano-Alvarado, A. (2003). The impact of beliefs in student's learning: An investigation with students of two different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4(2), 161-173. 

  33. Eagly, A. H., & Chaiken, S. (1993). The psychology of attitudes.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34. Fishbein, M. &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5. Flores, A. (2006). How do students know what they lear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s tru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3), 124-132. 

  36. Frank, M. L. (1988).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Beliefs. Arithmetic teacher, 35(5), 32-34. 

  37. Garofalo, J. (1989). Beliefs and their influence on mathematical performance. The Mathematics Teacher, 82(7), 502-505. 

  38. Hofer, B. K., & Pintrich, P. R. (1997). The development of epistemological theories: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their relation to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7, 88-140. 

  39. Hofer, B. K. (2001). Personal epistemology research: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4), 353-383. 

  40. Langer, E. (1990). 마음챙김. (이양원 역). 서울: 동인. 

  41. Langer, E. (2011). 마음의 시계. (변용란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42. Langer, E., Hatem, M., Joss, J., & Howell, M. (1989). Conditional teaching and mindful learning: The role of uncertainty in educ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3), 139-150. 

  43. Langer, E. J. (1993). A mindful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8(1), 43-50. 

  44. Langer, E. J. (2000). Mindful learn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6), 220-223. 

  45. Langer, E. J., & Moldoveanu, M. (2000).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Journal of social issues, 56(1), 1-9. 

  46. Langer, E. J., Piper, A. I. (1987). The prevention of mindless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2), 280-287. 

  47. Langer, E., Hatem, M., Joss, J., & Howell, M. (1989). Conditional teaching and mindful learning: The role of uncertainty in educ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3), 139-150. 

  48. Lim, S. Y., & Chapman, E. (2013). Development of a short form of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vento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1), 145-164. 

  49. Maio, G., & Haddock, G. (2014). The psychology of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Sage. 

  50. Ma, X., & Kishor, N. (199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 metaanalysi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47. 

  51. McLeod, D. B. (1987).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research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21st PME, 1, 133-140. 

  52. Muis, K. R. (2004). Personal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3), 317-377. 

  53.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Y: McGraw Hill. 

  54. Perry, W. G., Jr. (1968).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ought and values of students in a liberal arts college: A validation of a scheme. Cambridge, MA: Bureau of Study Counsel, Harvard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24315) 

  55. Perry, W. G., Jr. (1970).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A scheme.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56. Perry, W., & Chickering, A. (1997). Cognitive and ethical growth: The making of meaning. College student development and academic life, 4, 48-116. 

  57.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58. Schommer, M. (1990). Effec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on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498-504. 

  59. Schukajlow, S., Leiss, D., Pekrun, R., Blum, W., Muller, M., & Messner, R. (2012). Teaching methods for modelling problems and students' task-specific enjoyment, value, interest and self-efficacy expect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9(2), 215-237. 

  60. Sherman, A. C. (2006). Development of the Langer Mindfulness Scale - Youth Ver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acific Graduate School of Psychology. 

  61. Palo Alto, CA. Sternberg, R. (2000). Image of mindfulness. Journal of Social Issues, 56(1), 11-26. 

  62. Thurstone, L. L. (1931). The measurement of social attitudes.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6(3), 249. 

  63. Triandis, H. C. (1971).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Wiley and Sons Inc, New York. 

  64. Tsai, C. 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 beliefs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65. Tulis, M. (2013). Error management behavior in classrooms: Teachers' responses to student mistak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3, 56-68. doi:10.1016/j.tate.2013.02.003. 

  66. White, B. C. (2000).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y viewed through perspectives on problematic classroom situations.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International Research and Pedagogy, 26(3), 279-305. 

  67. White, O. L. (2007). An investigation into the utilization of a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level and content understanding?. ProQuest. 

  68. Zan, R., Brown, L., Evans, J., & Hannula, M. S. (2006).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n introd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13-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