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공간교육의 국내외 사례 비교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Civic Education in Place for Children -A Case Study on the United States, Britain, Finland, Japan, and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2, 2011년, pp.40 - 51  

허윤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삶의 질과 좋은 디자인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되고, 공간의 계획 및 설계과정에 일반인의 참여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시민들은 공간과 환경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며, 도시개선에 대한 의사를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이러한 시점에 아동기의 '공간교육'은 미래 시민으로서 공간과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도시 개선에 대한 의사를 표현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고, 스스로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은 도시 공간을 만들고자 어린이의 공간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고찰하였다. 전 세계의 27개 국가(110여개 기관)에서는 아동기부터 '공간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이는 공간환경의 기본적인 요소를 이해하고 공간감을 키워 공간의 조성과정 및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 한국의 공간교육을 고찰하였다. 우선적으로 공간교육을 정의하고 그 대상범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각각의 사례에 대하여 목적 및 효과, 관련 법 제도 및 교육과정, 체계 및 역할,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특성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검토하여 지역성에 대한 고려, 체계적 네트워크와 전문가 풀 구성, 관련 제도와 정부의 역할 정립 등 국내 공간교육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공간교육의 사례 고찰은 더 나은 미래 공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일반인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외 사례의 목적, 제도, 체계,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public'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and good design has increased, and the opportunities for their participation in space planning and the design process are expanding. However, the public still lacks understanding of the role(and importance) of space and environment and is not ex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재 등의 기획 및 출판, 어린이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진행한다. SAFA는 조경 .
  • 또한 건축기본법과 건축정책기본계획의 관련 항목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동시에, 국내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관계성 정립을 위하여 환경교육과 디자인교육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 한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티와의 상호관계 및 역할 인식 등 일반인의 의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국내외 공간교육의 사례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는 공간교육이 명시된 건축기본법과 건축정책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와 현황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 이러한 프로그램은 정규과목과 연계되어 워크숍, 전시 등 다양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장소와 사람의 관계, 지역성과 커뮤니티의 가치를 중요시하여 지속 가능한 영국을 만드는 방안을 모색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시민을 양성하고자 한다. 즉, 느끼고 표현하기, 관찰하고 분석하기, 말하기와 쓰기, 그리기와 만들기, 개선방안 구체화하기 등 지역 커뮤니티의 가치를 인식하고 미래를 상상하며, 원하는 바를 표현하는 능력을 배우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 동시에 역사, 문화* 그린정책 (Greener London Neighbourhood or Locality) 등에 부응할 수 있는 시민성을 함양시킨다. 또한 타 교과목과 연계하여 통합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배양하고자 하며, 장소와 관련한 다양한 영역을 소개하여 어린이의 직업적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특히 유아기부터 관찰력, 비평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배양하여 미래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축하게 한다. 또한 학교, 어린이, 커뮤니티, 관련 전문가 간의 상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며, 조경가, 도시계획가, 건축가, 디자이너, 엔지니어 등의 역할을 소개함으로써 장소와 관련된 영역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여기에는 공간교육이 명시된 건축기본법과 건축정책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와 현황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활발히 진행되는 환경교육과 디자인교육 등을 고려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이 도시를 만드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 역할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리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공간교육의 기법을 비교하는 기초연구로서 국외의 사례 고찰을 통해 국내와 비교 . 분석하는 연구이다.
  • 동시에 의사결정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커뮤니티에 대한 주인의식, 책임의식, 공동체의식 등 시민성 함양에 연결되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소통적 조경 계획 및 설계 행위의 바탕에는 일반인의 역량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인의 의식 변화를 토대로 더 나은 도시공간을 창출하고자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고, 국내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티와의 상호관계 및 역할 인식 등 일반인의 의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국내외 공간교육의 사례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의해 결정된다는 사고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삶의 터전을 형성하는 공간환경과 인간의 상호관계를 이해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공간환경의 조성 과정을 이해시킴으로써, 미래의 도시개선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 미적 가치관 형성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주변에 대한 관심과 관찰을 토대로 새로운 견해를 도출하고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서 미래 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자질을 배양하고자 한다.
  • 책임감 인식, 역사적 공간과 현대적 공간의 가치 인식,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의 관계 이해.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모색 등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공간의 질과 커뮤니티의 관계를 논의하는 데 필요한 언어 습득,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분석적 의사결정 경험, 그룹 활동을 통한 관찰력과 문제 해결 능력 고양, 감수성과 상상력.
  •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잘 디자인된 장소의 가치와 역할을 전달하여 마을과 도시를 개선하기 위한 시민의 적극적인 역할을 학습시키고자 한다. 동시에 역사, 문화* 그린정책 (Greener London Neighbourhood or Locality) 등에 부응할 수 있는 시민성을 함양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국토해양부(2010)제1차 건축정책기본계획(2010-2014). 

  2. 권은숙(1997)초?중등 디자인교육에 대한 기초연구:'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을 중심으로.디자인학연구 5(20):87-96. 

  3. 김연금,이규목(2003)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31(5):73-85. 

  4. 김연금,김성주,박환지,유다희,최성용,홍승모(2008)커뮤니티공간으로서의 어린이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35(6):21-28. 

  5. 김연아(1998)디자인교육에 있어 시?지각 원리를 통한 창의력 개발에 관한 연구.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원필(2002)아동기 주거환경의 정서적 경험이 현 거주공간의 개인영 역화에 미치는 영향.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8):3-11 

  7. 김인호(2002)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혜숙,권은숙(1999)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국내 디자인 교육의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디자인학연구 12(4):191-200. 

  9. 남상준(2010)환경교육론.서울:대학사 

  10. 법제처(2008)건축기본법 및 건축기본법 시행령. 

  11. 손연석(2005)영국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디자인학연구 18(2):243-254 

  12. 이규목(2002)한국의 도시경관.서울:열화당. 

  13. 임승빈(1998)조경이 만드는 도시.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4. 윤주연(2004)교실 내 식물 가꾸기 활동을 통한 환경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은희(2004)개념 변화 수업에서 협동학습 환경의 효과.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커뮤니티 디자인센터(2009)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주민참여로 가꿔 나가는 삶의 공간.서울:나무도시. 

  17. Alexander, Christopher(1975) A Pattern Language:Towns, Buildings, 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8. Davies,L.(1996)교육적 개혁에 있어 보수주의와 급진주의.한국교육 연구. 

  19. Feimer, N. R.(1981) Environment perception and cognition in rural context. In A. W. Cilds& G.B.Melton(Eds).Rural Psychology. NY : Plenum Press 

  20. Holahan,C.J.(1982)Environment Psychology. NY:Random House, Inc. 

  21. Roe, Maggie (2000)Landscape planning for sustainability : Community participation in estuary management plans. Landscape Research 25(2):157-181. 

  22. Roe, Maggie(2006) Makingawish:Children and the local landscape. Local Environment 11(2):163-181 

  23. Sanoff,Henry(1990)Designing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윤장섭 (역),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방법론.서울:태림문화사,1990. 

  24. Savery, H. R. and T. M. Duffy (1995) Problem 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vol.35. pp.31-38. 

  25. Sommerville, ShionaL.(2000) Communicating landscape architecture, A Thesis Presented to the Faculty of Graduate Studies of The Uninersity of Guelph. 

  26. Thompson, Ian H. (1999) Ecology, Community and Delight Sources of Values in Landscape Architecture. London:E&FN Spon 

  27. Ward, C. (1978)The Childin the City. London : Architectural Press 

  28. Tuan, Yi-Fu(1977) Space and Place :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심승희,구동회(역),공간과 장소.서울:대윤. 

  29. http://www.adenweb.org 

  30. http://www.aia.org 

  31. http://www.archiaa.org 

  32. http://www.architecture.com 

  33. http://www.arkki.nu 

  34. http://www.cabe.org.uk/education 

  35. http://www.cfafoundation.org 

  36. http://www.cubekc.org 

  37. http://www.engagingplaces.org.uk 

  38. http://www.jia-kanto.org 

  39. http://www.playce.org 

  40. http://wwwdesignfordwelling.blogspot.com 

  41. http://wwwopen-city.org.uk 

  42. http://wwwuiabee.riai.i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