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Long 이론에 의한 회화속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 형태 분석
An Analysis of Femme Fatale Image's Costume Form in Paintings viewed from DeLong's Theory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2, 2011년, pp.155 - 161  

김복희 (신라대학교 의류학과) ,  남윤숙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concerning Femme Fatale Images Costume Form in paintings viewed from DeLong's Theory, analyzed frequency and traits on the basis of DeLong's Form Observation Theory and drew out the result as followings. First, Costume Form was mostly open, whole, planer integration, rounded, and ind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Long 이론에 근거하여 회화 작품에서는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을 분석한 연구는 그다지 발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객관적인 분석 기준의 규명 및 제시를 위해, 회화속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을 DeLong 이론에 의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회화속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 형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체계적·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DeLong의 형태 분석 이론을 근거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이 되는 회화는 이제까지 선행 연구 및 단행본에서 공인된 이미지중 19세기에 그려진 회화를 선정하여 그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eLong이 제시한 다섯 가지 대립 구조 및 표면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분류 기준 항목을 만들기 위해 DeLong의 형태 분석론과 관련된 선행 논문(고경숙, 1998; 서봉하, 2004; 배정민, 2007), 단행본(DeLong, 1987/1997)을 대상으로 관련 용어를 발췌·표집하고, Table 1과 같이 복식 형태 분석을 위한 분류 기준틀을 만들고, 이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 형태의 체계적·객관적인 분석 기준의 규명 및 제시를 위한 것이다.
  • 이는 가능한 한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분류 기준을 제시하므로써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을 보는 시각적 이해를 넓히고, 더 나아가 단적으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은 복잡한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을 이해할 수 있고 분석 가능한 기초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식 형태를 체계적으로 객관화시켜 분석한 이론은 무엇이 있나? 복식 형태를 체계적으로 객관화시켜 분석한 이론으로 DeLong의 형태 분석론이 있다. DeLong은 다섯 가지 대립 구조 이론을 제시하여 복식 형태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다섯 가지 대립 구조는 의복(Apparel)이 인체(Body)위에 착용되어 나타나는 시각 형태 즉, 구조(Construct)와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팜므 파탈은 무엇인가? 팜므 파탈은 남성을 죽음과 같은 절망적인 상황으로 몰고 갈 정도의 뇌쇄적인 매력을 지닌 여성을 이르는 말로(임현주, 2004), 19세기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을 비롯한 예술영역 전반에 걸쳐 즐겨 사용되는 모티브 중의 하나이다. 19세기의 화가들은 쾌락, 고통, 사랑, 죽음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이러한 이미지를 팜므 파탈이라는 여성 이미지를 통해 즐겨 표현하였다.
DeLong이 제시한 다섯 가지 대립 구조 중 폐쇄형과 개방형은 어떻게 구분하고 있나? 폐쇄형과 개방형은 ABC와 주위 공간과의 관계에서 경계선으로 작용하는 ABC의 실루엣이 주위와 분리되어 뚜렷해 보이는가, 뚜렷해 보이지 않는가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폐쇄형은 공간으로부터 매우 명쾌하게 분리되어 쉽게 지각되는 반면, 개방형은 ABC의 외곽선이 가장 자리나 경계선으로 폐쇄되지 않으며 상호 의존적인 형태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인철. (2004). 영화 영상 이미지의 “典刑”에 관한 연구-팜므 파탈(Femme Fatale)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시각 디자인학술지(한국디자인포름), 10, 201-212. 

  2. 김지영, 간호섭. (2004). 영화 ‘시카고’의 의상에 나타난 팜므 파탈이미지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 8(1), 16-33. 

  3. 김경환. (1996). 19세기말 상징주의 회화에 나타난 팜므파탈(Femme Fatale) 이미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난희. (2007).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여성인식과 ‘여성성’에 대한 공포.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지, 10, 191-205. 

  5. 김현정, 양취경. (2005). 영화 와 의 의상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5(4), 107-123. 

  6. 강관수, 서남대. (2003). 느와르 영화에서의 팜므파탈의 위협: 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4(2), 53-81. 

  7. 강현구. (2005). 1920-30년대 모델소설의 새로운 독법과 매혹적인 악녀상. 한국현대문예비평연구지, 16, 7-32. 

  8. 고경숙. (1998). 패션에 나타난 폐쇄형디자인과 개방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행가. (1995). 단테 가브리엘 로제티의 연구. 미술사연구지, 9(12), 22-60. 

  10. 권수현. (2005).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영화의상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연구지, 27, 7-34. 

  11. 남윤숙. (2008).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회화에 표현된 팜므 파탈 패션 이미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11-25. 

  12. 문지숙. (2005). 팜므파탈 : 성과 권력의 문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철두. (2006). 귀스타브 모로의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진형. (2007). 팜므파탈(FemmeFatale)이미지에 나타난 심상표현 연구-본인의 작 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배정민. (2007). DeLong 이론의 지표적 고찰을 통한 패션의 형태적 과장 현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서봉하. (2004). 1990년대 이후 에스닉 룩의 폐쇄형과 개방형의 시지각적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4(4), 145-156. 

  17. 손경애. (2003). 위스망스의 소설 ‘저 아래에’ 연구: 뒤르딸과 악마주의. 한국프랑스학회논집, 42, pp. 161-182. 

  18. 송희영. (2007). 팜므파탈 Femme Fatal: ‘룰루 신화’에 드러난 유혹과 죽음의 에로스-베데킨트의 드라마와 팝스트의 영화 비교-. 한국브레히트학회지, 16, 339-459. 

  19. 이화진. (1998). 팜므 파탈 Femme fatale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미선. (2003). 슈토름의 ‘하더스레프후스에서의 잔치’ 연구-팜 파탈, 팜 프라질 그리고 남성의 여성성. 한국독어독문학회지, 85, 112-129. 

  21. 임현주.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은진, 이언영, 이인성. (2007). 영화 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7(2), 197-202. 

  23. 윤보원. (2005). 영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와 스타일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수정. (2006). 예술의 팜므파탈(Femme Fatale) 이미지에 관한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한혜정. (2007).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에 나타난 팜므파탈의 이미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Delong, M. R.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금기숙 역). 서울: 이즘. (The way We Look-A framework for visual analysis of dress. 1987. Lowa stat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