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ntents scope and method of study was established by theoretic investigation of case study related to crime. Second, as crime cannot be prevented by police power only, CPSCP(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developed so that all citizen can cooperatively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 data on the place where people feel fear in the region was collected by directly indicating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in the space by utilizing CPSCP. Fourth,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are redundantly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2 places.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al desig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space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nd to eliminate the fear of crime. The CPSCP developed by this study which will be advanced to U-crime preven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making citizen's own neighborhood a smart safety city autonomously.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ntents scope and method of study was established by theoretic investigation of case study related to crime. Second, as crime cannot be prevented by police power only, CPSCP(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developed so that all citizen can cooperatively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 data on the place where people feel fear in the region was collected by directly indicating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in the space by utilizing CPSCP. Fourth,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are redundantly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2 places.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al desig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space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nd to eliminate the fear of crime. The CPSCP developed by this study which will be advanced to U-crime preven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making citizen's own neighborhood a smart safety city autonomous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범죄 발생 사례와 온라인 ‘시민참여형 방범 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CPSCP))’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GIS를 활용하여 실제범죄발생과 범죄두려움발생의 밀도분석 등을 통해 공간적 관련성과 차이를 찾아내고, 공간 환경의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작동하는 ‘시민참여형 방범 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CPSCP))’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범죄 두려움에 대한 공간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spatial environment)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도시방범 문제를 공간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의 온라인 방범 시스템의 사례를 살펴보면 시민들이 시스템을 통해 거주지역의 최신범죄 정보 및 범죄형태, 범죄율 비교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범죄장소 등의 공개는 피해자의 사생활 보호 및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으며, 치안불안지역으로 공개될 경우 지역간 갈등 및 집값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이를 고려하여 시스템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범죄발생 요인과 두려움을 느끼는 감정은 공간의 환경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의 두 지역을 사례로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CPSCP을 통하여 시민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해 봄으로써 범죄 발생이 공간의 물리적 환경 요인과 밀접한 관련성과 공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스템에 시민의 협력적 참여방안을 도입하고자 하며,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주민이 그 지역의 실정을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방범에도 지역 주민의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특히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는 실제로 그 장소를 체험하지 않으면 알 수 없기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가설 설정
따라서 시민들이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원인과 실체를 규명하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론적으로는 우선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발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제안 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추진하였다.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방범시스템인 CPSCP을 개발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방범시스템인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간자료는 ESRI사의 ArcGIS 9.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방범시스템인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상과 같은 배경과 목적을 위해 온라인으로 누구라도 언제, 어디서든지 참여 가능한 ‘시민참여형 방범 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CPSCP))’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범죄 데이터베이스를 기본으로 참여의 기능을 포함하는 Web 3.0의 개념을 도입한 한 차원 높은 시스템으로 특징은 지도 기반으로 개발하여 참여자가 공간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추가 분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시스템은 크게 지역범죄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참여에 의한 ‘범죄 안전지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은 크게 지역범죄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참여에 의한 ‘범죄 안전지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역범죄 현황정보 제공은 사례지역의 5대 범죄 유형별로 범죄발생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고, 범죄발생 통계자료, 그래프 등의 관련정보를 제공하여 지역에서 일어나는 범죄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범죄지도가 지역의 범죄 안전성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함으로 지역의 범죄예방과 범죄율 감소라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으나, 사생활 침해나 집값하락 등의 부정적인 면도 예상된다.
그러나 온라인 범죄지도가 지역의 범죄 안전성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함으로 지역의 범죄예방과 범죄율 감소라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으나, 사생활 침해나 집값하락 등의 부정적인 면도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개인이나 경찰서, 공무원 등과 같이 사용자를 구분하고, 사용자 별로 온라인에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을 차별화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범죄발생 장소와 두려움 장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맵을 중첩시켜 보기로 하였다. 그러나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위해 표 2와 같이 차이의 유형을 평균 이상을 High, 평균 이하를 Low로 구분하여 4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범죄발생 장소와 두려움 장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맵을 중첩시켜 보기로 하였다. 그러나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위해 표 2와 같이 차이의 유형을 평균 이상을 High, 평균 이하를 Low로 구분하여 4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즉 범죄발생과 두려움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지역은 A(High-High), 범죄발생은 높으나 두려움은 낮은 지역 B(High-Low), 범죄 발생은 낮으나 두려움은 높은 지역 C(Low-High), 범죄발생과 두려움이 모두 낮은 지역 D(Low-Low)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의 중심점(mean center)과 표준편차 타원체를 추출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대안동 일대는 범죄발생과 두려움 둘 다 방향성은 나타나지 않고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중심점이 비슷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그림 15).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한국의 남부지역에 위치하며, 인구 34만명의 지방중심도시인 진주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추진하였다.
2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실제 범죄발생 자료는 진주경찰서에서 입수한 2008년도 범죄 신고 관리대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범죄 발생일자, 요일, 동, 발생장소, 범죄수법, 5대 범죄유형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 진주시 2008년도 통계연보를 참조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실제 범죄발생 자료는 진주경찰서에서 입수한 2008년도 범죄 신고 관리대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범죄 발생일자, 요일, 동, 발생장소, 범죄수법, 5대 범죄유형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 진주시 2008년도 통계연보를 참조 하였다.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를 이용하여 진주시의 2개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한 곳은 진주시의 대표적 상업지역인 대안동이며, 다른 하나는 젊은 대학생들의 활동이 많은 경상대학교의 대학촌이 형성된 가좌동 일대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10월 25일부터 11월 2일까지 대학생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 대안동은 122개 장소, 가좌동은 278개 장소에서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도 조사되었다.
데이터처리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간자료는 ESRI사의 ArcGIS 9.2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실제 범죄발생 자료는 진주경찰서에서 입수한 2008년도 범죄 신고 관리대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범죄 발생일자, 요일, 동, 발생장소, 범죄수법, 5대 범죄유형이 기록되어 있다.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의 전역적 차원에서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규명하기 위해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표준편차 타원체(standard deviational ellipse)와 밀도분석(density analysis), 최근린지수분석(nearest neighbor index analysis) (정경석, 2010)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표준편차타원체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가좌동 일대의 실제범죄발생 장소의 핫스팟은 공공편익시설, 상업시설, 공공시설, 주택지에서 시설별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는 상업지역도 있지만 범죄발생과 무관하게 철도주변과 상업시설주변 공원에서 범죄 두려움이 형성되고 있다. 두 지역에서 범죄발생이 많이 발생 하는 장소는 상업시설과 공공시설 등이 입지해 있는 지역으로 보이고, 범죄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장소는 공원 및 상업시설, 오픈되어 있지 않은 공공시설이 입지해 있는 장소에서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 대안동은 그림 13과 같이 범죄발생과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장소가 일치하는 A(High-High)유형은 은행이 다수 입지해 있는 지역으로 사람의 왕래가 많으며 좁은 골목길이 많은 점이 절도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안동의 경우 실제 범죄발생 장소는 지역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있지만 주로 좁은 골목길이 많은 지역과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 주거지역과 인접하여 주거지역으로의 이동시 통과하는 보행로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는 상업지역, 어두운 골목길, 취객과 노숙자 등이 많아 환경적 개선이 필요한 장소가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공간적으로 분류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두려움을 느끼게 만드는 요인은 크게 물리적환경인 가로등 조명이 없거나 인적이 드문 골목길과 같은 곳이거나, 취객, 노숙자 등 낯선 사람들의 반사회적 행동이 많은 곳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지역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범죄발생 외에도 방범시설과 가로등의 유무, 유흥가 주변, 골목길, 보행로, 공원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적 특성이 두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범죄의 발생 건수는 적지만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지역의 경우는 좁은 골목길, 어두운 조명, 공원 등의 물리적, 환경적 특성이 두려움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지역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범죄발생 외에도 방범시설과 가로등의 유무, 유흥가 주변, 골목길, 보행로, 공원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적 특성이 두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범죄의 발생 건수는 적지만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지역의 경우는 좁은 골목길, 어두운 조명, 공원 등의 물리적, 환경적 특성이 두려움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죄발생과 범죄두려움의 중심점간 거리는 도보로 약 4분 거리에 있는 25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다. 두 지역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범죄발생은 유동인구가 많고 상업시설 등이 입지해 있는 지역이고, 범죄두려움은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는 학교 주변에서 범죄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범죄발생과 두려움 장소가 공간적으로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는 실제 범죄 발생 장소와 무관하며, 자신이 범죄를 당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장소로서 주로 물리적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 밀집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후속연구
이러한 사실은 도시 및 건축 환경설계를 통해 도시범죄가 예방 될 수 있다는 셉테드(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이론과 동일한 개념으로 도시계획 관점에서는 CPTED가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정경석, 2010). 향후 방범정책을 수립할 때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두려움도 많이 느끼는 지역은 CCTV 등 방범시설과 방범서비스의 설치, 경찰순찰 강화 등의 범죄예방 정책이 필요할 것이며, 범죄발생과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가 서로 다른 지역은 장소의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위의 결과로부터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 범죄발생지역과 시민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각 범주별로 환경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점 또한 향후 도시계획 및 설계과정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는 각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나 물리적 환경 요소 중에 두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개선하도록 하고 이를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계획 가이드라인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범죄 발생은 경찰 인력만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우므로 시민과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으로서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하게 되면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지켜나가는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통계청 자료에서, 한국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 1위는 무엇인가?
도시사회의 발전 속도에 비례하여 범죄발생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흉폭화 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08년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한국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범죄발생(18.3%)이 1위이며, 다음으로 경제위기(15.
도시범죄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시작이 되는 것은?
도시범죄와 관련한 초기의 국내외 연구들은 Jacobs(1961)와 Newman(1972)이 주장한 방어공간(defensible space)을 시작으로 주로 이론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 대부터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32)
곽대경. 2010. CCTV에 대한 인식과 지역적 환경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9:13-46.
고준호. 2009.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나영. 2008. 아파트 단지의 범죄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선. 2004.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사회적 구성과 결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정선, 이성식. 2010.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 준적 접근. 형사정책연구 21(3):173-203.
정승민. 2007. 범죄두려움에서 지역특성과 경찰활동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14:43-73.
조은경. 2003.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9(1): 1-21.
차훈진. 2007.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동진. 2008. 범죄불안감 감소를 위한 환경설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rusik, R.J. and H.G. Grasmick. 1993. Neighborhood and Crime: The Dimensions of Effective Community Control. Lexington Books, New York, USA.
Farrall, S., J. Bannister, J. Ditton and E. Gilchrist. 2000. Social psychology and the fear of crime: re-examining a speculative model.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0:399-413.
Franklin, T.W. Franklin and N.E. Fearn. 2008.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and social integration models of crime. Social Justice Research 21:204-227.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USA.
Lewis, D.A. and M.G. Maxfield. 1980. Fear in the neighbourhood: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7:160-189.
Newman, O. 1972.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MacMillan, London. U.K.
Rountree, P.W. and K.C. Land. 1996. Burglary victimization, perception of crime risk, and routine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3:147-18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