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Crime Pattern and Place Occurrence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a Safe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4, 2012년, pp.78 - 89  

허선영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문태헌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범죄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범죄발생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도시의 범죄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범죄발생의 공간분석을 통해 향후 범죄발생 지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환경설계나 도시계획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08년과 2011년 2개년 동안 범죄발생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국지적인 핫스팟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선형으로 범죄 다발지역이 형성되고, 블록의 내부보다 도로변의 환경개선과 범죄예방 전략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사례지역을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으로 분류하고, 안전한 도시 만들기를 위해 도시계획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도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으로 근본적인 범죄예방을 도모하고 그 결과로서 안전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rime prevention in consideration of urban physic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 using actual crime occurrence data of the case city. The crime data was rebuilt by transforming them into ge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자료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현장여건을 반영한 범죄분석과 그에 따른 범죄발생 영향요소를 발견하여 환경적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방안을 모색해 보자는데 의의가 있다.
  • 하지만 지금까지 범죄관련 연구는 내적원인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적원인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두기로 하였으며, 실제 범죄자료를 공간화하여 범죄에 취약한 공간환경과 물리적인 요인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 사례도시의 2008년과 2011년 범죄 자료를 바탕으로 전역적 차원에서 범죄유형별 패턴 변화, 시간대별 패턴변화를 분석하였고, 국지적 차원에서 범죄발생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장소별 범죄발생 특성을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범죄발생에 대한 환경적 요인 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범죄 발생은 2008년과 2011년 시·공간적으로 비슷한 패턴으로 나타났고,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조밀하게 범죄다발지역이 발견되었다.
  • 3). 여기서 경찰은 방범시설이 취약한 서민주택 밀집지역과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는 원룸 지역을 중점적으로 관리한다고 하지만 실상 한정된 경찰력을 감안하면 넓은 도시 공간내에서 과연 골목길까지 치안의 손길이 닿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런 대응책이 불과 한 달 동안만 시행됨에 따라 근본적인 효과가 나타날지 그다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범죄는 인간의 일상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도시공간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므로 범죄 발생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범죄예방 전략을 마련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과 2011년을 기준년도로 사례지역의 시계열적 범죄밀도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J시의 사례를 통하여 범죄발생의 시·공간분석을 통하여 안전도시를 만들기 위한 공간 환경적 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범죄발생 자료를 바탕으로 시·공간적 분석과 범죄다발지역을 대상으로 범죄발생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이며 도시 환경적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범죄예방적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 범죄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학술적으로 내적원인과 물리적 환경에 의한 외적연구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그중에 범죄예방적 관점에서 도시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발생 기회를 줄이고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셉테드(CPTED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분야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시민이나 경찰당국에서 선호하는 CCTV 설치나 방범활동 등이 예산이나 인력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셉테드는 도시공간의 환경개선을 통해 범죄발생과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도시의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된 배경은? 국민소득이 높아지고 교육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도시의 생활환경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강력사건이 끊이지 않고 지능화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시민들은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 조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장은 국가의 기본 책무이며, 선진국을 가늠하는 척도로도 인식하고, 방범대책으로서 도시공간에 CCTV나 방범등과 같은 방범시설을 설치하거나 경찰력을 동원하여 범죄발생을 최소화하려고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석진, 이경훈. 2007.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 조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7):97-106. 

  2. 강용길. 2006. CPTED 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준호. 2009.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길섭. 2008. 안전한 도시를 위한 CPTED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행정학회보 5(1):33-58. 

  5. 김양형. 2007. 범죄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CCTV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3(2):59-80. 

  6. 박동균, 박성수. 2005. 범죄예방을 위한 CCTV 운용방안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7(2):1-23. 

  7. 박성수. 2011. U-IT 기술을 이용한 범죄예방 정책과 극복과제. 한국경찰학회보 27:33-60. 

  8. 박창석. 2011. 범죄예방과 수사를 위한 경찰 CCTV의 필요성과 문제점. 법학논총 18(1): 197-221. 

  9. 안황권, 강민완. 2005. 민간경비원과 경찰의 협력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0:173-188. 

  10. 양문승. 2003.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 활동과 시민참여. 한국경찰학회보 5:81-112. 

  11. 윤광구, 이시경. 2009. 지구대 범죄예방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사회과학연구 25(1):167-189. 

  12. 이성우. 2004. 서울시 범죄발생의 도시계획적 함의.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3. 이윤호. 1993. 범죄에 대한 공포 : 그 원인과 반응. 형사정책연구 13(1993):27-44. 

  14. 이현희. 1994. 범죄발생율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해체이론과 일상 활동/ 기회이론의 통합 모델을 적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경석. 2010.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용철. 2005. 범죄예측을 통한 범죄예방활동에 관한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1(1):273-294. 

  17. Andersen, M.A. 2006. A spatial analysis of crime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a synthesis of social disorganization and routine activity theory. The Canadian Geographer/Le Geographe Canadien 50(4):487-502. 

  18. Cozens, P.M., G. Saville and D. Hillier, 2005.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Property Management 23(5):328-356. 

  19. Lewis, D. and M. Maxfield. 1980. Fear in the neighbourhood: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7: 160-189. 

  20. Maslow, A. 1962.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New York: Van Nostrand. 

  21. Murray, T.A., I. McGuffog, S.J. Western, and P. Mullins. 2001.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examining urban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1(2):309-329. 

  22. Troy, A. and J.M. Grove. 2008. Property values, parks, and crime: a hedonic analysis in Baltimore, M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7(3):233-245. 

  23. 경찰청 보도자료. 2012.9.3. 

  24. 두잇 서베이. http://www.dooit.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