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 연구
Study on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Samples through Comparison with Non-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2, 2011년, pp.287 - 307  

고은성 (서울대학교) ,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살펴본다. 먼저 조사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토대로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표본이 모집단의 일부분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0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 인식하는 1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준비례적 축소버전으로 인식하는 2수준, 편의없는 표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3수준, 무작위 추출이 표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4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발된 평가 기준을 근거로 각 학생의 이해 수준을 조사한 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표본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이 상위 수준에 분포되기보다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상당부분 중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samples through comparison with non-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rubric for understanding of sampl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to tasks: no recognition of 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연구자들은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예를 들면, 고은성 외(2008a, 2008b), 김민정 외(2008), 김지원과 송상헌(2004), 나귀수 외(2007), 송상헌 외(2007), Sriraman (2003)은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일반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활동에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표본 개념에 대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은 어떠한지 조사한다. 이를 위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을 일반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비교하는데, 이러한 비교는 단순히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만을 조사하는 것보다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 능력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 그러나 통계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 모두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 사이에 표본 개념 이해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이 상위 수준에 분포되어있다기보다는 일반학급 학생들과 상당부분 중첩됨을 표본에 대한 이해 수준별 빈도를 나타낸 <표 Ⅳ-3>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능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즉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능력은 수학적 사고 능력과 동일한 수준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 첫째, 조사 문항이 표본에 대한 이해 수준을 평가하는데 적절한지 조사하였다. 즉 조사 문항이 표본에 대한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범주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둘째, 문항에서 제시하는 문제 상황과 문항의 형태가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한지, 그리고 문항에 사용된 언어가 학생들에게 적절하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통계학은 방법론적 학문이다. 통계학은 통계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연구 분야에서 자료를 다루는데 필요한 아이디어와 도구의 집합체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한다(Cobb & Moore, 1997). 이러한 특징을 지닌 학문으로써 통계는 지난 몇 십 년 동안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모든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인 지적 도구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Moore & Cobb, 2000).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은 어떠한 경험과 교육이 필요한가?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은 수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생물학, 의학, 화학, 지구과학, 인문사회과학 등 다양한 비수학적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또한 판단과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은 여러 분야의 배경지식과 소양이 되며, 또한 새로운 지식의 통찰과 아이디어를 창출하는데 있어 막강한 지적 도구가 될 수있는 통계적 사고를 경험하고 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이경화, 유연주, 홍진곤, 박민선, 박미미, 2010; Wheatley, 1983).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분석 한 결과는? 먼저 조사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토대로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표본이 모집단의 일부분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0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 인식하는 1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준비례적 축소버전으로 인식하는 2수준, 편의없는 표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3수준, 무작위 추출이 표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4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발된 평가 기준을 근거로 각 학생의 이해 수준을 조사한 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표본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이 상위 수준에 분포되기보다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상당부분 중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고은성, 이경화 (2007). GSP 환경에서의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 분석 시각적 추론과 논리적 추론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7(3), 521-539. 

  2. 고은성, 이경화 (2011).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표집에 대한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1(1), 17-32. 

  3.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 (2008a).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학교수학, 18(1), 63-78. 

  4.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 (2008b).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53-77. 

  5. 김민정, 이경화, 송상헌 (2008). 초등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성에 관한 분석. 학교수학, 10(1), 23-42. 

  6. 김지원, 송상헌 (2004). 한 수학영재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1), 89-110. 

  7. 나귀수, 이경화, 한대희, 송상헌 (2007). 수학 영재 학생들의 조건부 확률 문제해결 방법. 학교수학, 9(3), 397-408. 

  8. 류현아, 정영옥, 송상헌 (2007). 입체도형에 대한 6-7학년 수학영재들의 공간시각화 능력 분석. 학교수학, 9(2), 277-289. 

  9.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서울 

  10. 송상헌, 신은주 (2007). 수학 영재의 추상화 학습에서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 사례 분석. 학교수학, 9(1), 161-180. 

  11.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8. 

  12. 송상헌, 장혜원, 정영옥 (2006a).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들의 기하 과제 증명 능력에 관한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4), 327-344. 

  13. 송상헌, 허지연, 임재훈 (2006b). 도형의 최대 분할 과제에서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이 보여주는 정당화의 유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79-94. 

  14. 이경화, 최남광, 송상헌 (2007). 수학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 과정 - 정당화 과정과 표현 과정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9(4), 487-505. 

  15. 이경화, 유연주, 홍진곤, 박민선, 박미미 (2010).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학교수학, 12(4), 547-561. 

  16. 이외숙, 임용빈, 성내경, 소병수 (2000). 통계학 입문(제2판). 서울: 경문사. 

  17. Australian Education Council. (1991). A national statement on mathematics for Australian schools. Australia, Carlton, Vic.: Author. [http://www.eric.ed.gov/PDFS/ED428947.pdf] 

  18. Batanero, C., Henry, M., & Parzysz, B. (2005). The nature of chance and probability. In G. A. Jones(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15-37). New York, NY: Springer. 

  19. Biggs, J. B., & Collis, K. F. (1982). Evaluating the quality of learning: The Solo Taxonomy. New York: Academic Press. 

  20. Carmona, M. J. (2004). Mathematical background and attitudes toward statistics in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s Education, Copenhagen, Denmark. [http://www.stat.auckland.ac.nz/-iase/publications/ 11/Carmona.doc] 

  21. Chance, B., delMas, R., & Garfield, J. (2004). Reasoning about sampling distributions.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295-324).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Chiesi, F., & Primi, C. (2010).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related to students' statistics achievement.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9(1), 6-26. 

  23. Cobb, G. W., & Moore, D. S.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9), 801-823. 

  24. delMas, R. C. (2004).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reasoning.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79-95).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Denzin, N. K., &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6. Department for Education. (1999). Mathematics: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Wellington, New Zealand: Author. [http://publications.education.gov.uk/eOrderingDownload/ QCA-99-460.pdf] 

  27. Dreyfus, T., & Tsamir, P. (2004). Ben's consolidation of knowledge structures about infinite set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3(3), 271-300. 

  28. Fleiss, J. L. (1981).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 New York: Wiley. 

  29. Greenes, C. (1981). Identifying the gifted student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8(6), 14-17. 

  30. Goetz, J. P., & LeCompte, M. D.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Orlando, FL: Academic Press. 

  31. Howley, C. B., Pendarvis, E. D., & Howley, A. (1986). Teaching gifted children, principles and strategies. Boston Toronto: Little, Brown and Company. 

  32. Ko, E. S., & Lee, K. H. (2011). Are mathematically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also talented in statistics? In B. Sriraman, & K. H. Lee, The elements of creativity and giftedness in mathematics (pp. 29-43).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33.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 Lalonde, R. N., & Gardner, R. C. (1993). Statistics as a second language?: A model for predicting performance in psycholog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25(1), 108-125. 

  35. Lee, K. (2005). Three types of reasoning and creative informal proofs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3, 241-248. Melbourne, Australia. 

  36. Limm, S. (1984).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Identification and beyond. Gifted Child Quarterly, 28(4), 181-187. 

  37. Lipson, K. (2002). The role of computer based technology in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sampling distribution. In B. Phillips (Ed.),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CD-ROM] Voorburg,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38. Ministry of Education. (1992). Mathematics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Wellington, New Zealand: Author. [http://www.minedu.govt.nz/-/media/MinEdu/Files/EducationSectors/Schools/ MathematicsInTheNZCurriculum.pdf] 

  39. Moore, D. S. (1990). Uncertainty. In L. A. Steen (Ed.), On the shoulders of giants (pp. 95-137).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0. Moore, D. S. (1997). New pedagogy and new content: The case of statistic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5(2), 123-165. 

  41. Moore, D. S., & Cobb, G. W. (2000). Statistics and mathematics: Tension and cooperation.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7(7), 615-630. 

  4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43. Pfannkuch, M. (2008). Building sampling concepts for statistical inference: A case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ICME 2008 TSG. Monterrey, Mexico. [http://tsg.icme11.org/document/get/476] 

  44. Rubin, A., Bruce, B., & Tenney, Y. (1991). Learning about sampling: Trouble at the core of statistics. In D. Vere-Jones (Ed.),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pp. 314-319). Voorburg,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45. Saldanha, L., & Thompson, P. (2002). Conceptions of sam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statistical inferenc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1, 257-270. 

  46. Schneider, W. (2000). Giftedness, expertise, and exceptional performance: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65-178). NY: Elsevier. 

  47. Snee, R. D. (1990). Statistical thinking and its contribution to total quality. The American Statistician, 44(2), 116-121. 

  48. Sriraman, B. (2003). Mathematical giftedness, problem solving, and the ability to formulate generalizations: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four gifted student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4, 151-165. 

  49. Sriraman, B. (2004). Gifted ninth graders' notions of proof: Investigating parallels in approach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professional mathematician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7(4), 267-292. 

  50. Tsamir, P., & Dreyfus, T. (2002). Comparing infinite sets - a process of abstraction: The case of Ben.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 1-23. 

  51. Watson, J. M., & Moritz, J. B. (2000). Developing concepts of sampling.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1), 44-70. 

  52. Wheatley, G. H. (1983).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J. VanTassel-Vaska, & S. M. Reis (Eds.), Curriculu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pp.137-146).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53.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