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Hwanggeumjakyak-tang (huangqin shaoyao tang, HJT) has been used to treat acute enteriti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HJT on the inflammatory activities and effector inflammatory disease mechanism about macrophag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염에도 효과가 있으므로 항염증의 효능이 있을거라 생각했지만 이 처방에 대한 연구보고가 미흡하였고 세포 수준에서 항염증과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금작약탕 물 추출물이 NO와 COX-2의 저해 및 cytokine의 억제기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염증 반응의 주체가 되는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억제 효과, 그리고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여러 Cytokine 및 PGE₂ 생성 억제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
  • MAPK는 serine/threonin kinase로써 세포 증식, 분화, 사망 및 종양 생성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세포 외부의 자극에 대한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데, LPS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MAPK로는 extracellular regulated protein kinase (ERK), c-Jun NH2-protein kinase (JNK),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SAPK), serine, threonine protein kinase인 p38 등이 있고 각 MAPK는 각기 다른 세포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또한 각기 다른 기질 특이성을 보이며, 상이한 경로를 통해서 활성화된다 26,27). 따라서 황금작약탕 추출물이 NO와 cytokine의 생성을 어떤 경로를 통해 억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 방법으로 MAPK구성요소인 ERK, JNK의 인산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RAW 264.
  • . 본 연구에서는 PGE2를 대상으로 HJT의 약리학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HJT을 각각 250 µg/mL, 100 µg/mL의 농도로 30분 동안 전 처리한 후, 그람-음성 박테리아 내독소인 LPS (200 ng/mL)로 RAW 264.
  • 이를 토대로 황금작약탕도 강한 항염효과가 있을 거라 생각하고 잘 밝혀지지 않은 황금작약탕의 항염효과와 기전에 대해 실험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황금작약탕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황금작약탕 물 추출물을 처리하여 방출하는 NO, PGE₂ 및 여러 cytokine의 생성을 측정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서 황금작약탕은 어떤용도로 사용하였다고 나와있는가? 실험에 사용한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은 원대(元代)의 주단계(朱丹溪)가 저술한 『단계의집(丹溪醫集)』의 『단계수경(丹溪手鏡) 중권 하리편(下利篇)』에 처음 수록되었고 사리복통후중(瀉利腹痛後重), 신열(身熱) 및 맥이 홍질(洪疾)할 때 사용한다 하였다6). 그 후에 명대(明代)의 장개빈(張介賓)이 저술한 『경악전서(景岳全書)』에서도 설사이질(泄瀉痢疾)에 복통(腹痛) 또는 심한 신열(身熱)과 후중(後重), 맥홍삭(脈洪數) 등에 사용한다 하였으며7)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몸에 열이 나며 배가 아프고 맥이 홍(洪), 삭(數)한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다8). 황금작약탕은 황금, 백작약, 감초로 구성되어 있는데 황금작약탕의 효능은 진통작용과 설사억제작용에 대한 연구9-10)가 보고 되어 있으나 그 밖에 염증 관련된 연구 보고는 미흡하다.
염증이란? 염증은 인체에 발생하는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또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의 하나이다. 생체의 세포나 조직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손상을 받으면 즉각적으로 이에 대한 반응을 일으켜 손상을 국소화시키고, 나아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방향으로 일련의 국소적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손상에 대한 초기의 조직반응을 염증이라 한다1).
염증 매개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염증의 화학적 매개물질은 자신이 염증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고, 생체의 염증이나 알러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떤 자극을 주었을 경우, 생체 내에서 생체반응의 결과 만들어지며, 그것에 의해 염증 반응을 발생 또는 진전시키는 작용을 가진 물질을 말한다2). 이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을 정리하자면 혈관에 작용하는 amines류 (histamine, serotonin, catecholamines), 혈장 단백분해효소인 complement와 arachidonic acid 대사산물인 prostaglandins (PGs), leukotrienes (LT)이 있으며 cytokines, chemokines, NO, 백혈구의 lysosome 내용물, 산소 유래 유리기 등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YH. Pathology. Korean Society of Pathlogists : Gomunsa. 1991 : 71-92. 

  2. Kim YK, Ha HK, LEE JH, Kim JS. COX-2 Inhibi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2002 : 66. 

  3. Kim CJ, Seo BS. Pothological physiology (I). 5th ed. Sin-Il sangsa. 2006 : 148-59. 

  4. Lee DS, Kim KS, Li B, ChoibHG, Keo S, Jun KY, Park JH, Kim YC.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70% Ethanolic Extract in RAW264.7 Cells by Heme oxygenase-1 Expression. Korean J Pharmacogn. 2012 ; 43(1) : 39-45 

  5. Thomas Jk, Richard A. Goldsby ,Barbara A. Osborne. Kuby immunology. 6th ed. epublic. 2008 : 341-64. 

  6. Joo JH. Dangyeuijip. Seou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2000 : 579. 

  7. Jang GB. Gyeongakjeonseo. Hanmi Medicine. 2009 : 2873. 

  8. Heo J. Donguibogam. 2nd ed. Yeokang publication. 2001 : 547. 

  9. Oh CK. Effects of Hwangkeumjagyag-tang Water Extract on the Plasm Cortisol Concentration and on the Analgesic Effect. J Korean Orient Med Ext Sci. 1990 ; 3(1) : 41-57. 

  10. Lee S. The study of Abdominal pain, diarrhea, and pain relief results of Hwanggeumjakyak-tang. Daegu Haany University. 1988. 

  11. Seo BI, Lee JH, Choi HY, Kwon DY, Bu YM. Hanyakbonchohak. 2nd ed. Younglimsa. 2006 : 209-11. 

  12. Jo SH, Kim YL.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 30(5) : 964-8. 

  13. Lee JK, Song YK, Lim HH.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J Korean Oriental Med. 2007 ; 28(4) : 124-35. 

  14. Oh WW, Cho SI. Anti-Oxidativ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Kor J Herbology. 2005 ; 20(3) : 67-74. 

  15. Ciesielska E, Gwardys A, Metodiewa D. Anticancer, antiradical and antioxidative actions of novel Antoksyd S and its major components, baicalin and baicalein. Anticancer Res. 2002 ; 22(5) : 2885-91. 

  16. Ye F, Xui L, Yi J, Zhang W, Zhang DY. Anticancer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its potential mechanism. J Altern Complement Med. 2002 ; 8(5) : 567-72. 

  17. Nan JX, Park EJ, Kim YC, Ko G, Sohn DH. Scutellaira baicalensis inhibits liver fibrosis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or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Pharm Pharmacol. 2002 ; 54(4) : 555-63. 

  18. Seo BI, Lee JH, Choi HY, Kwon DY, Bu YM. Hanyakbonchohak. 2nd ed. Younglimsa. 2006 : 860-5. 

  19. Bang MH, Song JC, Lee SY, Park NK and Baek N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J Korean Soc Appl Bio Chem. 1999 ; 42(2) : 170-5. 

  20. Hong ND, Kim CW, Shin, HD. A Study on the Analgesic and Anti-convulsional Effect of Paeoniae Radix. Korean J Pharmacogn. 1979 ; 10(3) : 119-24. 

  21. Choi IH, Kim YH, Lee DN, Kim HJ. Antifungal Effects of Cinamon Ramulus, Pulsatillae Radix, Dictamni Radicis Cortex, Paeoniae Radix, Arecae Semen, Artemisiae Capillaries Herba against Candida albican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5 ; 19(3) : 690-5. 

  22. Seo BI, Lee JH, Choi HY, Kwon DY, Bu YM. Hanyakbonchohak 2nd ed : Younglimsa. 2006 : 787-92. 

  23. Kim BW. Anti-inflammatory Effect of Jakyakgamcho-tang. J Korean Oriental Inten Med. 2010 ; 31(2) : 365-71. 

  24. Kim CJ, Seo BS. Pothological physiology (I). 5th ed. Sin-Il sangsa. 2006 : 238-9. 

  25. Delgado AV, McManus AT, Chambers JP.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 Neuropeptides. 2003 ; 37 : 355-61. 

  26. Kim JH Jung HY, Roh MS, Ahn YM, Kang UG, Kim YS, Cho SC.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Activation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 via JNK in Rat Hippocampus after Kainic Acid-Induced Seizur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 ; 40(5) : 971-80. 

  27. Song H. Regulation of Cell Migration by MAPK Signaling Pathways. Dept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ty. 2006 : 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