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재수확작업지의 적정 집재장 선정 및 작업로 배치
Optimal Landing Location and Skid Trail Network Selection in Timber Harvesting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7 no.3, 2011년, pp.195 - 203  

지병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오재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박상준 (경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황진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  차두송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III영급과 IV영급의 산림면적은 총면적에 약 65%를 차지하고 있어 목재자원의 경제적인 조성 및 관리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가치 있는 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조림, 숲가꾸기, 솎아베기(간벌), 임목수확작업 등 여러 작업들이 적기에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산림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기계 장비의 이동통로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내도로망의 확충이 필요하다. 특히, 작업로는 작업자 및 작업장비 등이 작업지까지의 도달시간을 단축시켜 실작업시간을 증대시킴은 물론, 임목수집을 위한 집재거리를 단축시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지고, 이용구역이 확대되어 목재의 수집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적정 임내도로망을 배치하기 위하여 지형도, 임도망도, 작업구역도, 임소반도, 임상도 등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통과점(중 소 집재장) 선정하고, 이들을 최단경로 연결하는 임내도로망 배치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적정 임내도로망 배치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한 바, 벌채구역이 현행과 동일한 조건일 때 임내도로 밀도는 현행방법 79 m/ha인데 반하여 개선방법은 42 m/ha로 현행방법보다 1/2수준으로 설치하여도 두 방법 모두 수집가능재적 및 수집율은 각각 568 $m^3$, 100%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벌채구역을 연접한 무육간벌 대상지로 확대한 경우에는 임내도로 밀도는 현행방법 34 m/ha, 개선방법 33 m/ha로 두 방법 모두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가중평균 집재거리는 현행방법은 117 m인데 반하여 개선방법은 57 m로 현행방법의 1/2수준으로 단축되었고, 수집량은 현행방법에 비하여 400 $m^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in the our country is in the age that needs positive operation in order to foster economical forest. Multiple operations for making valuable forest should be conducted steadily and timely from afforestation to harvesting. In order to execute these kinds of forest operations, the constru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목재수확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정 집재장선정 방법과 집재작업 기계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작업로 배치기법 개발하여 실제작업이 이루어진 목재수확작업지를 대상으로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3과 같이 수치지형도상의 하계망도를 1차에서 4차까지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유역을 설정한 후, 유역의 형상별로 중심점(centroid)을 추가 추출하였고, 추출된 중심점의 유역크기가 3 ha이상은 중집재장, 유역크기가 1~2 ha까지는 소집재장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정된 집재장(중심점)으로 집재범위 내에 벌채된 임목이 집재되게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추출된 중심점은 집재로 배치를 위한 주요 통과지점이 된다.
  • 작업로망의 시설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현행 목재수확에 이용되는 임업장비를 트랙터 부착식 윈치(HAM 200)로 작업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장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재수확장비로서 가선으로 집재하며, 유효 작업거리는 150m이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재장 선정은 어떤 방식으로 하였는가? 작업로망 연결의 기준점이 되는 집재장 선정은 GIS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상의 하계망도를 기반으로 벌채작업이 실행되는 유역을 설정 후, 유역의 형상별로 중심점(centroid)를 산출하여 유역의 크기에 따른 중심점을 중집재장(3 ha이상) 및 소집재장(1~2 ha이상)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목재수확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주로 이용되는가? 목재수확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는 최적의 집재장 선정하고 이러한 선정지점을 통과점으로 하여 연결하는 배치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Contreras and Chung (2007)은 평균집재거리 및 집재장 위치 선정에 있어 불규칙한 형태의 집재구역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지형조건, 장애물 유무와 위치, 불규칙한 임목 밀도, 집재비용, 그리고 집재장 접근을 위한 임내도로 시설비용까지 고려하여 집재장 위치를 선정하는 컴퓨터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적정 작업로망의 배치를 위해 작업로망 배치기술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는 무엇인가? 적정 작업로망을 배치하기 위하여 지형도, 임도망도, 작업구역도, 임소반도, 임상도 등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통과점(중 ・ 소 집재장) 선정하고, 이들을 최단경로 연결하는 작업로망 배치기술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개발한 작업로망 배치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한 바, 벌채 구역이 현행과 동일한 조건일 때 작업로 밀도는 현행방법 79 m/ha인데 반하여 개선방법은 42 m/ha로 현행방법보다 1/2수준으로 설치하여도 두 방법 모두 수집가능재적 및 수집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벌채구역을 연접한 무육 간벌 대상지로 확대한 경우에는 작업로 밀도는 두 방법 모두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가중평균 집재거리는 현행방법은 117 m인데 반하여 개선방법은 57 m로 현행방법의 1/2수준으로 단축되었고, 수집량은 현행방법에 비하여 400 m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nderson, A., and Nelson, J. 2004. Projecting vector-based road networks with a shortest path algorithm.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4(7): 1444-1457. 

  2. Chung, W., J. Sessions, and J. Holub. 2007. SlopeRunner 1.0: A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anding and road locations for cable logging. In Proceedings of the 13th Pacific Northwest Skyline Symposium, April 1-6, Corvallis, OR. 

  3. Clarke, K. 2003, Getting star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urth edition, Prentice Hall. 340p. 

  4. Chung, W., J. Stuckelberger, K. Aruga, and T. Cundy. 2008. skid trail Network Design Using a Trade-off Analysis between Skidding and Road Construction Cost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8(3): 439-448. 

  5. Contreras, M. and W. Chung. 2007. A computer approach to finding an optimal log landing location and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for ground-based timber harvesting.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7: 276-292. 

  6. Greulich, F. 1991. Optimal landing location on flat, uniform terrai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1(5): 573-584. 

  7. Liu, K., and Sessions, J. 1993. Preliminary planning of road systems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J. For. Eng. 4: 27-32. 

  8. Stuckelberger, J., H. Heinimann, and W. Chung. 2007. Improved road network design models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link patterns and road design element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7(11): 2281-2298. 

  9. Twito, R.H., S.E. Reutebuch, E. Stephen, R.J. McGaughey, and C.N. Mann. 1987. Preliminary logging analysis system (PLANS): overview. Gen.Tech. Rep. PNW-GTR-199. Portland, OR: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4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