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 유치원 일반유아의 특수유아에 대한 거부적 태도 탐구
Understanding Children's Negative Attitudes Towards Peers with Special Need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4, 2011년, pp.115 - 134  

황정희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ildren's negative attitudes exhibited towards peers with special need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utilizing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The subjects consisted of 54 children undergoing typical development and thre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또래관계란? 또래관계란 비슷한 나이의 집단 내에서 개인이 맺고 있는 일반적인 관계로 집단 내의 선호도에 따른 사회적 지위라고 할 수 있다(Hartup, 1977). 일반유아들은 또래관계에서 수용적 측면과 거부적 측면 둘 다를 경험(배지희, 2006; 오채선, 2002)하게 되는데, 유아들은 친구관계에서는 수용적 태도를 많이 나타낸 반면, 비친구 관계에서는 거부적 태도를 많이 나타내었다(배지희, 2006).
통합교육은 어떤 세 가지 개념이 포함되는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2010년 만 5세, 2011년 만 4세, 2012년 만 3세 특수유아를 대상으로 한 의무교육이 실시되어 유치원 및 보육시설에 통합되는 특수유아들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 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하는 데(교육과학기술부, 2008), 통합교육에는 또래들과 같은 교육환경에 참여하는 물리적 통합, 일반교육환경에서 함께 수업을 받는 교수 활동적 통합과 학급의 교사와 또래들로부터 학급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수용되는 사회적 통합 등의 세 가지 개념이 포함된다(Kaufman, Agard, & Semmel, 1975). 특수유아가 일반유아와 같은 교실 공간에 존재하는 물리적 통합만으로 실효성 있는 통합교육이 어려우므로 통합교육의 양적 확대와 아울러 교수 활동적 통합과 사회적 통합 측면에서 보다 높은 질적 수준에서의 통합을 실시하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유아의 수용과 거부의 태도는 또래의 어떤 관계에서 나타나는가? 또래관계란 비슷한 나이의 집단 내에서 개인이 맺고 있는 일반적인 관계로 집단 내의 선호도에 따른 사회적 지위라고 할 수 있다(Hartup, 1977). 일반유아들은 또래관계에서 수용적 측면과 거부적 측면 둘 다를 경험(배지희, 2006; 오채선, 2002)하게 되는데, 유아들은 친구관계에서는 수용적 태도를 많이 나타낸 반면, 비친구 관계에서는 거부적 태도를 많이 나타내었다(배지희, 2006). 이와 같은 또래간의 수용과 거부의 태도는 통합교육 장면에서 일반유아와 특수유아 간의 관계에서도 서로 경험하게 되는데,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각각 수용적 측면, 거부적 측면, 수용과 거부의 측면을 모두 다룬 세 가지 유형의 연구들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영심?정혜윤(2005). 참여관찰을 통한 통합유치원에서의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 특성 연구. 아동권리연구, 9(3), 413-435. 

  2. 강희연(2006).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7(6), 123-14. 

  3. 교육과학기술부(2008).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에 관한 보도자료. 

  4. 김경숙?엄현옥(2004). 유아기 통합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태도 비교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0(1), 233-253. 

  5. 김광웅(1990). 정신지체유아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희태(2001).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갈등, 그리고 사회적 맥락. 유아교육학논집, 5(2), 69-87. 

  7. 김선영?안선희(2003). 유치원 교사의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육 실제(DAP) 신념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교실의 구성주의 사회, 도덕적 분위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229-252. 

  8. 김영욱(2005). 특수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9. 박찬웅(2006). 통합교육환경에 배치된 정신지체아의 사회관계망 특성. 지적장애연구, 8(1), 15-33. 

  10. 배지희(2006).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친구관계와 비친구관 계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63-84. 

  11. 신유림(2009). 유아기 사회적 위축성과 또래 거부 관계의 중재 요인. 유아교육연구, 29(3), 149-163. 

  12. 신인숙?유연옥(2003).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69-296. 

  13. 오채선(2002). 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2(4), 119-145. 

  14. 오채선?염지숙(2008). 유치원 도덕 교육의 재 개념화:신화에서 벗어나기. 열린유아교육연구, 2 (13), 363-395. 

  15. 윤현희?강대옥?박재국(2005).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특수아동연구, 7(1), 271- 290. 

  16. 이성희?박영신(2005). 통합환경에서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비교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0, 1-18. 

  17. 이효정(2009). 장애유아 통합학급에서 관계적 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임승권(1991). 교육심리학. 서울:양서원. 

  19. 정계숙?고은경(2006). 통합학급 언어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사회적 언어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자연적 교수를 통하여. 정서?행동장애연구, 22 (4), 239-269. 

  20. 정계숙?박명화?노진형(2009). 장애아동. 아동학회지, 30(6), 375-389. 

  21. 정설희?안연경(2009). 통합어린이집 교실에서 나타나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 분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453- 478. 

  22. 정정희?김유정(2003). 통합과 분리학급 장애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형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81-299. 

  23. Diamond, K. E., Hestenes, L .L., Carpenter, E. S., & Innes, F. K. (1997). Relationships between Enrollment in an inclusive class and preschool children's idea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7 (4), 520-536. 

  24. Diamond, K. E. (2002).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C. Hart & P. Smith (Eds.),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pp. 571-587). London:Blackwell. 

  25. Harper, L. V., & McCluskey, K. S. (2002). Caregiver and peer responses to children with language and motor disabilities in inclusive preschool progra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 471-489. 

  26. Diamond, K. E., Hong, S. Y., & Tu, H. (2008). Context influences preschool children's decisions to include a peer with a physical disability in play. Exceptionality, 16(3), 141-155. 

  27. Favazza, P. C., & Odom, S. L. (1997).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of kindergarten -age children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3(3), 405-418. 

  28. Guralnick, M. J. (1999). The nature and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mild developmental delays in inclusive setting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2, 70-86. 

  29. Guralnick, M. J., Connor, R. T., Hammond, M., Gottman, J. M., & Kinnish, K. (1996). Immediate effects of mainstreamed settings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i interaction of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0(4), 359-377. 

  30. Hartup, W. W. (1977). Peer relations:Developmental implications and interactions in same and mixed aged situations. Young Children, 32, 4-13. 

  31. Hanline, M. F. (1993).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profound disabilities:An analysis of children's interac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18(1), 28-35. 

  32. Johnson, D. W., & Johnson, R. T. (1980). Integrating handicapped students into the mainstreaming. Exceptional Children, 47(2), 90-98. 

  33. Kaufman, M., Agard, J. A., & Semmel, M. L. (1975). Mainstreaming learners and their environments. Cambridge, MA:Brookline Books. 

  3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Sage. 

  35. Odom, S. L., & McEvoy, M. A. (1990). Mainstreaming at the preschool level:Potential barriers and tasks for the field.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2), 48-61. 

  36. Odom, S. L., Zercher, C., Li, S., Marquart, J. M., Sandall, S., & Brown, W. H. (2006). Social acceptance and rejec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A mixed-method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4), 807-823. 

  37. Okagaki, L., Diamond, K. E., Kontos, S. J., & Hestenes, L. L. (1998). Correlates of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1), 67-86. 

  38. Sale, P., & Carey, D. (1995). The sociometric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full-inclusion school. Exceptional Children, 62, 6-19. 

  39. Spradley, J. P. (2006). 참여관찰법(신재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본 발간일 1980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