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1, 2011년, pp.74 - 82  

이경희 (울산과학대학 간호과) ,  김지영 (울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hift work nurses' fatigue influence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how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shift work nurses in a c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피로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술적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피로도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방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피로도와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정도는 피로도 평균 6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이직에 대한 생각이 더 높아진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즉 피로도와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그들 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경쟁모델 분석방법에서는 매개효과를 인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Singh, Goolsby, & Rhoad, 1994).1) 매개효과 모델이 직접효과 모델보다 더 많은 분산을 설명하여야 하며, 2)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3) 직접효과 모델에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유의적 관계가 매개효과 모델에서 감소하거나 제거되어야 하며, 4)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
  • 1) 매개효과 모델이 직접효과 모델보다 더 많은 분산을 설명하여야 하며, 2)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3) 직접효과 모델에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유의적 관계가 매개효과 모델에서 감소하거나 제거되어야 하며, 4)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한다.
  • 그러나 이직의도는 간호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중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이직에 대한 생각이 더 높아진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즉 피로도와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그들 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와 스트레스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피로와 스트레스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간호업무의 특성상 간호사는 그 어느 직종의 조직 구성원보다도 직무 스트레스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Ko & Kang, 2006). 더구나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병원의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간호사들의 부담감은 커지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간호사의 피로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Kim & Cho, 2002).
피로는 어떤 현상인가? 피로는 보건의료 측면에서 정신적, 육체적, 행동적 변화를 초래하는 위험인자로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복잡한 현상이다(Kim & Cho, 2002). 그러나 보통 피로하다는 것은 너무나 일상적인 체험이기 때문에 경시되기 쉬우며 무의식중에 조금씩 축적되는 피로에 항상 장애를 입고 있다(Jun, Park, & Yim, 2000).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 대상자의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정도를 알아본다. •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로계수를 산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cker, T. E. (1992). Foci and base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r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1), 232-244. 

  2.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3. Chung, E. J., & Doh,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3), 398-405.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orporated. 

  5. Er, K. S., Hur, H. K., Kim, K. K., Cho, Y. J., Kim, E. H., & Kim, S.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81-92. 

  6. Gu, M. O., & Kim, M. J. (1985).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39-49. 

  7. Hoyle, E. (1995). Social status of teaching. In L. W. Anderson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p. 58-61). (2nd ed.). New York: Elsevier Science Incorperated. 

  8. Jeong, J. H., Kim, J. S., & Kim, K. H. (2008).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35-44. 

  9. Jin, Y. J. (2003). A study on fatigue and job stress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neung. 

  10. Jun, H. Y., Park, J. H., & Yim, H. B. (2000).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fatigue of clinical nurse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18(2), 95-107. 

  11. Kim, M. R.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J. A. (2003). Work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4), 515-518. 

  13. Kim, J. H., & Hyun, M. Y. (2005).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2), 108-117. 

  14. Kim, J. H., & Park, S. A. (200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responses of the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2), 217-219. 

  15. Kim, Y. H., & Cho, S. H. (2002). A study on the fatigue of hospital nurs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6(2), 272-279. 

  16. Klein, J. G., Ettenson, R., & Morris, M. D. (1998), The animosity model of foreign product purchase: an empirical test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ournal of Marketing, 62(1), 89-100. 

  17. Ko, Y. K., & Kang, K.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76-286. 

  18. Kwon, S. H. (2004).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job stress and fatigu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9. Lee, D. K. (2008). The impact of leadership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 Lee, E. H., Chang, S. J., Kim, H. O., Roh, J. H., Park, E. J., & Won, J. W.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9(2), 93-104. 

  21. Lee, H. J., & Hwang, S. K. (2002). Discriminating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3), 381-382. 

  22. Lee, J. I., Park, S. H., Moon, J. I., Jung, J. Y., Park, K. A., Kim, K. O., et al. (2004).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3), 317-326. 

  23. Lee, Y. N.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factors, job stress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4. Mobl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 and control. Massachusetts: Addison-Wisley Publishing Company. 

  25. Park, S.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nurse in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lym University, Chunchoen. 

  26. Seol, M. H. (2007). A study on the shift work of nurse' fatigue, sleep pattern, sleep disorder, sleep deprivation sympt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7. Singh, J., Goolsby, J. R., & Rhoads, G. K. (1994).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4), 558-569. 

  28. Yang, Y. (2009). Job stress and turnover: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 and tru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29. Yoo, S. J., & Choi, Y. H. (2009).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1), 1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