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3, 2011년, pp.294 - 305  

이항로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행동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 40명(남 27명, 여 13명)과 일반학생 38명(남 21명, 여 17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창의력, 지구과학창의력,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인지양식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94.74%, 일반학생은 36.36%가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해 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보다 과학탐구능력 8.11점, 창의력 8.27점, 지구과학창의력 6.73점, 과학적 태도 10.79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21.66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의 약 70.0%와 일반학생의 약 60.53%가 장독립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의 본질과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과학영재의 높은 행동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The subjects were 40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27 males and 13 females) and 38 ordinary students (21 males and 17 females). The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지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평균이상의 지능(IQ), 특정 교과 분야의 일반적 능력인 높은 성취도를, 정의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과제집착력, 관심, 흥미, 호기심, 열정을, 성격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적극성, 자기중심적 사고, 자유분방함, 개방적 사고를, 사고력 측면의 특성으로는 특정 교과 분야의 특수능력인 높은 탐구 능력, 창의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장독립적 사고, 높은 문제해결력, 고차적 사고력을, 가정 환경적 측면의 특성으로는 부모의 높은 경제력과 학력이 지적 되고 있으며 그밖에 과학교과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어 과학 분야에 특별한 교육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영재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다양한 행동 특성 중에서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창의력과 지구과학창의력,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인지양식이 일반학생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과학영재교육 목표 설정, 교육과정 개발, 선발과 판별, 환류 등 과학영재교육 전반에 관한 효율성 극대화의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표집한 40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제한이 따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 수준 측정 도구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 수준 측정 도구는 1982년 Georgia 대학의 Roadrangka et al.이 개발한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로서, 1985년 서울대학교의 화학교육과에서 우리말로 번안 수정하여 ‘논리적 사고력 검사’라고 이름을 붙인 것 (최영준 외, 1985)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보존 논리(conservational reasoning), 비례논리(proportional reasoning), 변인통제논리(controlling variables reasoning), 확률논리(probabilistic reasoning), 상관논리(correlational reasoning), 조합논리(combinational reasoning) 등 6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0.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행동특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 40명(남 27명, 여 13명)과 일반학생 38명(남 21명, 여 17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창의력, 지구과학창의력,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인지양식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94.74%, 일반학생은 36.36%가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해 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보다 과학탐구능력 8.11점, 창의력 8.27점, 지구과학창의력 6.73점, 과학적 태도 10.79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21.66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의 약 70.0%와 일반학생의 약 60.53%가 장독립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의 본질과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과학영재의 높은 행동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논리적 사고력 검사는 몇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나? 이 개발한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로서, 1985년 서울대학교의 화학교육과에서 우리말로 번안 수정하여 ‘논리적 사고력 검사’라고 이름을 붙인 것 (최영준 외, 1985)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보존 논리(conservational reasoning), 비례논리(proportional reasoning), 변인통제논리(controlling variables reasoning), 확률논리(probabilistic reasoning), 상관논리(correlational reasoning), 조합논리(combinational reasoning) 등 6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0.85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재술, 허 명, 최병순, 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 진단(II) -지적발달수준과 학업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 1-14. 

  2.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2,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역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 1-13. 

  3.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CR2004-40, 336 p. 

  4. 김병국, 1991,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학습 내용 분석-과학 I(하) '지구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4 p. 

  5. 김영채, 1999, TORRANCE 창의력(도형) 검사 요강. 중앙교육적성연구소, 서울, 56 p. 

  6. 김정휘, 1998, 영재학생식별편람. 원미사, 서울, 444 p. 

  7.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영재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166-173. 

  8.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서에서 어떻게 다른가?-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167-169. 

  9.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 241-255. 

  10. 이국행, 서재복, 이정원, 임은미, 정덕호, 허진휴, 김미림, 2009, 부모를 위한 영재교육 가이드. 도서출판 맥기획, 전주, 291 p. 

  11. 정덕호, 박선옥, 2010, 죄우뇌 활용 선호도에 따른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73-174. 

  12. 조은부, 2005, 초등과학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 p. 

  13.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 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 1-9. 

  14.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 간의 비교연구. 교육심리연구, 18, 49-68. 

  15.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21-34. 

  16.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학연사, 서울, 201 p. 

  17. Borland, J.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 6-20. 

  18. Dillashaw, G.H. and Okey, J.R., 1980, A test of the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for secondary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4, 601-608. 

  19. Feldhusen, J.F., 1986, A new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programming for the gifted. Illinois Council for the Gifted Journal, 5, 2-6. 

  20. Fraser, B.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etudes. Science Education, 62, 509-515. 

  21. Guglielmino, L.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38, 6467A, 237 p. 

  22. Lee, H.R., 2003, A method for developing items to assess earth science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150-159. 

  23. Maureen, N., Sally, M., Nancy M.R., and Sidney, M.M., 2002,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Prufrock Press, Washington, DC, USA, 320 p. 

  24. Oltman, P.K., Raskin, E.l., Witkin, H.A., and Karp, S.P., 2002, Group Embedded Figures Test Manual. Mind Garden, Edwood city, USA, 35 p. 

  25. Renzulli, J.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 60, 180-184. 

  26. Roedell, W.C., Jackson, N.E., and Robinson, H.B., 1980, Gifted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Y, USA, 265 p. 

  27. Torrance, E.P., 1988,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Figural A and B, III. Scholastic testing service, MO, USA, 23 p. 

  28. Torrance, E.P., Orlow, E.B., and Tamy, S.H, 1992,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III. Scholastic testing service, MO, USA, 2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