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업도의 나비군집과 멸종위기종 왕은점표범나비의 우점현상
The Butterfly Community in Is. Guleopdo, Korea and the Dominance of the Endangered Species Argynnis neripp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0 no.2, 2011년, pp.115 - 123  

김성수 (동아시아환경생물연구소) ,  이철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권태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굴업도는 면적 $1.71\;km^2$의 작은 섬이지만 멸종위기종인 왕은점표범나비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굴업도에서 왕은점표범나비의 서식실태 파악을 위해 2010년에 방형구법, 표시-포획법과 선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가 충분하지 않았지만, 왕은점표범나비의 유충은 4,467마리 또는 6,700마리, 성충은 약 1,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왕은점표범나비는 최우점종으로 전체 나비 개체수의 32%를 차지하였다. 또한 총 28종의 나비가 발견되었고, 이 중 3종은 미접이었다. 1938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의 왕은점표범나비 분포지를 시대별로 비교한 결과 2000년대 이후 급감하였으며, 현재 중북부 지역과 서해 도서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업도에서 왕은점표범나비가 많이 서식하는 것은 자연상태의 초지가 많으며, 가축의 방목이 적당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Guleopdo is small island of only $1.71\;km^2$, the endangered butterfly species, Argynnis nerippe, is abundant the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abundance of A. nerippe in Guleopdo, using quadrate, mark-recapture, and line-transect methods. Although the study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왕은점표범나비의 최대서식지로 알려진 굴업도에서 왕은점표범나비의 서식실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아울러 다른 나비들도 함께 조사하여 나비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업도에서 왕은점표범나비는 전체 나비 개체수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조사가 충분하지 않았지만, 왕은점표범나비의 유충은 4,467마리 또는 6,700마리, 성충은 약 1,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왕은점표범나비는 최우점종으로 전체 나비 개체수의 32%를 차지하였다. 또한 총 28종의 나비가 발견되었고, 이 중 3종은 미접이었다.
굴업도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곤충은? 71\;km^2$의 작은 섬이지만 멸종위기종인 왕은점표범나비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굴업도에서 왕은점표범나비의 서식실태 파악을 위해 2010년에 방형구법, 표시-포획법과 선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가 충분하지 않았지만, 왕은점표범나비의 유충은 4,467마리 또는 6,700마리, 성충은 약 1,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왕은점표범나비가 급감한 원인을 Fukuda(1997, 2006)는 어떤 것으로 보았는가? 우리나라에서 왕은점표범나비가 급감한 원인은 산림이 복원됨에 따라 서식처인 초지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Fukuda(1997, 2006)는 도시개발, 골프장 건설 및 농업의 기계화와 화학비료 보급으로 인하여 초지의 방치, 목초지 및 봄철 논밭 태우기 감소 등으로 왕은점표범나비의 먹이원인 제비꽃류의 서식지 감소한 것을 주요 감소요인으로 꼽고 있다. Öcking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ukuda, H. 1997. Ecology and conservation of Fabriciana nerippe (Nymphalidae) in southern Kyushu, Japan (Part 2). Butterflies 17: 22-32.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2. Fukuda, H. 2006. Why has the number of Fabriciana nerippe (Nymphalidae) declined? Insect and Nature 41: 12-15. (in Japanese). 

  3. Fukuda, H., E. Hama, T. Kuzuya, A. Takahashi, M. Takahashi, B. Tanaka, H. Tanaka, M. Wakabayashi and Y. Watanabe. 1983. The life histories of butterflies in Japan II. Hoikusha Publishing Co. pp. 101-105. (in Japanese). 

  4. Hama, E., M. Ishii and A. Sibatani. 1989. Decline and conservation of butterflies in Japan I. Published by the Lepidopterological society of Japan, Osaka. pp. 114-117.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5. Heo, I.H. 2006. The distribution of regional unusual temperature in Korea. J. Kor. Assoc. Reg. Geo. 12: 461-474. 

  6. Ishii, M., T. Hirowatari and S. Fujiwara. 1995. Species diversity of butterfly communities in Mt. Mikusa Coppice for Zephyrus. Jpn. J. Environ. Entomol. Zool. 7: 134-146.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7. Kim, C.W. 1976. Distribution atlas of insects of Korea. Korea university press. 

  8. Kim, D.S. and Y.J. Kwon. 2010. Metapopulation dynamics of the oriental long-tailed swallow Sericinus montela (Lepidoptera: Papilionidae) in Korea. Kor. J. Appl. Entomol. 49: 289-297. 

  9. Kim, Y.S. 2002. Illustrated Book of Korean Butterflies in Color. Kyohak Publishing Co. p. 149. 

  10. Kim, Y.S. and S.P. Hong. 1990. Review on the list of Korean butterflies subject to protection. J. Amat. Lep. Soc. Korea 3: 9-16. 

  11. Kitahara, M. and K. Sei. 2001. A comparison of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butterfly communities in semi-natural and human-modified grassland habitats at the foot of Mt. Fuji, central Japan. Biodivers. Conserve. 10: 331-351.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Weather database. [Online] http:www.kma.go.kr. 

  13. Krebs, C.J. 1994. Ecology.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698-699. 

  14. Kudrna, O. 1986. Butterflies of Europe-aspects of the conservation of butterflies in Europe. Aula-Verlag, Wiesbaden. 

  15. Kwon, T.S. 2010. Ants as bioindicators for climate change. Forest Sci. News 236: 4-5. 

  16. Kwon, T.S., S.S. Kim, J.H. Chun, B.K. Byun, J.H. Lim and J.H. Shin. 2010. Changes in butterfly abundance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and reforestation. Environ. Entomol. 39: 337-345. 

  17. Lee, S.C., Y.D. Ju, J.H. Shim and Y.S. Bae. 2009. List and distribution of amphibians and reptiles in island in Incheon, South Korea: Focused on endangered species. Kor. J. Nat. Conserv. 3: 1-6. 

  18. Lee, S.K. and D.J. Cha. 2009.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plans for natural ecosystem preservation of Gulup-Do. Kor. J. Nat. Conserv. 3: 6-12. 

  19. Lee, S.Y., S.H. Kim, M.H. Cha, J.S. Kawk and J.C. Seo. 2010. The landforms and aquatic biota of Mokgimi pond, coastal dune wetland in Guleopdo Island. Kor. J. Nat. Conserv. 4: 12-18. 

  20. Lee, Y.J. 2003. Some insects observed in Gureopdo Is. of Korea in summer of 2003. Lucanus 4: 15-16. 

  21. Nanba, M. 1995. A memory concering the last Fabriciana nerippe in Okayama Prefecture. Yadoriga 164: 2. (in Japanese). 

  22. New, T.R. 1997. Butterfly conservation. 2nd ed., 260 pp.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3. Nishinaka, Y. and M. Ishii. 2007. Mosaic of various seral stages of vegetation in the Satoyama, the traditional rural landscape of Japan as an important habitat for butterflies. Trans. lepid. Soc. Japan 58: 69-90. 

  24. Ockinger, E., A.K. Eriksson and H.G. Smith. 2006. Effects of grassland abandonment, restoration and management on butterflies and vascular plants. Biol. Conserv. 133: 291-300. 

  25. Paek, M.K., Y.S. Bae and S.S. Kim. 2000. Butterflies from islands of Gyeonggi bay, South Korea. J. Lepid. Soc. Korea 13:1-7. 

  26. Paik, M.K., N.H. Lee, S.M. Chon and W.K. Min. 1994. On the butterfly fauna from islands of Kyonggi-do, Incheon-si, Korea (I). Korea. J. Lepid. Soc. Korea 7: 53-61. 

  27. Park, J.K. 2009.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and coastal landscape in Gulup Island. J. Kor. Geo. Assoc. 16: 31-41. 

  28. Park, K.T. and S.S. Kim. 1997. Atlas of butterflie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and the center for insect systematic, Korea. 

  29. Seok, D.M. 1973. The distribution maps of butterflies in Korea. Bojinje Co. 

  30. Shin, U.H. 1990. Study on endangered and threatened species of animals and plants in Korea. Survey report on insect and nature conservation. 10: 145-169. 

  31. Zar, J.H. 1999. Biostatistical study analysis. 4th ed.,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New Jerse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