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20분, $121^{\circ}C$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activity of Ecklonia cava (EC) against lipase and the stability of this activity under various heat and pH conditions. As a result, EC ethanol extract showed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59, 34 and 19% at concentrations of 5, 2.5 and 1 mg/m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 측정 및 식품에 적용 시 공정 중 대부분 열 및 pH 처리가 수반되므로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항비만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1)IC50 value i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inhibi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과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에서 20분, 121℃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태는 무엇인가? 해조류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항산화(16), 항균(17), 항당뇨(18), 항돌연변이 및 항암(19) 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조류 중 감태는 다시마목 미역과의 갈조류로 우리나라 동해안과 제주도 근해에 널리 자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감태에 대한 연구로는 tyrosinase 저해활성(20), 항산화(21), 항염증(22), 항암(23), 항고혈압 및 항당뇨(18) 등의 생리활성 등이 보고되었지만 lipase 저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감태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해조류 중 감태는 다시마목 미역과의 갈조류로 우리나라 동해안과 제주도 근해에 널리 자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감태에 대한 연구로는 tyrosinase 저해활성(20), 항산화(21), 항염증(22), 항암(23), 항고혈압 및 항당뇨(18) 등의 생리활성 등이 보고되었지만 lipase 저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Pi-Sunyer FX. 1991.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m Soc Nutr 53: 15955-16035. 

  2. Chu MA, Choe BH. 2010.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3: 142-152. 

  3. Mattes RD, Bormann L. 2000. Effects of (-)-hydroxycitric acid on appetitive variables. Physiol Behav 71: 87-94. 

  4. Kobayashi A, Osaka T, Namba Y, Inoue S, Lee TH, Kimura S. 1998. Capsaicin activates heat loss and heat production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in rats. Am J Physiol 275: 92-98. 

  5. Westerterp-Plantenga MS, Smeets A, Lejeune MPG. 2005. Sensory and gastrointestinal satiety effects of capsaicin on food intake. Int J Obesity 29: 682-688. 

  6. Tiss A, Lengsfeld H, Carriere F, Verger R. 2009. Inhibition of human pancreatic lipase by tetrahydrolipstatin: further kinetic studies showing its reversibility. J Mol Catal B: Enzymatic 58: 41-47. 

  7. Kim DH, Lee EH, Hwang JC, Jeung JH, Kim DH, Cheong JY, Cho SW, Kim YB. 2002. A case of acute cholestatic hepatitis associated with orlistat. Korean J Hepatol 8: 317-320. 

  8. Moreno DA, Llic N, Poulev A, Brasaemle DL, Fried SK, Raskin L. 2003. Inhibitory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on lipases. Nutrition 19: 876-879. 

  9. Moreno DA, Llic N, Poulev A, Raskin L. 2006. Effects of Arachis hypogaea nutshell extract on lipid metabolic enzymes and obesity parameters. Life Sci 78: 2797-2803. 

  10. Jang DS, Lee GY, Kim JH, Lee YM, Kim JM, Kim YS, Kim JS. 2008. A new pancreatic lip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roots of Actinidia arguta. Arch Pharm Res 31: 666-670. 

  11. Kimura H, Ogawa S, Jisaka M, Kimura Y, Katsube T, Yokota K. 2003. Identification of novel saponins from edible seeds of Japanese horse chestnut (Aesculus turbinata Blume) after treatment with wooden ashes and their nutraceutical activity. J Pharm Biomed Anal 41: 1657-1665. 

  12. Zheng Q, Koike K, Han LK, Okuda H, Nikaido T. 2004. New biologically active triterpenoid saponins from Scabiosa tschiliensis. J Nat Prod 67: 604-613. 

  13. Choi HJ, Kil JH, Bak SS, Kong CS, Park KY, Seo YW, Lim SY. 2006.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even brown algae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Life Sci 16: 1080-1086. 

  14. Fenical W. 1983. Marine plants: A unique and unexplored resource. In Plants: The Potentials for Extracting Protein, Medicines, and Other Useful Chemicals (Workshop Proceedings). DIANE publishing, Washington, DC, USA. p 147-153. 

  15. Kaliaperumal N. 2003. Products from seaweed. SDMRI Research Publication 3: 33-42. 

  16. Kim M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Lee SJ, Yoon SY, Kim AR, Jeon YJ, Park JG, Choi JI, Lee JW, Byun MW, Ahn DH. 2008.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5-1490. 

  17. Lee SY, Kim JH, Song EJ, Kim KBWR, Hong YK, Lim SM, Ahn DH. 2009.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brown algae extracts and the thermal and pH effects on their activity. Food Sci Biotechnol 18: 506-512. 

  18. Lee SH, Li Y, Karadeniz F, Kim MM, Kim SK. 2009. $\alpha$ -Glucosidase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hloroglucinal derivatives from edible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J Sci Food Agric 89: 1552-1558. 

  19. Zhuang C, Itoh H, Mizuno T. 1995. Antitumor active fucoidan from the brown seaweed, umitoranoo (Sargassum thunbergii ). Biosci Biotech Biochem 59: 563-567. 

  20. Yoon NY, Eom TK, Kim MM, Kim SK. 2009. Inhibitory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mouse B16F10 melanoma cells. J Agric Food Chem 57: 4124-4129. 

  21. Athukorala Y, Kim KN, Jeon YJ. 2006.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 enzymatic hydrolysate from brown alga, Ecklonia cava. Food Chem Toxicol 44: 1065-1074. 

  22. Shin HC, Hwang HJ, Kang KJ, Lee BH. 2006. A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gent for potential treatment of osteoarthritis from Ecklonia cava. Arch pharm Res 29: 165-171. 

  23. Kong CS, Kim JA, Yoon NY, Kim SK. 2009. Induction of apoptosis by phloroglucinol derivative from Ecklonia Cava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Food Chem Toxicol 47: 1653-1658. 

  24.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3, p 1-25, Vol 31, p 10. 

  25. Kim JH, Kin HJ, Park HW, Youn SH, Choi DY, Shin CS. 2007. Development of inhibitors against lipase and a-glucosidase from derivatives of monascus pigment. FEMS Microbiol Lett 276: 93-98. 

  26. Hwang EK, Park CS. 2009. Dietary fiber content of different thallus regions and age in three brown algae: Laminaria japonica, Ecklonia stolonifera and E. cava. Kor J Fish Aquat Sci 42: 360-365. 

  27. Kim GD, Kang JH, Byun HS, Kim SB, Park YH, Yoon HD, Kim DS. 1986. Compositions and seasonal variations of free sugar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brown algae, Ecklonia cava, Sargassum ringgoldianum and Myagrapsis myagroides. Bull Korean Fish Soc 19: 227-233. 

  28. Val AG, Platas G, Basilio A, Cabello A, Gorrochategui J, Suay I, Vicente F, Portillo M, Rio MH, Reina GG, Pelaez F. 2001.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in red, green and brown macroalgae from Gran Canaria (Canary islands Spain). Int Microbiol 4: 35-40. 

  29.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CJ, Ahn D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30. Lee BM, Kim CJ, Kim CT, Seo JJ, Kim IH. 2009.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from Ecklonia cav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52-1456. 

  31. Kim TH, Bae JS. 2010. Ecklonia cava extracts inhibit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endothelial cells. Food Chem Toxicol 48: 1682-1687. 

  32.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33. Kim KBWR, Jung JY, Lee CJ, Kim DH, Cho JY, Ahn DH. 2011.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Ecklonia cava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in press. 

  34. Bitou N, Ninomiya M, Tsujita T, Okuda H.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35. Quiros ARB, Frecha-Ferreiro S, Vidal-Perez AM, Lopez-Hernandez J. 2010. Antioxidant compounds in edible brown seaweeds. Eur Food Res Technol 231: 495-498. 

  36. Deavile ER, Green RJ, Muller-Harvey I, Willoughby I, Frazier RA. 2007. Hydrolyzable tannin structures influence relative globular and random coil protein binding strengths. J Agric Sci Food Chem 55: 4554-4561. 

  37. Ahn IS, Park KY, Do MS.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38.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39. Okuda T, Yoshida T, Hatano T, Hashimoto T, Yamashita A. 1997. Tannins and lipase inhibitors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s. US Patent 608,815. 

  40. Nakai M, Fukui Y, Asami S, Toyoda-ono Y, Iwashita T, Shibata H, Mitsunaga T, Hashimoto F, Kiso Y. 2005. Inhibitory effects of oolong tea polyphenols on pancreatic lipase in vitro. J Agric Food Chem 53: 4593-4598. 

  41. Davido-Pardo G, Arozarena I, Marin-Arrogo MR. 2011. Stability of polyphenolic extracts from grape seeds after thermal treatments. Eur Food Res Technol 232: 211-220. 

  42. Khanal RC, Howard LR, Prior RL. 2010. Effect of heating on the stability of grape and blueberry pomace procyanidins and total anthocyanins. Food Res Int 43: 1464-1469. 

  43. Kim SJ, Kweon DH,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zi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44. Lee SJ. 2010. Lip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extrac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30-32. 

  45.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Lee SJ, Lee CJ, Park NB, Jung JY, Kwak JH, Nam KW, Ahn DH.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5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