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럭셔리 패션브랜드 제품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에 의한 이중경로 형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New Luxury Fashion Brand's Product Benefit on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 Focus on dual path model by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5, 2011년, pp.717 - 727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new luxury brands are becoming more popular, recent new luxury consumers are showing different tendencies of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specific bond between the product benefits for new luxury fashion brand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5)을 토대로 인지적 평가에 근거한 브랜드에 대한 호감으로 나타나는 브랜드 태도와 구분하여 브랜드 애착을 ‘특정 브랜드와 장기적 관점에서 유발된 정서적 유대감’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 3-2. 뉴럭셔리 패션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몰입이 브랜드 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3-1. 뉴럭셔리 패션브랜드에 대한 제품추구혜택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상향욕구를 가지는 중산층 소비자들이 선호하여 인지하고 있는 뉴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제품추구혜택의 다면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의 차이를 밝힘으로 뉴럭셔리 브랜드군의 전략방향에 대하여 제안해보고자 한다. 또한 기능적 편익뿐 아니라 상징적/경험적 제품 추구혜택이 강조되어야 하는 뉴럭셔리 패션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이라는 결과 변수를 끌어내는 선행변수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을 보고 이들 변인간의 상대적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형성에 있어서 이중경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 실무적으로는 세분화된 뉴럭셔리 브랜드 마켓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또한 기능적 편익뿐 아니라 상징적/경험적 제품 추구혜택이 강조되어야 하는 뉴럭셔리 패션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이라는 결과 변수를 끌어내는 선행변수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을 보고 이들 변인간의 상대적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형성에 있어서 이중경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 실무적으로는 세분화된 뉴럭셔리 브랜드 마켓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명품 제품의 다면적 혜택차원을 이용하여 뉴 럭셔리 브랜드 특성 및 선호 원인을 밝힘으로써 뉴럭셔리 마켓의 세분화 가능성과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지금까지 명품 구매 동기 및 행동에 대한 사회 · 심리적 요인을 찾는 선행 연구들의 대부분이 상류층에 한정된 소비자들의 구매태도나 행동에 관해 초점을 맞추었던 데에 비해, 본 연구는 명품 소비자집단에 새로 유입된 상향욕구를 가지는 중산층 소비자들에 주목하고 그들의 구매력 범위 안에 놓이는 뉴럭셔리 브랜드군을 연구대상으로 제한시켰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상향욕구를 가지는 중산층 소비자들이 선호하여 인지하고 있는 뉴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제품추구혜택의 다면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의 차이를 밝힘으로 뉴럭셔리 브랜드군의 전략방향에 대하여 제안해보고자 한다. 또한 기능적 편익뿐 아니라 상징적/경험적 제품 추구혜택이 강조되어야 하는 뉴럭셔리 패션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이라는 결과 변수를 끌어내는 선행변수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을 보고 이들 변인간의 상대적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이러한 현상은 명품보다 저렴하지만 명품에 준하는 고품질과 브랜드 명성을 보유하는 뉴럭셔리 브랜드들에 대한 소비를 통해 자신의 능력 안에서 상류계층의 취향을 공유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으려는 소비행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뉴럭셔리 소비자들은 자신이 지향하는 자기이미지를 표현하고 개인적 자긍심을 충족시킴으로써 브랜드가 가지는 상징적 가치와 더불어 감성적 가치까지 충족시키고자 한다. 주목할 부분은 매스티지 브랜드에 대한 선호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뉴럭셔리 브랜드 소비 소비자들이 단지 과시적이고 무조건적으로 명품 브랜드를 추종하는 소비성향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효율성을 추구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격 선에서 자신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브랜드를 찾아 소비 자체를 즐긴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향적 소비는 어떠한 현상인가? 보스톤 컨설팅 그룹(2002)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30대 중산층 소비자가 과거 부유층의 전유물이던 고급, 고성능, 고감성 상품을 구입하는 ‘상향적 소비(Trading up)’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스트레스가 많고 시간에 쫓기는 현대 중산층 소비자들이 자신이 적절한 대접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개인의 소득범위 안에서 만족도가 낮은 상품의 소비는 줄이는 대신 사회 심리적 만족도가 높은 럭셔리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는 대리만족을 얻으려 하면서 일어난다.
브랜드 애착은 어떤 개념인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특정 시점에서의 브랜드 태도에 대해 다루고 있다. 브랜드 태도가 특정 브랜드의 직접적인 경험 없이 인지적 평가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는 비해 브랜드 애착은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누적되고 그에 따른 만족감이 반복되면서 형성된 유대감으로 정서적 측면이 강조되는 개념이다. 브랜드 애착에 관심을 가지는 연구자들은(Ball & Tasaki, 1992; Thomson et al.
상향적 소비현상은 왜 일어나는가? 보스톤 컨설팅 그룹(2002)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30대 중산층 소비자가 과거 부유층의 전유물이던 고급, 고성능, 고감성 상품을 구입하는 ‘상향적 소비(Trading up)’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스트레스가 많고 시간에 쫓기는 현대 중산층 소비자들이 자신이 적절한 대접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개인의 소득범위 안에서 만족도가 낮은 상품의 소비는 줄이는 대신 사회 심리적 만족도가 높은 럭셔리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는 대리만족을 얻으려 하면서 일어난다. 하지만 단지 과시적이고 유명 명품 브랜드를 추종하는 무조건적인 소비성향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격 선에서 자신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브랜드를 찾아 소비를 즐기면서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고은주. (2009).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서울: 예경. 

  2. 고은주, 오선민. (2009). 럭셔리 브랜드의 고객자산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7), 1025-1037. 

  3. 구영애. (2008). 매스티지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숙. (2005). 매스티지(Masstiege) 명품에 관한 고찰(제1보): 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1), 1381-1388. 

  5. 김선숙. (2006). 매스티지(Masstiege) 명품에 관한 고찰(제2보): 쇼핑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0(1), 12-19. 

  6. 김정란, 유태순. (2008). 패션제품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따른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499-505. 

  7. 김해룡, 이문규, 김나민. (2005). 브랜드 애착의 결정변수와 결과변수. 소비자학연구, 16(3), 45-65. 

  8. 명품시장 5조원시대-럭셔리 대명사 '루이비통' 한국매출 年 5900억. (2010, 7. 5).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10, 3. 31,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 

  9. 서정미, 조혜정, (2004). 새로운 소비계층. 매스티지. 서울; 삼성패션연구소. 

  10. 성영신, 한민경, 박은아. (2004).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5(3), 15-34. 

  11. 안광호, 임미화. (2008). 제품편익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과 자기감시성의 조절적 효과. 소비자학연구, 19(19), 169-189. 

  12. 이승희, 김미영. (2006)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4), 684-697. 

  13. 이영주. (2010). e-CRM 활동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8), 1277-1289. 

  14. 지식경제부. (2008). 2008 유통업체 매출동향. 지식경제부 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10, 3. 31, 자료출처 http://www.mke.go.kr 

  15.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16.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9 

  17. 최순화. (2008). 소비자의 브랜드 몰입에 관한 연구: 감정적, 행동적 몰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9(1), 45-67. 

  18. 한은경, 유재하. (2003). 브랜드 자산평가를 위한 감성 및 관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4). 37-66. 

  19. 허원무, 이완수, 황용희, 황미진. (2006). 이동통신 서비스 고객의 충성도 제고를 위한 편익 및 결속관리 전략. 광고연구, 70, 229-255. 

  20.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Free Press, pp. 15-55. 

  21. Assael, H. (1998). Consumer Behaviour and Marketing Action, 6th edition. Ohio.: South Western. 

  22. Ball, A. D., & Tasaki, L. H. (1992). The role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 155-172. 

  23. Bloch, P. H., Sherrell, D. L., & Ridgway, N. M. (1986). Consumer search: An extended framework.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June), 119-126. 

  24. Chaudhuri, A., & Holbrook, M. B. (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2), 81-93. 

  25. Chevalier, M., & Mazzalovo, G. (2008). Luxury brand management: A world of privilege. NJ: John Wiley & Sons Inc. 

  26. Dick, A. S., & Basu, K. (1994). Consu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99-113. 

  27. Dubois, B., & Duq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4. 

  28. Fournier, S.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March), 343-373. 

  29. Grossman, G. M., & Shapiro, C. (199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s Review, 78(1), 59-75. 

  30. Gruen, T. W., Summers, J. O., & Aclito, F. (2000). Relationship marketing activities, commitment, and membership behaviors in professional associations. Journal of Marketing, 64(July). 34-39. 

  31.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onsu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32. Morgan, R. M., &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July). 20-38. 

  33. Nueno, J. L., & Quelch, J. A. (1998). The mass marketing of luxury. Business Horizons, 46(6), 61-68. 

  34. Oliver, R. L. (1999).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Special Issue). 33-43. 

  35. Park, C. W., Maclnnis. D. J., & Priester, J. (2006). Beyond attitudes: Attachment and consumer behavior. Seoul Journal of Business, 12(2), 3-35. 

  36.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Homewood, IL; Irwin, Inc. 

  37. Popcorn, F., & Marigold, L. (1998). Clicking: 17 trends that drive your business and your life. New York: Harper Collins Inc. 

  38. Silverstein, M. J., & Fiske, N. (2003). Luxury for the masses. Harvard Business Review, 81(4), 49-57. 

  39. Silverstein, M.J. & Fiske, N. (2002). Trading up: the new luxury and why we need it. Boston, Massachusetts: Boston Consulting Group. 

  40. Tomson, M., MacInnis, D., & Park, C. W. (2004).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5(1), 77-91. 

  41. Vigneron, F., & Johnson, L. W.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1, 1-15. 

  42. Wester, F. E. Jr. (2000).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brands, consumers and reseller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1), 17-23 

  43. Yim, C. K, Tse. D. K., & Chan, K. W. (2008). Strengthening customer loyalty through intimacy and passion: Roles of customer-firm affection and customer-staff relationships in servi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6), 74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