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어머니의 산후 우울과 아기 기질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emperament of Infant on Child-care Stress among Mothers of Newborn Infa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2, 2011년, pp.69 - 73  

권혜진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최미혜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주연 (수원과학대학 간호과) ,  안영미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김기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mother and infant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child-care stress among the mother of newborn infa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영아기의 경우 산모를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산후 우울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Kwon, Kim, Kim, & Jang, 2006), 모자보건의 통합적 접근 측면에서 성장발달 초기단계인 12개월 미만의 영아기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찾고자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아기 대상 어머니가 지각한 산후 우울 및 아기 기질을 파악하고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성장발달 과정에서 아동의 정서 및 행동발달뿐 아니라 모자녀 애착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산후 우울정도, 아기 기질, 양육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이 변수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장발달 초기단계인 영아기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찾기 위해 어머니가 지각한 산후 우울 및 아기 기질을 파악하고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8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특별시 1개 보건소에 자녀의 예방접종을 목적으로 방문한 어머니를 편의 추출하였으며 95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 산후 우울, 아기 기질을 파악하였으며 상관관계 결과 양육 스트레스는 산후 우울 및 아기 기질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변수의 영향력 확인을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산후 우울과 아기 기질은 양육 스트레스를 30% 설명해주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산후 우울 중재와 아기 기질 및 양육 환경관리를 통한 중재와 연구를 제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출산과 관련된 양육 스트레스 중재방안 마련을 위해 어머니측 요인인 산후 우울과 영아측 요인인 아기 기질을 파악하여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 M., & Kim, J. H. (2003).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80-590. 

  2. Bai, J. Y. (1996).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4. Cho, B. H., & Yang, M. S. (2001).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 with infant. Journal of Science for Human Life, 5, 79-87. 

  5. Choi, E. S., & Oh, J. A. (2000).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 358-371. 

  6.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7. Cox, J. L., Murray, D., & Chapman, G. (1993). A controlled study of the onset, duration and prevalence of postnatal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3, 27-31. 

  8.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9. Han, K. J., & Bang, K. S. (2000). Tempera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6, 132-143. 

  10. Kang, H. K. (2003). 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2), 31-38. 

  11. Kim, J. I. (2006). A vail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204-209. 

  12. Kim, J. Y. (2003). Psycho-social predicting factor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13. Kwon, M. K., Kim, H. W., Kim, N. S., & Jang, J. A.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314-321. 

  14. Lee, D. K., Cho, H. L., Kim, D. I., & Lee, T. K. (2001). A clinical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traditional Gynecologic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14, 328-335. 

  15. Lee, S. Y., & Kwon, I. 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infant's feeding meth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231-239. 

  16. Lee, Y. E., Kang, Y. H., Park, H. S., Hwang, E. J., & Moon, M. Y. (2003). Relationship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and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206-220. 

  17. Lee, Y. J., & Park, K. (2005).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Psychotherapy, 5(2), 39-57. 

  18. Lumley, J., & Austin, M. P. (2001). What interventions may reduce postpartum depression.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13, 605-611. 

  19. Park, H. M. (1994). A study on parental stress based on the parention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Park, J., Lee, K., & Shin, Y. (2009). Effect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 549-566. 

  21. Park, Y. J., Shin, H. J., Ryu, H., Cheon, S. H., & Moon, S. 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722-728. 

  22. Seo, S. J. (2004).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4), 11-27. 

  23. Shin, H. S., & Kim, J. M. (2010).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maternal depress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53-461. 

  24. Statistics Korea. (2010, May 14). Press report. Retrieved August 11, 2010, http://kosis.kr/metadata/main.jsp?surv_id36&curYear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