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Media Addiction on Television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Cellular Addiction,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4, 2013년, pp.270 - 281  

구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토대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생 58명(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주 2-3회, 4주간 10회기의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와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 추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동일한 시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텔레비전 중독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충동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변화 양상이 다르지 않았다. 결론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중독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올바른 텔레비전 사용 습관을 기르도록 도와서, 이후 심각한 문제 행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revention program for media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elevision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impulsivenes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매체 중독에 대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고찰 하여 텔레비전, 인터넷, 휴대전화 중독이 지닌 공통점과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및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중독은 충동 조절 장애로 정의되고(Young, 1998), 충동성은 휴대전화 중독을 판별하는 유의한 예측 요인이며(Lee et al., 2007),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이 계속 사용하려는 충동을 스스로 조절 하지 못하여 발생하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충동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텔레비전 중독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의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매체 사용 습관 형성을 위해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텔레비전 중독 점수가 더 감소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도입 단계에서는 지난 회기 내용을 요약하고, 지난 회기 주제와 관련하여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실천일지 등 과제가 있었으면 잘 수행했는지 점검하고, 실천을 잘 한 것에 대해 칭찬하였다. 또한 이번 회기 목적과 진행과정을 안내하고, 주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관련 사례를 간단히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매체 중독에 대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고찰 하여 텔레비전, 인터넷, 휴대전화 중독이 지닌 공통점과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및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중독은 충동 조절 장애로 정의되고(Young, 1998), 충동성은 휴대전화 중독을 판별하는 유의한 예측 요인이며(Lee et al.

가설 설정

  • 부가설 3-2. 실험군의 문자메시지 발신 횟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3-3. 실험군의 문자메시지 수신 횟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2-2. 실험군의 인터넷 사용 시간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의 인터넷 중독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2-1. 실험군의 인터넷 중독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실험군의 충동성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1-2. 실험군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1-1. 실험군의 텔레비전 중독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의 휴대전화 중독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가설 3-1. 실험군의 휴대전화 중독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토대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초등학생에게 개발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파악한다.
인터넷 중독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사용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여 인터넷 사용에 더욱 몰입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Young, 1998). 인터넷 중독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심각한 손상을 가져오는데, 인터넷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수면과 신체적 건강 상태가 나쁘고(Lee, Lee, Paik, Kim, & Shin, 2001), 우울하며(Lee, Oh, Cho, Hong, & Moon, 2001), 학교생활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Lee,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att, E. S., & White, R. (1969).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44, 604-607. 

  2. Cho, B. H. (2001). Human development. Seoul: Kyoukkahaksa. 

  3.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839-852. 

  4. Jang, H. J., & Shin, H. J. (2003). The effect of a protection program for adolescent excessive use of interne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Psychotherapy, 15, 651-672. 

  5. Kang, J. H., & Koo, B. J. (2010). The effect of watching TV and computer on physical activity and self-efficacy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5(1), 201-212. 

  6. Kang, J. S., Choi, K. J., & Chang, S. J. (2011). A study of the development media education methods for adolescent television addiction: Focusing on FGI with media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1(4), 35-67. 

  7. Kang, J. S., & Lee, J. Y. (2011). Q methodological research of cause and prevention of youth TV addiction: Focusing on subjective case of media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5(1), 79-108. 

  8. Kim, H. S. (2000). Caught in the net. Seoul: The house of sharing. 

  9. Kim, J. Y., & Ryu, H. S. (2003). Relationships among school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 198-205. 

  10. Kim, S. A., & Kim, S. E. (2012). A meta-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media addiction in Korea. Media, Gender and Culture, 23, 5-45. 

  11.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12. Koo, H. Y. (2011a).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cell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 91-99. http://dx.doi.org/10.4094/ jkachn.2011.17.2.91 

  13. Koo, H. Y. (2011b). Educational needs for children and parents regarding children's cell phone u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296-305. 

  14. Koo, H. Y., & Park, H. S. (2010).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56-65.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1.56 

  15. Koo, H. Y. (2012). Effects of a cell phone use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f cell phone u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 109-11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9 

  16. Koo, H. Y., & Yoo, M. S.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 76-84. http://dx.doi.org/10.4094/ jkachn.2012.18.2.76 

  17. Lee, E. O., Im, N. Y., & Park, H. A. (1998).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8. Lee, G.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ddiction and media flow in the internet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7(2), 243-263. 

  19. Lee, H. C., & Ahn, C. Y.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 463-486. 

  20. Lee, H. J., Kim, M. S., Son, H. K., Ahn, S. H., Kim, J. S., & Kim, Y. H.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57-965. 

  21. Lee, H. S. (1992). Impulsiveness test guide. Seoul: Hankook guidance. 

  22. Lee, M. S., Oh, E. Y., Cho, S. M., Hong, M. J., & Moon, J. S. (2001). An assessment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problems related to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4), 616-626. 

  23. Lee, S. B., Lee, K. K., Paik, K. C., Kim, H. W., & Shin, S. K. (2001).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6), 1174-1184. 

  24. Lim, J. S., Park, J. O., & Kim, S. S. (2004). Development of counseling support system model for improving student's internet addiction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8, 523-535. 

  25. Oh, I. S., Kim, C. J., & Kim, C. (2007). The effects of a parent-child coun seling program on preventing elementary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1, 307-316. 

  26. Salama, O. E., Abou, E. I., & Naga, R. M. (2004). Cellular phones: Are they detrimental?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9, 197-223. 

  27. Yang, M. K., & Oh, W. O. (2007). Effects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on self-control and time spent on internet gam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282-290. 

  28. Yoon, G. A. (2002). Television watching, family social class, parental overweight, and parental physical activity levels in relation to childhood overweight.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7(2), 177-187. 

  29. Yoon, Y. T. (2009). A study on media education and media addictio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13(1), 45-67. 

  30.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