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4 no.2, 2011년, pp.23 - 50
하홍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김기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박현국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LeiGongPaoZhiLun" is the first pharmaceutical book, and there are various opinion on when LeiXiao(雷斅), the author lived. From the aspect of several data, it is appropriate most that LeiXiao live in the period of Sui(隋) Dynasty, like SuSong(蘇頌) in the Sung Dynasty said, This book was not made at on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한의학에서 포제는 무엇인가? | 한의학에서 포제는 “약재의 질과 치료 효능을 높이고 보관, 조제, 제제하는데 편리하게 할 목적으로, 1차 가공을 한 약재를 다시 제정된 방법대로 가공 처리하는 방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1) | |
포제의 이명에는 무엇이 있는가? | 포제는 역대로 “炮炙”, “治削”, “修治”, “修事”, “修合”, “合和”, “修制” 등이라 명명하였다. 고대로 부터 烹調術이 발전함에 따라 炮制術도 탄생하여 先秦시기에 이르기까지 경험이 누적되었고, 馬王堆 漢墓에서 출토된 「五十二病方」 등에 약물의 淨選, 粉碎, 炮炙, 劑型 등에 관한 기재가 많이 나타난다. | |
雷公炮炙論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雷公炮炙論」을 지은 雷斅가 어느 시기 사람인지에 대한 설이 분분하지만 여러 가지 자료들을 살펴볼 때 宋代 蘇頌이 말한 隋代사람이라는 주장이 가장 타당하다고 보인다. 그리고 이 책은 일시에 한 사람의 손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최초에는 雷斅가 저작하였으나, 후인이 증보시켜 점차 만들어진 것이다. 「雷公炮炙論」의原書는 이미 逸失되었고 「證類本草」에 이르러 비로소 이 책을 대량으로 인용하였다. |
李秉書, 尹暢烈. 道敎醫學에 관한 硏究. 대한원전의사학회지 vol. 6. 1992. p.264.
尙志鈞. 中成藥硏究. 1982(4). p.46. pp.45-46.
范行准. 中華文史論叢 第六輯 兩漢三國南北朝隋唐醫方簡錄. 香港. 中華書局. 1965. p.325, p.341.
宋大仁, 丘晨波. 浙江中醫雜志. 1957(8). pp.31-32.
劉祖貽, 孫光榮 主篇. 中國歷代名醫名述. 北京. 中醫古籍出版社出版. 2002. p.155, 156.
南北朝. 雷斅. 雷公?炙論通解. 西安. 三秦出版社. 2001. p.8, 12, 13, 14, 16, 18, 19, 20, 21, 22, 24, 27, 31, 32, 37, 38, 39, 41, 44, 46, 49, 50, 51, 52, 54, 55, 58, 59, 63, 65, 70, 74, 77, 80, 82, 88, 92, 94, 96, 98, 99, 101, 103, 105, 109, 111, 113, 114, 118, 120, 124, 126, 127, 129, 131, 134, 136, 138, 140, 141, 144, 145, 147, 150, 151, 155, 159, 160, 162, 163, 164, 166, 168, 169, 172, 175, 179, 181, 182, 184, 186, 188, 191, 193, 195, 197, 199, 200, 201, 203, 205, 206, 208, 209, 210, 212, 214, 216, 218, 219, 221, 222, 223, 226, 228, 232, 234, 235, 238, 240, 241, 243, 244, 246, 247, 248, 250, 251, 253, 255, 258, 259, 260, 261, 262, 265, 269, 273, 274, 281, 286, 287, 288, 294, 295, 297, 300, 302, 305, 307, 309, 311, 312, 314, 315, 316, 318, 320, 321, 323, 324, 325, 330, 331, 332, 333, 337, 338, 341, 345, 348, 350, 351, 352, 354 ,355 ,356, 357, 359, 362, 363, 364, 365, 367, 371, 372, 374, 375, 376, 377, 379, 755. pp. 31-32, 51-52, 179-180, 270-271, 274-275, 283-284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편. 한의학대사전. 서울. 정담. 1998. p.536.
孫思邈. 備急千金要方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7. p.25.
蘇頌. 本草圖經. 合肥. 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94. p.19.
張仲景. 敦煌中醫藥全書. 北京. 中國古籍出版社. 1994. p.58.
東醫學叢書 醫方類聚 卷1. 서울. 麗江出版社. 1991. p.152.
徐春甫. 古今醫統大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1. p.3.
嚴世藝 主編. 中國醫籍通考 卷1. 上海. 上海中醫 學院出版社出版. 1990. p.1366.
明.熊宗立. 名方類證醫書大全 醫學源流.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8. p.2.
明.陳嘉謨. 歷代名醫閣姓氏 本草蒙筌.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8. p.34.
沈括 撰 胡道靜 校注. 新校正夢溪筆談. 香港. 中華書局. 1987. p.328.
唐愼微 編著.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서울. 大星文化社. 1983. p.33. 41. 89. 104. 290.
隋書. 北濟書.隋書. 서울. 景仁文化社. 1983. p.687.
李時珍. 中國醫學大系 40卷 本草綱目. 서울. 麗江出版社. 1978. p.772*310. p.772*338.
葛洪. 葛洪?後備急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63. p.97.
姚振宗. 續修四庫全書 卷915 隋書經籍志考證.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 p.600.
李仲梓. 續修四庫全書 卷993 本草通玄.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 p.58.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