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수 개발을 위한 수조육류 및 부재료의 최적 배합비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ropriate Mixing Ratios of Various Animal Meats with Other Ingredient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Stock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4, 2011년, pp.409 - 415  

신명은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이경희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ck that can be used to make a variety of dishes. For this, stock was prepared with beef, chicken, and pork meat as animal meats as well as anchovy, mushroom, and sea tangle as other ingredients. The qualities of six[only four though] kinds of stocks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수의 주재료로서 수조육류 중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이용한 육수를 제조하고, 부재료로서 육수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멸치, 표고버섯, 다시마를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한 후 이들 재료의 배합비가 가장 좋은 육수를 관능검사를 통하여 검토하고, 육수의 전반적인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조육류를 이용한 육수와 부재료를 이용한 육수 중에서 가장 배합비율이 좋은 육수를 선택하여 두 육수의 혼합비율에 따른 감칠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혼합비율을 알아내어 감칠맛이 강한 육수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수의 주재료로서 수조육류 중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이용한 육수를 제조하고, 부재료로서 육수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멸치, 표고버섯, 다시마를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한 후 이들 재료의 배합비가 가장 좋은 육수를 관능검사를 통하여 검토하고, 육수의 전반적인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조육류를 이용한 육수와 부재료를 이용한 육수 중에서 가장 배합비율이 좋은 육수를 선택하여 두 육수의 혼합비율에 따른 감칠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혼합비율을 알아내어 감칠맛이 강한 육수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육수의 주재료로서 수조육류 중 쇠고기, 닭 고기, 돼지고기를 이용한 육수를 제조하고, 부재료로서 육수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멸치, 표고버섯, 다시마를 이용 하여 육수를 제조한 후 이들 재료의 배합비가 가장 좋은 육수를 관능검사를 통하여 검토하였고 육수의 전반적인 기호 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조육류를 이용한 육수와 부재료를 이용한 육수 중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시료를 선택하여 각 각의 육수를 5% 레벨로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한 후 육수의 감칠맛의 정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주·부식 분리형의 일상식이 행해진 것은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주·부식 분리형의 일상식이 행해졌고, 일상식의 부식 중국이 기본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국은 갱, 학, 탕으로 표기되며 1800년대의 「시의전서(是議全書)」에 생치국이라 하여 국이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나온다.
국물음식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국물음식은 여러 종류의 수조육류, 어패류, 채소류, 해조류 등으로 국물의 맛이 우러나게 육수를 끓여 만든 음식으로 특히 이 가운데 수조육류를 이용한 국물음식들이 예로부터 문헌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민족의 이들에 대한 기호도가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정 1990; Ryn 등 1992).
세계에서 보기 드문 우리 민족 특유의 식사방법은 무엇인가? 국은 갱, 학, 탕으로 표기되며 1800년대의 「시의전서(是議全書)」에 생치국이라 하여 국이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나온다. 우리민족을 탕민족이라고 할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은 식사할 때 국을 필요로 하며 많은 사람들이 밥을 국에 말아먹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한 1990). 이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우리 민족 특유의 식사방법으로 우리나라에서 국물음식의 조리법이 발달했기 때문인 것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상보. 1995. 조선왕조 궁중 연회식 의궤음식의 실제. 수학사. 서울. p 99 

  2. 김용. 1998. 처음 맛보는 북한 별미. 서울문화사. 서울. p 26 

  3. 김정은. 2009. 감칠맛의 비밀. 램덤하우스. 서울. pp 15-29 

  4. 이용기. 1943.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p 66-67 

  5.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pp 187-205 

  6. 정순자. 1990. 한국조리. 신광출판사. 서울. p 27, 45 

  7. 정청송. 1998. 조리기술이론. 경희대학교 출판국. 서울. p 315 

  8. 주현규. 1995. 식품분석법. 학문사. 서울. p 616, 636, 653 

  9. 한국 갤럽 조사 연구소. 1990. 한국인의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전국민의 식생활 실태와 life style을 밝힌 전국 조사보고서 

  10. 한복려. 1990. 한국의 밥상.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11. 황혜성. 1996.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32 

  12. Byun GI, Kim DJ, Choi SK. 2008. Purchase Accommodation Attitude of Commercial stock Merchandise -Focused on Cuisiniers of Deluxe Hotels-. Korean J. Culinary Res., 14(2):115-127 

  13. Cha WS. 2004.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J. Life Sci., 14(5):829-833 

  14. Choi SK, Choi HS, Lee JS, Kim SH. 200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prepared by different methods. Korean J. Culinary Res., 7(3):45-56 

  15. Donovan MD. 1991. The New Professional Chef Van Nostrand Reinhcld. 297-302 

  16. Han BJ. 1995. The Historical Study and Standard Traditional Cooking Methods of Sinsulr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3):317-337 

  17. Hijaru O, Yasuo G, Isao O. 1976. Pharmacological studies on laminine monocitrate. Yakugku Zasshi. 87:935-939 

  18. Kim DS, Kim JS, Choi SK. 2008. The mineral contents chicken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s-Using a High-Pressure Extraction Cooking. Korean J. Culinary Res., 14(4):283-291 

  19. Kim US, Choi IS, Koo SJ. 2001.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for korean cold noodle stock.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589-597 

  20. Kwon SJ, Miyuki Adachi, Mo SM, Choi KS, Kim JH, Koh HJ. 1991. A Preliminary Study of Ecological Aspects of Food on a Kind of Gom-Tang (Beef Soup made with Internal Organs and Bome) Intake. Korean J. Dietary Culture, 6(4):421-432 

  21. Lee HR, Lee JM, Na SM. 2003. Development and Taste Component Composition of Naengmyun Broth using Edible by-products of chicken. Korean J. Food Culture, 18(6):584-591 

  22. Lee JM, Shin KS, Choi SE. 1999.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utilization of broth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broth product. Korean J. Dietary Culture, 14(1):57-65 

  23. Lee JM, Kim KO, Choi SE. 2000. Effect of soaking and blanching chicken-head in the preparation of chickenhead bro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674-680 

  24. Lee SU, Minamide T, Othani K, Tomita K, Lee MH, Han JS, Suh BS. 2002. The effect of organic acids on mineral extraction from chicken thigh bone stoc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5):379-387 

  25. Lee YK, Chun HJ, Lee HG. 1992.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Gooumguk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7(4):339-362 

  26. Oh KS, Ro RH, Lee EH, Park HY. 1989. Processing of the Intermediate product (Frozen seasoned anchovy meat) derived from anchovy.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498-504 

  27. Park HO, Lee HJ. 1995. A study o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s of chicken bone extracts by boiling tim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1(3):244-248 

  28. Ryu KL, Kim TH. 1992.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I. cookery of soup based on beef-. Korean J. Dietary Culture, 7(3):223-235 

  29. Tadahiko K, Akikazu H, Testsuo K, Asakazu I, Tomoyuki T. 1988. Study of flavor compounds of essential oil extracts from edible Japanese Kelps. J of Food Sci., 53:9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