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한 과채류 주스 음용으로부터 한국인의 일인당 하루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섭취량 추정
Estimation of Daily Per Capita Intake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ies from Fruit and Vegetable Juices in the Korean Die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4, 2011년, pp.475 - 482  

이봉한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김선영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조치흥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정대균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및 피부생명공학센터) ,  전옥경 (코네티컷주립대학교 영양학과) ,  김대옥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상위 7종류의 과채류 주스(사과, 포도, 감귤, 오렌지, 석류, 파인애플, 토마토)를 선정하고, 이 주스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항산화능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2008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 분석을 통해 오렌지 주스(6.31 g/capita/day), 포도 주스(2.28 g/capita/day), 토마토 주스(1.50 g/capita/day), 감귤 주스(1.23 g/capita/day), 사과 주스(1.05 g/capita/day), 석류 주스(0.17 g/capita/day), 파인애플 주스(0.05 g/capita/day) 등 7가지 과채류 주스의 하루 일인당 주스 소모량을 산출하였다. 총 7종류의 과채류 주스의 섭취를 통해서 얻어진 일인당 하루 섭취량의 경우, 총페놀 섭취량은 11.70 mg GAE/capita/day, 총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1.65 mg CE/capita/day, 그리고 항산화능은 10.42 mg VCE/capita/day(DPPH 분석법)와 13.21 mg VCE/capita/day(ABTS 분석법)였다. 일인당 하루 총페놀 섭취량, 총플라보노이드 섭취량 및 항산화능 섭취량 추정은 과채류 주스의 페놀성 화학물질 등의 생리활성성분의 농도뿐만 아니라 일인당 하루 과채류 주스 소모량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an analysis of the daily consumption per capita (g/capita/day) in the existing datase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he top seven fruit and vegetable juices (apple, grape, mandarin, orange, pineapple, pomegranate and tomato) commercially available on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과채류 주스를 통해서 얻어지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에 대한 한국인 일인당 하루 섭취량 추정에 대한 정보는 빈약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상업적으로 판매 중인 과채류 주스 중 가장 많이 소비되는 7가지 과채류 주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을 정량하고,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24시간 회상법에서 나온 식품섭취 자료를 바탕으로 일인당 주스 하루 소모량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채류 주스를 통하여 얻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에 대한 일인당 하루 섭취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상위 7종류의 과채류 주스(사과, 포도, 감귤, 오렌지, 석류, 파인애플, 토마토)를 선정하고, 이 주스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2008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 분석을 통해 오렌지 주스(6.

가설 설정

  • 1)Antioxidant capacities were evaluated using DPPH.
  • 과채류 주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의 일인당 하루 섭취량 추정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 및 각 함량에 대한 화학적 분석법 결과치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다음 식들에 의해서 계산되었다. 원시자료의 과채류 주스 하루 일인당 섭취량 계산시 주스의 수분 함량이 많음을 고려하여 주스의 밀도를 1 g/mL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상위 7종류의 과채류 주스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을 정량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05 g/capita/day) 등 7가지 과채류 주스의 하루 일인당 주스 소모량을 산출하였다. 총 7종류의 과채류 주스의 섭취를 통해서 얻어진 일인당 하루 섭취량의 경우, 총페놀 섭취량은 11.70 mg GAE/capita/day, 총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1.65 mg CE/capita/day, 그리고 항산화능은 10.42 mg VCE/capita/day(DPPH 분석법)와 13.21 mg VCE/capita/day(ABTS 분석법)였다. 일인당 하루 총페놀 섭취량, 총플라보노이드 섭취량 및 항산화능 섭취량 추정은 과채류 주스의 페놀성 화학물질 등의 생리활성성분의 농도뿐만 아니라 일인당 하루 과채류 주스 소모량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상위 7종류의 과채류 주스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상위 7종류의 과채류 주스(사과, 포도, 감귤, 오렌지, 석류, 파인애플, 토마토)를 선정하고, 이 주스들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2008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 분석을 통해 오렌지 주스(6.
과일 및 채소의 섭취의 효과는 무엇인가?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과일 및 채소의 섭취는 건강과 밀접한 연계성이 있으며, 섭취량이 많을수록 심혈관질환, 암 등의 발병률과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과채류에 있는 활성 물질들은 항산화능이 있어 암, 치매 등과 같은 퇴행성 만성 질환 등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4). 과채류의 생리활성 물질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phenolic phytochemicals), 식이섬유(dietary fibers),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s), 알칼로이드(alkaloids) 등이 있으며, 비록 이것들은 생체 내에서 필수 성분들은 아니지만, 건강 증진 및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대표적 식물성 화학물질인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s)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해서 야기되는 단백질, DNA, 지질 등의 산화적 손상으로 발병되는 암, 치매, 심혈관질환, 피부노화 등에 대해서 보호작용을 나타냄으로써 발병률을 줄여줄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2008) 

  2. Lee MC. A processing technology on the fruit juice beverage. Food Sci. Ind. 13: 22-33 (1980) 

  3. van'T Veer P, Jansen MC, Klerk M, Kok FJ.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prevention of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ublic Health Nutr. 3: 103-107 (2000) 

  4. Stanner SA, Hughes J, Kelly CNM, Buttriss J.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the 'antioxidant hypothesis'. Public Health Nutr. 7: 407-422 (2003) 

  5. Nijveldt RJ, van Nood E, van Hoorn DEC, Boelens PG, van Norren K, van Leeuwen PAM. Flavonoids: A review of probable mechanisms of 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Am. J. Clin. Nutr. 74: 418-425 (2001) 

  6. McCarthy MA, Matthews RH. Nutritional quality of fruits and vegetables subject to minimal processes. pp. 313-326. In: Minimally Processed Refrigerated Fruits and Vegetables. Wiley RC (ed.). Chapman and Hall, New York, NY, USA (1994) 

  7. Ruxton CHS, Gardner EJ, Walker D. Can pure fruit and vegetable juices protect against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oo? A review of the evidence. Int. J. Food Sci. Nutr. 57: 249-272 (2006) 

  8. Singleton VL, Rossi JA Jr.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9.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10. Kim D-O, Lee KW, Lee HJ, Lee CY.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 Food Chem. 50: 3713-3717 (2002) 

  11.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4th report). Seoul, Korea (2008) 

  13. Popkin BM. Patterns of beverage use across the lifecycle. Physiol. Behav. 100: 4-9 (2010) 

  14. Kim IS, Ahn HS. Beverage consumption patterns of inhabitants in Seoul. Korean J. Nutr. 20: 281-288 (1987) 

  15. Storey ML, Forshee RA, Anderson PA. Beverage consumption in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106: 1992-2000 (2006) 

  16. Marin FR, Martinez M, Uribesalgo T, Castillo S, Frutos MJ. Changes in nutraceutical composition of lemon juices according to different industrial extraction systems. Food Chem. 78: 319- 324 (2002) 

  17. Tanrıoven D, Ek?i A. Phenolic compounds in pear juice from different cultivars. Food Chem. 93: 89-93 (2005) 

  18. Prior RL, Cao G, Martin A, Sofic E, McEwen J, O'Brien C, Lischner N, Ehlenfeldt M, Kalt W, Krewer G, Mainland CM. Antioxidant capacity as influenced by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 maturity, and variety of Vaccinium species. J. Agr. Food Chem. 46: 2686-2693 (1998) 

  19. Vinson JA, Su X, Zubik L, Bose P.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Fruits. J. Agr. Food Chem. 49: 5315-5321 (2001) 

  20. Proteggente AR, Pannala AS, Paganga G, van Buren L, Wagner E, Wiseman S, van de Put F, Dacombe C, Rice-Evans CA.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gularly consumed fruit and vegetables reflects their phenolic and vitamin C composition. Free Radical Res. 36: 217-233 (2002) 

  21. Floegel A, Kim D-O, Chung SJ, Song WO, Fernandez ML, Bruno RS, Koo SI, Chun O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lgorithm to establish a total antioxidant capacity database of the US diet. Int. J. Food Sci. Nutr. 61: 600-623 (2010) 

  22. Lema?ska K, Szymusiak H, Tyrakowska B, Zieli?ski R, Soffers AEMF, Rietjens IMCM. The influence of pH 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of hydroxyflavones. Free Radical Bio. Med. 31: 869-881 (2001) 

  23. Yoo KM, Kim D-O, Lee CY.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2007) 

  24. Boyer J, Liu RH. Apple phytochemicals and their health benefits. Nutrition J. 3: 1-15 (2004) 

  25. van der Sluis AA, Dekker M, Skrede G, Jongen WMF.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in apple juice. 1. Effect of existing production methods. J. Agr. Food Chem. 50: 7211-7219 (2002) 

  26. Guyot S, Marnet N, Sanoner P, Drilleau JF. Variability of the polyphenolic composition of cider apple (Malus domestica) fruits and juices. J. Agr. Food Chem. 51: 6240-6247 (2003) 

  27. Esterbauer H, Gebicki J, Puhl H, Jurgens G. The role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modification of LDL. Free Radical Bio. Med. 13: 341-390 (1992) 

  28. Sies H. Strategies of antioxidant defense. Eur. J. Biochem. 215: 213-219 (1993) 

  29. Keevil JG, Osman HE, Reed JD, Folts JD. Grape juice, but not orange juice or grapefruit juice, inhibits human platelet aggregation. J. Nutr. 130: 53-56 (2000) 

  30. O'Byrne DJ, Devaraj S, Grundy SM, Jialal I.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concord grape juice flavonoids and $\alpha$ -tocopherol on 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healthy adults. Am. Soc. Clin. Nutr. 76: 1367-1374 (2002) 

  31. Sgambato A, Ardito R, Faraglia B, Boninsegna A, Wolf FI, Cittadini A. Resveratrol, a natural phenolic compoun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events oxidative DNA damage. Mutat. Res.- Genet. Tox. En. 496: 171-180 (2001) 

  32. Gil MI, Tomas-Barberan FA, Hess-Pierce B, Holcroft DM, Kader AA.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jui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henolic composition and processing. J. Agr. Food Chem. 48: 4581-4589 (2000) 

  33. Du CT, Wang PL, Francis FJ. Anthocyanin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J. Food Sci. 40: 417-418 (1975) 

  34. Bourne LC, Rice-Evans C. Bioavailability of ferulic acid. Biochem. Bioph. Res. Co. 253: 222-227 (1998) 

  3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