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패션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개발 교육사례 분석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in World Fashion School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7, 2011년, pp.748 - 760  

이민선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a of well-known fashion sch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Six fashion sc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교육 개발원은 창의성을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해 창의성 요인으로 어떠한 것을 제안하고 있는가? 예를 들어 Guilford (1950)는 창의적 문제해결의 요소로서 문제에 대한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꼽았고, Williams(1979)와 Torrance(1962)는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을 꼽았다. 한국교육 개발원(as cited in Park, 2010)은 이러한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창의성을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해 5가지 창의성 요인,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민감성, 정교성을 제안하고 있다. 각각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창의성에 관한 개념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창의성이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으로, 과거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Erdahl, 1953) 또는 독창적이면서 목적이나 의도에 적절하도록 일을 하는 것(Baer, 1997) 등으로 정의한다. 또한 창의성을 문제해결의 측면에서 정의한 학자들도 있다.
산업현장 중에서도 패션산업계에서의 창의성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업현장 그 중에서도 패션산업계에서의 창의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패션이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표현하고, 충족하는 매체 중 생활 속에서 가시성이 크며 따라서 영향력 또한 크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abile, T.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2nd ed.). Boulder, CO: Westview Crest, Inc. 

  2. Arieti, S. (1976).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NewYork: Basic Books. 

  3. Baer, J. M. (1997). Creative teachers, creative students. Boston, MA: Allyn & Bacon. 

  4. Choi, G.. & Chae, J. (2000). The application of Gordon'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Synectics) to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among male students in a junior high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2(3), 1?17. 

  5.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3?33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Eberle, R. F. (1971). SCAMPER: Games for imagination development. Buffalo, NY: D.O.K. Publishers. 

  7. Erdahl, J. E. (1953). Pactore of importance for creativ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 22?26. 

  8. Gallagher, J. J. (1975). Teaching the gifted child (2nd ed.). Boston, MA: Allyn & Bacon. 

  9. Gardner, H. (1989). To open minds. New York: Basic Books. 

  10. Gladding, S. T., & Henderson, D. A. (2000). Creativity and family counseling: The SCAMPER model as a template for promoting creative processes. The Family Journal, 8, 245?249. 

  11.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12.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11?3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Kim, Y. (2006). Nurturing creative talents and building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Lee, J., Ho, S., Jeon, J., Ku, Y., & Jin, S. (2005). A study of creative thinker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KRWP (Report Number: KR 2005-33). Seoul: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5. Lee, S. (2002). The effect of Parne's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on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16. Lubart, T. I. (1994). Product-centered self-evaluation and the creative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ale University, New Haven, CT. 

  17. Mayer, R.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116?133).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Nickerson, R.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116?133).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Ochse, R. (1990). Before the gates of excellence: The determinants of creative geniu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Park, J. (2010).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nd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for the advanc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of a middle school technology-home-economics textbook: Based on 2007 revised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1.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er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2. Razik, T. A. (1967/1970). Psychometric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P. E. Vernon (Ed.), Creativity: Selected readings (pp. 155?166). Harmondsworth: Penguin Books. 

  23. Root-Berstein, R., & Root-Berstein, M. (2001). Sparks of genious-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J. Park, Trans.). Seoul: Library of Eco.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4.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2. 

  25. Sternberg, R. J. (Ed.).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Torrance, E. P. (1959). Current research on the nature of creative tal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I(4), 6?11. 

  27.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8. Williams, F. E. (1979). Assessing creativity across Williams Cube Model. Gifted Child Quarterly, 23(4), 748?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