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수오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7 no.4, 2011년, pp.35 - 46  

이계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검정콩 탁주를 발효원으로 한 증편에 기능성 재료로 경북 특산물인 하수오를 0, 2, 4, 6, 8%로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하수오 분말을 첨가할수록 pH는 높게 나타났으며 증편의 팽화율은 대조군에 비해 하수오 2%, 4%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하수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편의 항산화성이 증가하였으며 색도에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은 증가하였다. 경도는 하수오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전체적인 관능검사에서는 하수오 첨가량 4%증편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의 상관관계 결과 색도에서 L값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경도와 부서짐성이 전체적인 관능항목과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수오 증편의 내부구조를 살펴 본 결과 6%이상 첨가 시 기공이 커지고 불규칙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약리적인 기능과 항산화성을 가진 하수오를 증편에 첨가함으로써 증편의 기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수오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군에 비해 조직감이나 증편 모양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만 하수오 4% 첨가 증편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과 동시에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ed hasuo jeungpyun with added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to increase the functional value and flavor of traditional jeungpyun. Hasuo jeungpyun containing 0, 2, 4, 6 and 8%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was prepared and the moisture contents, pH, color, texture and sensory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증편의 기공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제조한 증편을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85℃ deep freezer에서 동결시킨 후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동결 건조한 시료를 gold ion coating으로 피복한 후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4200, Hitach, Japan)으로 5, 10 KV 가속 전압해서 20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사진 촬영하였다.
  • 뿐만 아니라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에도 널리 사용되며 하수오는 노인들의 기력을 돋우는데 매우 좋은 약으로 장수약재로 사용되어진다(Lim SJ 등 2003). 선행연구로 경북에서 생산되어지는 주요 특산물인 하수오의 약리적인 성질과 생리활성 등의 보고는 많으나 식품에 첨가한 연구보고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으며 증편의 다양화와 하수오의 용도 개발의 일환으로 증편 제조에 첨가하여 웰빙 시대에 적합한 증편을 개발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기계적 품질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mastication test를 실시하였고 plunger diameter 10 mm, table speed 60 mm/min, sample height 10 mm, load cell 2 kg의 조건으로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시료는 표면을 제거시키고 분석하였으며 견고성(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 (chewiness), 부서짐성(brittleness)을 측정하였다.
  • 제조 직후 30 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시료는 몰드에서 꺼낸 상태로 제공하였으며 시료 번호는 난수표를 이용하여 3자리 숫자로 지정하였으며 직경 25 cm 흰 접시에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관능 요원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16 명을 대상으로 검사방법과 평가특성에 대해 충분히 교육을 시킨 후 7점 항목 척도법(1점-가장 약하다, 가장 기호도가 낮았다.
  • 증편 재료 배합은 Table 1과 같이 불린 쌀 중량에 대해물 15%, 설탕 15%, 소금 2%, 탁주 45%, 이스트 0.5%, 하수오 가루 0, 2, 4, 6, 8%로 첨가하였으며 증편의 제조는 Fig. 1의 제조방법으로 행하였으며, 1시간 방치 한 후 꺼내서 polyethylene film으로 밀봉하여 18±2℃에서 8일간 저장하면서 2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실시하였다.
  • 증편의 texture는 3.0×3.0×1.0 cm 크기로 잘라 Rheometer(Compac-100, Sun Sci.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mastication test를 실시하였고 plunger diameter 10 mm, table speed 60 mm/min, sample height 10 mm, load cell 2 kg의 조건으로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 증편의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에 의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 2 mL를 가하여 섞은 뒤 30 분간 정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식에 의해 전자공여능을 계산 하였다.
  • 7점-가장 강하다, 가장 기호도가 높았다)으로 나타내었다. 평가항목은 크게 외관(appearance), 향미(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기호도(acceptability) 항목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의 재료로는 쌀(일반미, 상주), 정백설탕(제일제당), 소금(태평), 물(증류수), 이스트(프랑스산)를 사용하였으며, 탁주는 Lee GS 등(2010)의 탁주 종류별 증편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가진 검정콩 탁주(우리술)를 사용하였다. 하수오는 대구 약령시 약전골목내 약업사에서 국내산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의 재료로는 쌀(일반미, 상주), 정백설탕(제일제당), 소금(태평), 물(증류수), 이스트(프랑스산)를 사용하였으며, 탁주는 Lee GS 등(2010)의 탁주 종류별 증편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가진 검정콩 탁주(우리술)를 사용하였다. 하수오는 대구 약령시 약전골목내 약업사에서 국내산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데이터 분석은 computer program package인 SAS를 이용하여 각 실험군간의 평균치의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과 Duncan의 다중 범위 검정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으며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으로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An SM 등(2002)의 방법을 참고하여 증편 반죽을 각각 5 g씩 취하여 증류수 25 mL를 가하여 stirrer를 사용하여 균질화 시키면서 pH meter (pH 210, Hanna,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pH는 An SM 등(2002)의 방법을 참고하여 반죽을 만든 직후와 1차 발효 후의 반죽, 2차 발효 후의 반죽, 증편을 각각 5 g씩 취하여 증류수 25 mL를 가하여 stirrer를 사용하여 균질화 시키면서 pH meter(pH 210, Hanna,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증편의 부피는 Jung SY(2005)의 방법을 참고하여 종자치환법을 이용하였으며 polyethylene film을 증편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부피를 측정하였다. 비용적은 시료를 칭량하여 500 mL 실린더에서 각각의 부피를 측정하여 중량에 대한 부피의 비(부피/중량, mL/g)로 표시하였다.
  • 제조한 증편의 높이는 가장 높은 지점을 측정하여 초기 반죽의 높이에 대한 증가된 높이의 비를 나타내었다. 증편의 팽화력은 Hong GJ 등(2008)의 방법을 참고하여 증편을 증자한 후 시료 0.5 g을 원심분리관에 취하여 증류수 30 mL를 가하여 잘 분산시킨다. Water bath에서 30 분간 교반시킨 후 3,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편의 다른 이름은 무엇인가? 증편은 쌀가루에 탁주를 넣어 발효시켜 만든 찐 떡의 일종으로 시큼한 술맛과 신맛, 단맛이 나며 떡으로서 유일하게 발효과정을 거치며 빵과 같은 폭신한 망상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Choi SE와 Lee JM 1993, Yoon SJ 2003). 발효에 의해 pH가 4~5정도로 잡균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어서 빨리 쉬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한 여름 떡이며(Lee EA 와 Woo KJ 2001, Jang JS과 Park YS 2008) 기주떡, 술떡, 기지떡, 벙거지떡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Park YS와 Choi BS 1994).
증편의 발효효모의 급원으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증편의 발효효모의 급원으로 사용되는 탁주는 일반 주류와 달리 단백질과 식이섬유 및 당질이 들어 있고 생리 활성 물질과 많은 양의 젖산균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 기능적 가치가 높으며 최근 다양한 탁주가 국내 및 일본 등에서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Lee DH 등 2009). Lee SY(2001)은 시판되는 살균탁주와 비살균 탁주의 품질에 있어서 총산, pH, 당도 등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나 증편 제조시 살균 탁주를 첨가하였을 때 해면상의 조직을 형성하지 못하며 다른 발효원이 요구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증편의 특징은 무엇인가? 증편은 쌀가루에 탁주를 넣어 발효시켜 만든 찐 떡의 일종으로 시큼한 술맛과 신맛, 단맛이 나며 떡으로서 유일하게 발효과정을 거치며 빵과 같은 폭신한 망상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Choi SE와 Lee JM 1993, Yoon SJ 2003). 발효에 의해 pH가 4~5정도로 잡균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어서 빨리 쉬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한 여름 떡이며(Lee EA 와 Woo KJ 2001, Jang JS과 Park YS 2008) 기주떡, 술떡, 기지떡, 벙거지떡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Park YS와 Choi BS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SM, Lee KA, Kim K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ccording to the leavening agents. Korean J Human Ecology 5(1):48-61 

  2. Choi SE, Lee JM. 1993. Standard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jeungpyu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6):655-665 

  3. Choi YH, Jeon HS, Kang MY. 1996.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 Korean J Soc Food Sci 12(2):200-206 

  4. Jang JS, Park Y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mil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311-321 

  5. Jeon HK. 1992. Effects of various fermenting aids on the quality of jeungpyun. Doctorat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87 

  6. Jung JY, Choi MH, Hwang JH, Chung H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paprik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5):869-874 

  7. Jung SY, Yoo HH, Kim KS, Shin MK. 2005. Effect of malcha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of jeungpyu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6):766-772 

  8. Kang MS, Kang MY. 1996.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fermented and steamed rice cake) batter during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Food Nutr 25(2):255-260 

  9. Kang SH, Lee KS, Yoon H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added rosema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158-163 

  10. Kim AJ, Lim YH, Kim MH, Woo KJ. 2001. Quality and changes of mineral contents in jeungpyun according to the addition levels of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Sedic Sci 43(1):21-25 

  11. Kim EJ.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ipheral cue of package desig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focused on makgeolli (rice wine) brand-. Masterate thesis. Hongik University p 61 

  12. Kim EM.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ccording to the level of red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209-216 

  13. Kim GY, Yang MO. 2010.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prepared with cabbag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291-298 

  14. Kim IC. 2008.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polygoni multiflori radix, polygonati rhizoma and ephedrae herba. J Korean Oil Chem Soc 25(4):533-538 

  15. Kim KS, Lee SY. 2002.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opuntia ficus-india var. sabole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179-183 

  16. Ko MS, Kim SA. 2007.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pleur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194-199 

  17.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4):606-611 

  18. Lee EA, Woo KJ.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the oligosaccharide adde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5):431-440 

  19. Lee HJ. 2009. General experienc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rhizoma and polygonum multiflorum thumb in study. Masterate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pp 10-19 

  20. Lee SY.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the types of takju, different addition amounts of yeast and opuntia ficus-india var. sabolen. Masterate thesis. Chungang University. p 15 

  21. Na MK, Park JY, An RB, Lee SM, Kim YH, Lee JP, Seong RS, Lee KS, Bae KH. 2000. Quality evaluation of polygoni multiflori radix. Kor J Pharmacogn 31(3):335-339 

  22. Nam SJ. 2010. A study on the local food in youngju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suo(polygoni multiflori radix) sulgidduk. Masterate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p 3 

  23. Park GS, Park CS, Choi MA, Kim JS, Cho H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concentrations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3):354-362 

  24. Park YS, Choi BS. 1994. Studied on the amounts of water addition in jeungpyun dough.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0(4):334-338 

  25. Shin KS, Woo KS. 2001. Study on the dextran and the inside structure of jeungpyun of adding soyb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121-130 

  26. Yoo CH, Shim Y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tapioca. Korean J Soc Food Sci 22(3):396-401 

  27. Yoon S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different ratios of makkulli leaven to wat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1):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