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까시 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DNA 손상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DNA Damage Protective Effect of a Robinia pseudoacacia L. Flower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7 no.4, 2011년, pp.99 - 106  

김수정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서고운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서보영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까시 꽃 10 g에 200 mL의 두 가지 용매(물, 70% 에탄올)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까시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이 9.07 mg GAE/g로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0.04 mg CE/g, 물 추출물은 0.03 mg CE/g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부분 7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의 환원력은 1,000 mg/mL의 농도에서 0.438로 가장 높았으며 70% 에탄올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met assay를 이용한 항유전독성의 효과 분석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NA 손상 억제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고농도(10, 50 ${\mu}g/ml$)에서 DNA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Robinia pseudoacacia L.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were evaluated by determining total phenolic content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and reducing power (RP). The water extract showed higher TPC (9.07 mg/g gallic acid equivalents) and RP than tho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에 5분씩 담가 세척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슬라이드를 건조시키고 20 μL/mL 농도의 EtBr로 핵을 염색하여 덮개 유리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 상에서 관찰하였다. CCD 카메라 (Nikon, Tokyo, Japan)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영상은 Komet 5.0 comet image analyzing system (Kinetic Imaging, Liverpool, UK)이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H2O2에 의한 백혈구의 DNA 손상 및 아까시 꽃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을 측정하여 100%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 0 comet image analyzing system (Kinetic Imaging, Liverpool, UK)이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H2O2에 의한 백혈구의 DNA 손상 및 아까시 꽃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을 측정하여 100%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구는 2회 반복 실험하였다.
  • H2O2에 의한 백혈구의 DNA 손상 및 아까시 꽃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을 측정하여 100%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구는 2회 반복 실험하였다.
  • 아까시 나무와 아까시 꽃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만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까시 꽃을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과산화수소에 의한 DNA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분석하였다.
  • 73 g의 건조 아까시 꽃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500 nm 이하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시료 10 g에 200 mL의 용매(70% 에탄올, 물)를 각각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기(HB-201s, Hanbaik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
  • 분해가 끝난 후, 슬라이드를 전기영동 수조에 배열하고 4℃의 차가운 전기영동 완충용액 (300 mM NaOH, 10 mM Na2EDTA, pH>13)를 채워 20분 동안 DNA 사슬을 풀어 DNA의 알칼리에 불안정한 부위가 드러나게 한 후 25 V/300±3 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 하였다.
  • 아까시 꽃 10 g에 200 mL의 두 가지 용매(물, 70% 에탄올)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까시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양성 대조구는 아까시 꽃 추출물 대신 1% DMSO를 처리 후 200 μM H2O2를 처리하였다.
  • 아까시 꽃 10 g에 200 mL의 두 가지 용매(물, 70% 에탄올)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까시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이 9.
  • 이 혼합물을 10분간 13,400×g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징액 1 mL를 취하여 750 nm에서 분광분석기(Shimadzu UV-1601, Kyoto, Japan)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전기영동이 끝난 후 0.4 M Tris buffer (pH 7.4)에 5분씩 담가 세척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슬라이드를 건조시키고 20 μL/mL 농도의 EtBr로 핵을 염색하여 덮개 유리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 상에서 관찰하였다.
  • 준비된 백혈구 세포에 아까시 꽃의 추출물을 1, 5, 10, 50 μg/mL 농도로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 총 페놀 함량은 Gutfinger(198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1 mL를 취하여 2%(w/v) Na2CO3용액 1 mL를 가하고 3분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0.
  • 0% methanolic HCl) 5 mL과 혼합한 후 상온의 암실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켜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catech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 mg CE (catechin equivalents)/g를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은 2009년 4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의 경남대학교 교정에서 채취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Folin-Ciocalteu 시약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Osaka, Japan)에서 구입하였고,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와 potassium ferricyanide, vanillin, trichloroacetic acid (TCA), ferric chloride, dimethyl sulfoxide (DMSO), histopaque 1077, low melting agarose (LMA), normal melting agarose (NMA) 그리고 ethidium bromide는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sodium phosphate dibasic, sodium carbonate anhydrous, hydrochloric acid 등을 비롯한 기타 시약 및 용매는 모두 일급 이상의 등급을 사용하였다.
  • 신선한 전혈 5 mL을 histopaque 1077을 이용해 백혈구를 분리한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준비된 백혈구 세포에 아까시 꽃의 추출물을 1, 5, 10, 50 μg/mL 농도로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 아까시 꽃 1,054 g을 동결건조기 (FD 5512, IlshinBioBase Co., Yangju, Korea)로 건조하여 155.73 g의 건조 아까시 꽃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500 nm 이하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시료 10 g에 200 mL의 용매(70% 에탄올, 물)를 각각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기(HB-201s, Hanbaik Co.
  • 아까시 꽃(Robinia pseudoacacia L.)은 2009년 4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의 경남대학교 교정에서 채취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Folin-Ciocalteu 시약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데이터처리

  •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SE)를 구하고 각 군 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 사후검증으로 항산화력 분석에는 Scheffe test를 이용하였으며 DNA 손상에 대한 각 추출물의 효과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에 대한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각 시료 당 3회 반복으로 행해졌으며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package for Windows (Ver. 14)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SE)를 구하고 각 군 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 사후검증으로 항산화력 분석에는 Scheffe test를 이용하였으며 DNA 손상에 대한 각 추출물의 효과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95%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 DPPH 라디칼 소거능은 Jeong SM 등(2004)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 0.1 mL에 0.041 mM DPPH 용액 0.9 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vanillin 방법(Price ML 등 1978)으로 측정하였다. 즉, 각 시료 1 mL을 2% vanillin (8.
  • 환원력은 Oyaizu M의 방법(1996)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1 mL의 인산염 완충 용액(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까시 꽃의 화학 조성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아까시 꽃은 꿀을 채취하는 주요 소재이며 우리나라가 궁핍한 시기에 간식거리로 널리 식용되기도 하였다. 아까시 꽃의 화학조성은 수분함량이 86.6%, 건물량 기준으로 조단백질 24.55%, 조회분 8.51% 및 총당 40.97%이며 아스코르브산도 160.44 mg%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유리당, 무기질의 함량 또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JH 등 1995). 아까시 꽃의 첨가가 전통주의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Seo SB 등 2002)에서 아까시 꽃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아까시 꽃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Shin SR 등 1993), 아까시 나무 뿌리껍질의 성분(Kwon YS 등 2000)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아까시나무 꽃과 뿌리에 관해 어떤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가? 44 mg%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유리당, 무기질의 함량 또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JH 등 1995). 아까시 꽃의 첨가가 전통주의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Seo SB 등 2002)에서 아까시 꽃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아까시 꽃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Shin SR 등 1993), 아까시 나무 뿌리껍질의 성분(Kwon YS 등 2000)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아까시 나무와 아까시꽃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만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아까시나무란?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는 콩과식물에 속하며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교목으로 수피는 황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낙엽이 변한 가시가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Choi DH 등 2002). 아까시 꽃은 꿀을 채취하는 주요 소재이며 우리나라가 궁핍한 시기에 간식거리로 널리 식용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arwulan N, Batari R, Sandrasari DA, Bolling B, Wijaya H. 2010.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s from Indonesia. Food Chem 121:1231-1235 

  2. Balasundram N, Sundram K, Samman S. 2006. Phenolic compounds in plants and agri-industrial by-products: Antioxidant activity, occurrence, and potential uses. Food Chem 99:191-203 

  3. Buxiang S, Fukuhara M. 1997.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flavonoide on the activation of mutagens and drug-metabolizing enzymes in mice. Toxicology 122(1-2):61-72 

  4. Caillet S, Yu H, Lessard S, Lamoureux G, Ajdukovic D, Lacroix M. 2007. Fenton reaction applied for screening natural antioxidants. Food Chem 100(2):542-552 

  5. Choi DH, Lee HJ, Lee SS, Kim YG, Kang HY.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Mokchae Konghak 30(4):51-57 

  6. Decker EA. 1995. The role of phenolics, conjugated linoleic acid, carnosine and pyrroloquinoline quinone as nonessential dietary antioxidants. Nutr Rev 53(3):49-58 

  7.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11): 966-968. 

  8. Jang IC, Park JH, Park E,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extracts from cosmos(Cosmos bipinnatus) flowers. Plant Foods Hum Nutr 63(4):205-210 

  9. Jeon GI, Yoon MY, Park HR, Lee SC, Park E. 2009. Neuroprotective activity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cell death in PC12 cells. Ann N Y Acad Sci 1171:576-82 

  10.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1580-1583 

  11.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4):452-457 

  12. Jung ES, Park E,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arts of Styela clav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674-1678 

  13. Kwon JH, Byun MW, Kim YH.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acacia flower (Robinia pseudo-acacia). J Korean Soc Food Sci Technol 27(5):789-793 

  14. Kwon YS, Ban WS, Kim CM. 2000.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 cortex of Robinia pseudo-acacia. Yakhak Hoeji 44(5):411-415 

  15.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4):969-978 

  16. Lee BB, Chun JH, Lee SH, Park HR, Kim JM, Park EJ, Lee SC. 2007a.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m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1628-1632 

  17. Lee BB, Cha MR, Kim SY, Park E, Park HR, Lee SC. 2007b.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s of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blossoms. Plant Foods Hum Nutr 62(2):79-84 

  18.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Korean Soc Food Sci Nutr 37(4):405-409 

  19. Lee J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5):504-514 

  20. Lee JM, Chung H, Chang PS, Lee JH. 2007. Development of a methods predicting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ood Chem 103(2):662-669 

  21.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3):93-100 

  22. Nam SH, Chang SM, Kang MY. 2003. Varietal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rice bran. J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46(1):16-22 

  23. Oh WG, Jang IC, Jeon GI,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isteria floribunda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677-683 

  24. Oyaizu M. 199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307-315 

  25. Park JS. 2008. The antioxidantiv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parts of Robinia pseudoacacia. MS Thesis. Soongsil University of Seoul, Korea. pp 22-23 

  26. Park JS, Hwang IW, Zheng HZ, Kim SK, Chung SK. 2010. Determination of optimum hydrolysis conditions for flavonoid analysis in plant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7:261-266 

  27. Petti S, Scully C. 2009. Polyphenols, oral health and disease: A review. J Dent 37:413-423 

  28. Price ML, Scoyoc SV, Butler GL. 1978.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vanillin reaction as an assay for tannin in sorghum grain. J Agric Food Chem 26(5):1214-1218 

  29. Seo HK, Jang SY, Kim HJ, Park HR, Park JH, Ahn GH, Lee SC.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concentrates of commercial sweet persimmon win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1):13-17 

  30. Seo SB, Kim JH, Kim NM, Choi SY, Lee JS. 2002. Effect of acacia flower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4):410-414 

  31. Shin SR, Son YA, Won CY. 1993. Study on the components of lipids in acacia flower. J Food Sci Technol 5:61-67 

  32. Surveswaran S, Cai YZ, Corke H, Sun M. 2007. Systematic evaluation of natural phenolic antioxidants from 133 Indian medicinal plants. Food Chem 102(3):938-953 

  33.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44-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