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티나무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leaf from Zelkova serrata with ethyl acetate fractions and hot water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9 no.3, 2016년, pp.255 - 260  

장태원 (Department of Medicinal Plant Science, Jungwon University) ,  박재호 (Department of Medicinal Plant Science, Jungw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활성산소종은 DNA의 손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활성산소를 제어하고 조절하기 위해 천연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느티나무(Zelkova serrate)는 느릅나무과의 식물로 한국 마을 입구에 흔히 심어져 친숙한 식물이다. 하지만 느티나무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느티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e^{2+}$ 킬레이팅 활성 그리고 reducing power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페놀류 화합물 함량은 각각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56.63 mg/g 그리고 열수 추출물은 51.61 mg/g으로 분석됐다. ${\phi}X$-174 RF I plasmid DNA를 이용한 산화적 DNA 손상억제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 상당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느티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효과를 통한 천연 자원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as been played a critical role in damage of DNA. Recently, many effort is focusing to develop the natural antioxidants for controlling ROS. Zelkova serrata, Ulmaceae, is close as plants which are planted in front of Korea villages. Although Zelkova serrata is famili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느티나무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느티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e2+ 킬레이팅 활성 그리고 reducing power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 느티나무는 3-hydroxylated flavonoid C-glucosides (Hayashi 등, 1987), 7-hydroxy-3-methoxycadalrene(Kim 등, 2004)이 분석되었고, 최근까지 항진균 활성 및 항산화(Lee 등, 2000), 폐암 억제(Kim 등, 2004)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하지만 느티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 및 DNA 손상억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차후 느티나무잎의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가능성 및 추출 방식에 따른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티나무의 국내 서식지는? 이와 같이, 펜톤 반응의 억제를 이끌어내는 항산화 활성은 철 이온의 환원반응을 발생시키거나, OH−를 직접적으로 소거하므로 OH−에 의한 DNA 손상으로부터 supercoiled plasmid DNA의 구조를 보호한다 (Prakash 등, 2007). 느티나무(Zelkova serrata)는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라며 높이 26 m, 지름 3 m인 낙엽성 교목이다. 또한 생장이 빠르지만 저수지나 염분이 있는 곳에서는 생장이 어렵다(Lee 2003).
식물의 항산화 물질은 어떤 화합물인가? 이에 반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천연 항산화제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고(Warnholtz과 Münzel, 2000; Hwang 등, 2011),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의 항산화 물질은 phenolics 및 flavonoid 계통의 화합물로 알려져 있고(Choe와 Yang 1982), 이 물질들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해 연쇄반응을 통해 alkyl radical 또는 alkylperoxy radical에 수소를 공여하는 반응을 한다(Lee 등, 2006).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체내의 당, 지질, 단백질과 DNA에 이르는 비가역적인 변형과 파괴를 유래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Harold 등, 2007), 항산화제의 산화 반응의 억제를 통해 체내 radical의 반응에 대해 인체를 보호하고, 활성산소종에 의한 암,
느티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환경은? 느티나무(Zelkova serrata)는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라며 높이 26 m, 지름 3 m인 낙엽성 교목이다. 또한 생장이 빠르지만 저수지나 염분이 있는 곳에서는 생장이 어렵다(Lee 2003). 느티나무는 3-hydroxylated flavonoid C-glucosides (Hayashi 등, 1987), 7-hydroxy-3-methoxycadalrene(Kim 등, 2004)이 분석되었고, 최근까지 항진균 활성 및 항산화(Lee 등, 2000), 폐암 억제(Kim 등, 2004)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2. Arora A, Nair MG, Strasburg GM (1998)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a series of flavonoids in a liposomal system. J Free Radic Biol Med 24: 1355-1363 

  3. Barman Balfour JA, Foster RH (1999) Deferiprone: a review of its clinical potential in iron overload in betathalassaemia major and other transfusion-dependent diseases. Drugs 58: 553-578 

  4. Benz EJ (2001) Hemoglobinopathies. In: Braunwald E, Fauci AS,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d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n. New York 

  5. Bondet V, Brand Williams W,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m Wiss U-Technol 30: 609-615 

  6. Cho IY, Sheen YY (2009) Effect of dioxin on the change of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potential and the induction of ROS. J Environ Toxicol 24: 33-41 

  7.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8. Halliwell B (1995)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and mechanism. Biochem Pharmacol 49: 1341-1348 

  9. Harold ES, Darrell EA, Evan IF, John AM (2007) A review of the interaction among dietary antioxidant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utr Biochem 18: 567-579 

  10.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ion. J Food Chem 114: 717-726 

  11. Hayashi Y, Ohara S, Takahashi T (1987) Isolation of new 3-hydroxylated flavonoid C-glucosides from the heartwood of Zelkova serrata Makino and other Zelkova species. Mokuzai Gakkaishi 33: 511-520 

  12. Hsu B, Coupar IM, Ng K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fruit of the Doum palm, Hyphaene thebaica. J Food Chem 98: 317-328 

  13. Hwang JY, Lee HS, Han JS (2011) Protective effect of Sasa borealis leaf extract on AAPH-induced oxidative stress in LLC-PK1 cells. J Food Sci Nutr 16: 12-17 

  14. Johnson TM, Yu ZX, Ferrans VJ, Lowenstein RA, Finkel T (1996) Reactive oxygen species are downstream mediators of p53-dependent apoptosis. Proc Natl Acad Sci 93: 11848-11852 

  15. Jung Y, Surh Y (2001) Oxidative DNA damage and cytotoxicity unduced by copper-stimulated redox cycling of salsolinol. a neurotoxic tetrahydroisoquinoline alkalooid. Free Radic Biol Med 30: 1407-1417 

  16. Kim JH, Lee HJ, Kim GS, Choi DH, Lee SS, Kang JK, Chae C, Paik NW, Cho MH (2004) Inhibitory effects of 7-hydroxy-3-methoxy-cadalene on 4-(methylinitrosamino)-1-(3-pyridyl)-1-butanone(NNK)-induced lung tumorigenesis in A/J mice. Cancer Lett 213: 139-145 

  17. Lee CB (2003) The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I). Hangmunsa, Seoul 

  18. Lee EK, Kwon WY, Lee JW, Yoon JA, Chung KH, Song BC, An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supplemented added with Akebia quinata fruit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217-1227 

  19. Lee JC, Kim HR, Kim J, Jang YS (2002) Antioxidant Property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Agric Food Chem 50: 6490-6496 

  20. Lee JH, Lee BG, Park AR, Lee KJ, Choi DW, Han SH, Choi GP, Kim JD, Kim JC, Ahn JH, Lee HY, Shin IC, Park HJ (2011)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and oxidative DNA damage protect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Cacalia firma Komar. Appl Biol Chem 54: 258-264 

  21. Lee SH, Choi DH, Lee HJ, Kang HY (2000)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II)-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compound isolated from heartwood of Zelkova serrata. J Korean Wood Sci Technol 28: 32-41 

  22. Lee YS, Joo EJ,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pistanud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09-1314 

  23. Maxwell SJ (1995)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Drugs 49: 345-361 

  24. Nijveldt RJ, van Nood E, van Hoorn DE, Boelens PG, van Norren K, van Leeuwen PA (2001) Flavonoids: a review of probable mechanisms of 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Am J Clin Nutr 74: 418-425 

  25. Oliver NF, Brittenham GM (1997) Iron-chelating therapy and the treatment of thalassemia. Blood 89: 739-761 

  26. Oliveri NF, Nathan DG, MacMilan JH, Wayne AS, Liu PP, McGee A (1994) Survival in medically treated patients with homozygous betathalassemia. N Engl J Med 331: 574-578 

  2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8. Park YK, Choi SH, Kim SH, Han JG, Chung HG (2007)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 461-465 

  29. Prakash CP, Garima U, Brahma NS, Harikesh B (2007) Antioxidant an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seeds and agri-wastes of some varieties of soybean (Glycine max). Food Chem 104: 783-790 

  30. Que F, Mao L, Pan X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Chinese rice wines and the involvement of phenolic compound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9: 581-587 

  31. Rice-Evans CA, Sampson J, Bramley PM, Holloway DE (1997) Why do we expect carotenoids to be antioxidants in vivo ? J Free Radic Res 26: 381-398 

  32. Sakanaka S, Tachibana Y, Okada Y (2005) Prepar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Japanese persimmon leaf tea (kakinoha-cha). J Food Chem 89: 569-575 

  33. Sonakul D, Thakerngpol K, Pacharee P (1988) Cardiac pathology in 76 thalassemia patients. Birth Defects Orig Article Ser 23: 177-191 

  34. Stohs SJ, Bagchi D (1995) Oxidative mechanism in the toxicity of metal ions. Free Radic Biol Med 18: 321-336 

  35.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J Food Chem 66: 511-517 

  36. Warnholtz A, Munzel T (2000) Why do antioxidants fail to provide clinical benefit? Curr Control Trials Cardiovasc Med 1: 38-40 

  37. Wei QY, Zhou B, Jun Y, Liu ZL (2006) Synergistic effect of green tea polyphenols with trolox on free radical-ed oxidative DNA damage. Food Chem 96: 90-95 

  38. Yeo JS,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39.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40. Zurlo MG, De Stefano P, Borgna-Pignatti A, Di Palma A, Piga A, Melevendi C (1989) Survival and causes of death in thalassaemia major. Lancet 2: 27-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