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 및 적절성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433 - 443  

이우숙 (적십자간호대학) ,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s limited to rudimentary skills to avoid potential risks. Simulation-Based Training (SBT) can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linical training. We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SBT for obstetrical nursing students using high-fidelity simulation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프라이버시 보호 문항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자신감 정도 측정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실습 후 자신감 점수가 오히려 하락했다. 교수자는 학생들이 전반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간호 시행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시행하는지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대상자의 얼굴만을 보고 대처하거나 혹은 신체검진을 위해 대상자의 하반신을 노출시킨 후에도 검진 이후에 이를 정리하지 않는 등 프라이버시 보호 간호를 거의 시행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커튼을 쳐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간호를 시행하는 것에 그쳤다.
  •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만 시뮬레이터를 통한 산과 영역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와 적절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서울시 소재 일개 간호대학 2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여성건강간호학 정규교과과정에서의 임상현장실습 경험은 만족도 정도가 낮은 대상자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분만 시뮬레이터(Birthing simulator, Gaumard, Miami, FL, USA)를 이용하여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와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와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현재까지 간호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소개된 표준화 환자 또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교육은 호흡기계 간호(Choi, Jang, Choi, & Hong, 2008), 도뇨, 관장 및 개인위생(Yoo, Yoo, Park,&Son, 2002), 투약관련 간호(Eom, Kim, Kim, & Seong, 2010) 등 주로 기본과 성인간호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을 뿐 산과 간호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만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평가함으로써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에서의 임상실습교육의 목적은? 간호학에서의 임상실습교육의 목적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정규교과과정을 통해 습득한 간호학적 지식을 임상현장을 통해 반영하고 임상술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임상교육은 전통적으로 실제 상황이 일어나는 실제 환경에서 주어져야 한다고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환자의 안위와 안전, 많은 학생 수에 비해 부적절한 감독, 급박하게 돌아가는 실무 환경 및 가중한 간호사의 업무량 등의 이유로 간호학 실습학생들이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과 기술을 습득할 기회는 점차적으로 제한되어져 가고 있으며,이로 인해 간호학 실습학생들에게 제한적이고 불만족스러운 임상교육이 주어지고 있는 실정이다(McIntosh,Alexander,Veitch,& May,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inier, G., Hunt, W., & Gordon, R. (2004). Determining the valu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Study design and initial result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4, 200-207. doi:10.1016/S1471-5953(03)00066-0 

  2. Baillie, L., & Curzio, J. (2009). 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9, 297-306. doi: 10.1016/j.nepr.2008.08.007 

  3. Beaubien, J. M., & Baker, D. P. (2004). The use of simulation for training teamwork skills in health care: How low can you go?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 i51-i56. 

  4. Choi, J. Y., Jang, K. S., Choi, S. H., & Hong, M. S.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83-91. doi:10.4040/jkan. 2008.38.1.83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6. Deering, S., Brown, J., Hodor, J., & Satin, A. J. (2006). Simulation training and resident performance of singleton vaginal breech delivery. Obstetrics & Gynecology, 107, 86-89. 

  7. Ellis, D., Crafts, J. F., Hunt, L. P., Read, M., Fox, R., & James, M. (2008). Hospital, simulation center, and teamwork training for eclampsia manag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1, 723-731. 

  8. Eom, M. R., Kim, H. S., Kim, E. K., & Seong, K.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51-160. doi:10.4040/ jkan.2010.40.2.151 

  9. Fanning, R. M., & Gaba, D. M. (2007).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training.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2, 115-125. 

  10. Feltz, D. L. (1988). Self-confidence and sports performanc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16, 151-166. doi:10.1249/00003677-198800160-00016 

  11. Gardner, R., & Raemer, D. B. (2008). Simulat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35, 97-127. doi: 10.1016/j.ogc.2007.12.008 

  12. Goffman, D., Heo, H., Chazotte, C., Merkatz, I., & Bernstein, P. S. (2008). Using simulation training to improve shoulder dystocia documentation. Obstetrics & Gynecology, 112, 1284-1287. 

  13. Hertel, J. P., & Millis, B. J. (2002). Using simulations to promot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n introduction. Sterling, VA: Stylus. 

  14. Jude, D. C., Gilbert, C. G., & Magrane, D. (2006). Simulation training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5, 1489-1492. doi:10.1016/j.ajog.2006.05.003 

  15. Lasater, K. (2007).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e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 269-276. 

  16. Maslovitz, S., Barkai, G., Lessing, J., Ziv, A., & Many, A. (2007). Recurrent obstetric management mistakes identified by simulation. Obstetrics & Gynecology, 109, 1295-1300. 

  17. McCaughey, C. S., & Traynor, M. K. (2010). The rol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30, 827-832. doi:10.1016/j.nedt.2010.03.005 

  18. McIntosh, J. B., Alexander, M., Veitch, L., & May, N. (1997). Evaluation of nurse and midwife education in Scotland. Nursing Times, 93, 46-48. 

  19. Mikkelsen, J., Reime, M. H., & Harris, A. K. (2008). Nursing students' learning of managing cross-infection scenario-based simulation training versus study groups. Nurse Education Today, 28, 664-671. doi:10.1016/j.nedt.2007.11.003 

  20. Mole, L. J., & McLafferty, I. H. (2004). Evaluating a simulated ward exercise for third year student nurs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4, 91-99. doi: 10.1016/S1471-5953(03)00031-3 

  21. Moule, P., Wilford, A., Sales, R., & Locker, L. (2008). Student experiences and mentor views of the use of simulation for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28, 790-797. doi:10.1016/j.nedt.2008.03.007 

  22. Park, H., Lee, J., Hwang, H., Lee, J., Choi, Y., Kim, H., et al. (2003). The agreement of checklist recordings between faculties and standardized patients i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5, 141-150. 

  23. Park, J. H., Jung, E., Ko, J. K., & Yoo, H. B. (2008). Delivery training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using birth simulato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1, 950-956. 

  24. Park, S. I. (1998). Theory and practic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I). Paju: Kyoyookbook. 

  25. Pittini, R., Oepkes, D., Macrury, K., Reznick, R., Beyene, J., & Windrim, R. (2002). Teaching invasive perinatal procedures: Assessment of a high fidelity simulator-based curriculum.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19, 478-483. doi:10.1046/j.1469-0705.2002.00701.x 

  26. Siassakos, D., Draycott, T., Brien, K., Kenyon, C., Bartlett, C., & Fox, R. (2010).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ybrid obstetric simulation trai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5, 193-198. doi:10.1097/SIH.0b013e3181d3ee0b 

  27. Vu, N. V., Barrows, H. S., March, M. L., Verhulst, S. J., Colliver, J. A., & Travis, T. (1992). Six years of comprehensive, clinical, performance-based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t th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cademic Medicine, 67, 42-50. doi:10.1097/00001888-199201000-00009 

  28. Wilford, A., & Doyle, T. J. (2006). Integrating simulation training into the nurs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Nursing, 15, 604-607. 

  29. Yoo, M. S., Yoo, L.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30. Ziv, A., Small, S. D., & Wolpe, P. R. (2000). Patient safety and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Medical Teacher, 22, 489-495. doi:10.1080/014215900501107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