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Effects of Maternity Nursing Simulation using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177 - 189  

김아린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임부, 산부, 산욕부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기간은 2014년 11월 10일부터 3주간이었으며, 차시별 3시간씩 총 9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교육 전후 설문을 통해 자료수집을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 수는 8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시뮬레이션 효과성은 총점 26점 만점에 17.4이었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전과 후에 의사소통능력(t=4.58, p=<.001)과 모성간호 수행에 대한 자신감(t=9.70, p=<.001)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문제해결능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임상실습에 만족하는 경우에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시뮬레이션 효과성(t=2.09, p=.040), 문제해결능력(t=3.13, p=.002), 의사소통능력(t=3.54, p=.001), 모성간호 수행에 대한 자신감(t=2.64, p=.010)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뮬레이션 효과성은 문제해결능력(r=.494, p<.001), 의사소통능력(r=.361, p<.001) 및 모성간호에 대한 자신감(r=.49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현 임상실습의 한계에 대한 대안이자, 학생들의 임상 간호에서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써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 학습 과정 동안 학습자의 학습경험이 학습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뮬레이션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aternity nursing simulations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three sessions, including the clinical scenarios about prena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차시별 주제에 대해서 사정, 중재 및 의사소통에 대한 심동적 영역의 학습목표를 얼마나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각 주제별 3문항,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자신 없다’ 1점, ‘약간 자신 없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자신 있다’ 4점, ‘매우 자신 있다’ 5점으로 측정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고충실도 시뮬레이터 (high-fidelity simulator)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에게 고충실도 시뮬레이터(high-fidelity simulator)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학습자의 반응 및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측면을 포함한 학습효과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성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시뮬레이션 효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모성간호 수행에 대한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단일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효과성 점수는 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 대상으로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고,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임상실습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국내 모성간호학 분야에서도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학습자가 획득한 학습성과 측면에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중 일부[26-33] 또는 전체[34,35] 영역을 다루고 있으나, 학습 과정 측면에서 시뮬레이션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포괄하여 시뮬레이션 효과를 통합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모성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학습자의 반응 및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측면을 포함한 학습 효과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모성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한편, Kim과 Ham[2]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방법이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보다 환자의 느낌과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며, Weaver[9]도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교육 효과 확인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터만을 활용한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의사소통 영역을 보강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내에 다학제 의료진, 환자 및 보호자 등 다양한 역할을 포함시켜 서로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의료진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SBAR 방법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후 디브리핑 과정 및 성찰일지를 통해 의료진 및 환자와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되돌아보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들이 충분한 임상실습 교육을 갖는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기술 및 태도를 갖추기 위해 임상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 교육은 간호학생에게 필수적이지만, 최근 간호학과 정원의 양적 증가와 환자 권리 향상 등의 이유로 적절한 실습지를 확보하거나, 학생들이 충분한 실습 기회를 갖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1,2]. 또한 임상실습 중 간호학생의 직접간호 활동도 제한되어 임상실습은 주로 관찰이나 간접수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3,4].
시뮬레이션 교육 중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에는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터(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는 수행에 따라 실제적으로 신체적 반응을 보이도록 프로그램화 할수 있는 전신 마네킨을 말하며[8],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은 신체적 정보의 투입과 환경 간을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쌍방향 학습을 가능하게 하므로, 임상 상황을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다[5,9].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은 국내외 간호교육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체계적 고찰연구 등을 통해 실제 상황에 대한 현실감을 느끼게 하고, 자신감, 만족도, 환자에 대한 불안 감소 등의 긍정적 경험을 갖게 하며, 지식과 술기 및 팀 수행능력 등 지식, 기술 및 태도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9].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또한 임상실습 중 간호학생의 직접간호 활동도 제한되어 임상실습은 주로 관찰이나 간접수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3,4]. 이처럼 임상실습을 통해 환자 간호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획득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은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환자를 해치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안전하게 실습할 수 있기 때문에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J. H. Kim, I. H. Park, S. Shin, S.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3, 307-319,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307 

  2. S. Kim, Y. Ham,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308-319,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3.308 

  3. J. H. Song, M. J. Moon, "Frequency and Importance of Nursing Practice between Novice Nurses and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1, 22-33, 2008. 

  4. Y. Kim, N. Chun, E. H. Lee, I. S. Cho, S. Ahn, J. Kim, M. H. Hur, S. Lee, H. Lee, C. Chung, N. M. Kang, H. W. Kim. "Stud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in Women's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3, pp. 225-242,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25 

  5. P. R. Jeffries, "A Frame 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 26, No. 2, 96-103, 2005. 

  6. W. M. Nehring, F. R. Lashley, "Nursing Simulation: A Review of the Past 40 Years". Simulation & Gaming, Vol. 40, No. 4, pp. 528-552. 2009. DOI: http://dx.doi.org/10.1177/1046878109332282 

  7. C. Lee, H. So, Y. Kim, J. Kim, M. An,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0, pp. 850-861,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0.850 

  8. R. P. Cant, S. J. Cooper,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6, No. 1, pp. 3-15,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240.x 

  9. A. Weaver,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 32, No. 1, pp. 37-40, 2011. DOI: http://dx.doi.org/10.5480/1536-5026-32.1.37 

  10. J. I. Kim, H. Kang, S. Park, S. Ahn,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Dire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20, No. 2, 173-183, 2014.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2.173 

  11. K. A. Adamson, S. Kardong-Edgren, J. Willhaus, "An Updated Review of Published Simulation Evaluation Instrument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9, No. 9, e393-e400. 2013.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12.09.004 

  12. D. L. Kirkpatrick.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1994. 

  13. J. R. Boulet, P. R. Jeffries, R. A. Hatala, J. R. Korndorffer Jr, D. M. Feinstein, J. P. Roche, "Research Regarding Methods of Assessing Learning Outcomes," Simulation in Healthcare, Vol. 6, No. 7, S48-S51. 2011. 

  14. H. Shin, K. K. Shim,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6, No. 2, pp. 147-155. 2010. 

  15. J. H. Lee, M. N. Choi,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3, No. 1, pp. 1-9, 2011. 

  16. H. Shin, Y. N. Lee, D. H. Rim, “Evaluation of Algorithm-based Simulation Scenario for Emergency Measures with High-Risk Newborns Presenting with Apn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1, No. 2, pp. 98-106, 2015.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5.21.2.98 

  17. V. L. Elfrink Cordi, K. Leighton, N, Ryan-Wenger, T. J. Doyle, P. Ravert.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Effectiveness Tool (SET),"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8, No. 6, e199-e210, 2012.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11.12.001 

  18. H. K. Burns, J. O'Donnell, J. Artman, "High-fidelity Simulation in Teaching Problem Solving to 1st-year Nursing Students: A Novel Use of the Nursing Proces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6, No. 3, e87-e95. 2010.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09.07.005 

  19. D. A. Cook, R. Hatala, R. Brydges, B. Zendejas, J.H. Szostek, A. T. Wang, P. J. Erwin, S. J. Hamstra, “Technology-enhanced simulation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Vol. 306, No. 9, pp. 978-988, 2011. DOI: http://dx.doi.org/10.1001/jama.2011.1234 

  20. K. Miller, W. Riley, S. Davis, "Identifying Key Nursing and Team Behaviours to Achieve High Reliabilit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17, No. 2, pp. 247-255.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0978.x 

  21. K. K. Miller, W. Riley, S. Davis, H. E. Hansen, "In Situ Simulation: A Method of Experiential Learning to Promote Safety and Team Behavior,"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Vol. 22, No. 2, pp. 105-113. 2008. DOI: http://dx.doi.org/10.1097/01.JPN.0000319096.97790.f7 

  22. J. T. Alderman, "Using Simulation to Teach Nursing Students and Licensed Clinicians Obstetric Emergencies,"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Vol. 37, No. 6, pp. 394-400. 2012. 

  23. K. Lasater,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6, No. 6, pp. 269-276. 2007. 

  24. G. T. Leigh,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and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5, No. 1, pp. 1-17. 2008. DOI: http://dx.doi.org/10.2202/1548-923X.1561 

  25. K. M. Lundberg, “Promoting Self-confidence in Clinical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Vol. 33, No. 2, pp. 86-89, 2008. DOI: http://dx.doi.org/10.1097/01.NNE.0000299512.78270.d0 

  26. H. Y. Kim, E. Ko, E. S. Le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e in Maternity Nurs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8, No. 4, pp. 312-320.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312 

  27. C. W. Chung, H. S. Kim, Y. S. Park,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Maternity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2, pp. 86-96. 2011. 

  28. S. Kim, S. K. Lee, H. J. Cha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based Practice for Obstetrical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8, No. 3, pp. 180-189,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3.180 

  29. S. H. Kim,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 15, No. 2, pp. 71-79, 2012. 

  30. H. Chae. "The Needs and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Practice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377-386,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9.377 

  31. W. S. Lee, M. Kim,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4, pp. 433-443,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33 

  32. S. E. Lee,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Patients(SP) Managed Instruction for a Clinical Maternity Nursing Co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1, pp. 14-24,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14 

  33. Y. A. Song, Y. J. Son.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Vol. 16,No. 1, pp. 37-44. 2013. 

  34. Y. A. Song,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20, No. 4, pp. 246-254, 2014.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4.246 

  35. C. S. Shim, M. K. Park, J. H. Kim.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Education Regarding to Obstetric Clinical Practice before and aft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18, No. 1, pp. 125-133, 2014. 

  36.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Learning Objectives of Maternity Nursing. Korean Nurse Association, 2012. 

  37.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A Study on the Job Analysis for Nurs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12. 

  38. D. Ellis, J. F. Crofts, L. P. Hunt, M. Read, R. Fox, M. James, “Hospital, Simulation Center, and Teamwork Training for Eclampsia Manag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 Gynecology, Vol. 111, No. 3, pp. 723-773, 2008. DOI: http://dx.doi.org/10.1097/AOG.0b013e3181637a82 

  39. S. H. Kim,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 15.No. 2. pp. 71-79. 2012. 

  40. J. Scholes, R. Endacott, M. Biro, B. Bulle, S. Cooper, M. Miles, C. Gilmour, P. Buykx, L. Kinsman, R. Boland, J. Jones, F. Zaidi. "Clinical Decision-making: Midwifery Students' Recognition of, and Response to, Postpartum Haemorrhage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Vol. 12. No. 1, 19. 2012. DOI: http://dx.doi.org/10.1186/1471-2393-12-19 

  41. Y. S. Lee et al.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2014. 

  42.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SBAR Technique for Communication: A Situational Briefing Model [Internet]. Cambridge (MA):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c2014, Available From: http://www.ihi.org/resources/Pages/Tools/SBARTechniqu eforCommunicationASituationalBriefingModel.aspx (accessed Sep 30, 2014) 

  43. C. A. Tanner, “A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5, No. 6, pp. 204-211, 2006. 

  44. S. J. Lee, Y. K. Jang, H. N. Lee, K. Y.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2003-15-03), 2003. 

  45. I. Ko, H. Kim, I. Kim, S. Kim, E. Oh, E. Kim, J. Lee, S. Kang,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3, pp. 371-381, 2010. 

  4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es' Core Competence and Program Outcome for Nursing Educa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2011, Available From: http://kabone.or.kr/(accessed Sep 30, 2014) 

  47. A. Lee, J. Yeo, S. Jung, S. S. Byun.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2, pp. 299-308, 2013. 

  48. S. H. Kim, M. A. Le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0, No. 3, pp. 333-342.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49. J. H. Park, I. S. Chun,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 9, No. 2, pp. 99-110, 2008. 

  50. C. M. Thomas, E. Bertram, D. Johnson,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Vol. 34, No. 4, pp. 176-180, 2009. DOI: http://dx.doi.org/10.1097/NNE.0b013e3181aaba54 

  51. M. R. Eom, H. S. Kim, E. K. Kim, K. Seong,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0, No. 2, pp. 151-160.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51 

  52. Y. H. Kim, K. S. Jang,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2, 245-255,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45 

  53. M. S. Lee, S. W. Hahn,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2, pp. 226-234,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226 

  54. D. H. Kim, Y. Lee, M. S. Hwang, J. H. Park, H. S. Kim, H. G. Cha,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3, pp. 499-509,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