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두콩 첨가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력 및 생리활성
Iso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174 - 181  

김운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품질향상평가팀) ,  김재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김성조 (원광대학교 식품.환경학과) ,  문광현 (순창군청 건강장수과) ,  백승화 (충북도립대학교 바이오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양과 기능성을 보유한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로서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원료, 증자한 원료 및 이를 발효시킨 청국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Cheonggukjang made from the sword bean: CS)의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전통청국장(traditional Cheonggukjang: TC)과 비교하여 에탄올 추출에서는 Bacillus cereus, 물 추출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S의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모든 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국장으로 발효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기존의 TC보다 SC가 우수하였다. CS의 isoflavonoids 함량에서 glycoside 형태인 daidzin과 genistin은 증자 과정에서는 감소되었으나 청국장으로 발효시키면 증가되어 가장 높았다. 한편 aglycone 형태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경우도 증자 과정에서 감소경향을 보이나 발효되면서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원료<증자 원료<발효 청국장 순으로 증가하였고, 각각의 추출조건에서 CS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국장 제조 시 작두콩 첨가는 항균성, 항산화능, 총 flavonoid, isoflavonoids, ACE 저해활성 등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iso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CS). The effects of adding sword bea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aw materials (RM), steamed materials (SM), and traditional Cheonggukjang (TC). In...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화가 미미한 작두콩의 영양과 기능성에 대한 기 보고된 결과를 활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청국장을 개발하고자 작두콩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만든 청국장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s 및 isoflavonoids 함량, ACE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영양과 기능성을 보유한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로서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원료, 증자한 원료 및 이를 발효시킨 청국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Cheonggukjang made from the sword bean: CS)의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전통청국장 (traditional Cheonggukjang: TC)과 비교하여 에탄올 추출에서는 Bacillus cereus, 물 추출은 Staphylococcus aureus 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색 작두콩이 꼬투리를 맺는 시기는 언제인가? 그중 청국장 제조에 사용한 백색 작두콩은 칼콩, 넝쿨 작두콩, 줄 작두콩, 콩깍지의 모양이 작두날과 같다고 하여 도두라고 불리는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식용 두류 가운데 제일 큰 품종이다. 개화기는 6∼7월, 결실기는 8∼10월에 꼬투리를 맺고 늦가을에 열매가 완숙된다(4). 또한 작두콩을 싸고 있는 콩깍지의 길이는 10∼30 cm 정도로 10∼14개의 콩이 들어 있으며, 식용 부위는 종실뿐만 아니라 뿌리, 꼬투리, 잎 등 식물체 모두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한다(5).
식품공전 상의 청국장 정의는 무엇인가?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식품 원료 가운데 대두(soybean, Glycine max)는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서 비중이 높을 뿐 아니라 각종 영양 성분이 풍부하며 또한 인체의 건강 증진을 위한 생리활성 물질인 식이섬유, 인지질, isoflavonoids(genistein, daidzein 등), phenolic acids, saponins, trypsin inhibitor, phytic acid, 배당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있어 항암 효과, 항 노화, 변비 완화, 항 신부전, 항 알레르기, 항비만, 담석증 예방, 이뇨작용, 치매 예방, 고지혈증 억제, 동맥경화 예방, 심장병 예방, 당뇨병 예방, 골다공증 억제 등 성인병 예방, 항바이러스 및 항 지혈 효과 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다(1). 최근 웰빙 열풍에 발맞추어 대두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청국장은 식품공전(2)에서 “대두를 주원료로 하여 바실러스(Bacillus)속 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거나 이를 고춧가루, 마늘 등으로 조미한 것으로 페이스트, 환, 분말 등을 말한다.”로 정의되어 있고, 납두는 잘 익힌 대두에 납두균(Bacillus subtilis natto)을 번식시킨 대두 발효물로 일본 사람들이 즐겨 먹는 대두 세균 발효제품이라 할 수 있는데 요즘은 이들 모두를 청국장으로 칭하고 있다.
작두콩은 색깔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열대 아시아에서 어린 꼬투리와 콩은 채소로 널리 이용되며, Canavalia 속은 4개의 하위 속 51종으로 분류되는데, 작두콩은 Canavalia genus의 sub-genus Canavalia에 속하며, 꽃과 종실이 흰색인 Canavalia gladiata(Jacq.) DC. var. alba와 붉은색인 Canavalia gladiata(Jacq.) DC.의 두 종이 있다(3). 그중 청국장 제조에 사용한 백색 작두콩은 칼콩, 넝쿨 작두콩, 줄 작두콩, 콩깍지의 모양이 작두날과 같다고 하여 도두라고 불리는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식용 두류 가운데 제일 큰 품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ung DH. 1999. Soybean science. Taekwang Publish, Seoul, Korea. p 56-77. 

  2. KFDA. 2010.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gun, Korea. p 5.20.2. 

  3. Smartt J. 1990. Grain legumes. Cambrige University Press, London, UK. p 301-309. 

  4. Cho YS, Seo KI, Shim KH. 200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7: 113-116. 

  5. Chang MI, Kim JY, Kim SJ, Baek SH. 2011. Effect of sword bean Chunggukjang addition on quality of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92-1299. 

  6. Lee SZ. 1994. Bonchogangmok. Eusungdang press, Seoul, Korea. p 585. 

  7. Cho YS, Bae YI, Shim KH. 1999.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Korean J Food Preserv 6: 475-480. 

  8. Moon JH, Terao J.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and dihydrocaffeic acid in lard and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J Agric Food Chem 46: 5062-5065. 

  9.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Seoul, Korea. p 285-286. 

  10. Wang SF, Ridsdill TJ, Ghisalberti EL. 1999. Level of isoflavonoids as indicators of resistance of subterranean clover trifoliates to redlegged earth mite Halotydeus destructor. J Chem Ecol 25: 795-803. 

  11. Cushman DW, Cheung HS, Sabo EF, Ondetti MA. 1977. Design of potent competitive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Biochem 16: 5484-5491. 

  12. Kim HB. 2003. Chunggukjang diet and health method. Human & Books, Seoul, Korea. p 43. 

  13. KFDA. 2010.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gun, Korea. p 2.1.8. 

  14. Youn HK, Choi HS, Hur SH, Hong J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iscous substance from Chongkukjang fermented with different Bacillus spp. J Fd Hyg Safety 16: 188-193. 

  15. Lee HY, Jeong HS.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Canavalia gladiata. Food Sci Biotechnol 14: 268-274. 

  16. Natella F, Nardini M, Felice MD, Scaccini C. 1999. Benzoic acid and cinnamic acid derivatives as antioxida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 J Agric Food Chem 47: 1453-1459. 

  17. Kweon MH, Hwang HJ,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18. Kwak CS, Kim MY, Kim SA, Lee MS. 2006. Cytotoxicity on human cancer cells and antitumorigenesis of Chungkoo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in DMBA-treated rats. Korean J Nutr 39: 347-356. 

  19. Moon GS, Cheigh HS. 1986. Antioxidative effect of soybean sauce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13-318. 

  20. Moon GS, Cheigh HS. 198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537-541. 

  21. Moon GS, Cheigh HS. 1990. S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61-465. 

  22. Wikipedia. 2011. Flavonoid. Avaliable from: http://en.wikipedia.org/wiki/flavonoid. Accessed July 26, 2011. 

  23. Toda T, Uesugi T, Hirai K, Nukaya H, Tsuji K, Ishida H. 1999. New 6-O-acyl isoflavone glycosides from soybean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Natto). Biol Pharm Bull 22: 1193-1201. 

  24. Matsuura M, Obata A, Fukushima D. 1989. Objectionable flavor of soy milk developed during the soaking of soybeans and its control. J Food Sci 54: 602-605. 

  25. Kudou S, Fleury Y, Welti D, Magnolato D, Uchida T, Kitamura K, Okubo K. 1991. Malonyl isoflavone glycosides in soybean seeds (Glycine max Merrill). Agric Biol Chem 55: 2227-2233. 

  26. Toda T, Sakamoto A, Takayanagi T, Yokotsuka K. 2000. Changes in isoflavone compositions of soybean foods during cooking process. Food Sci Technol Res 6: 314-319. 

  27. Whitten PL, Kudo S, Okubo K. 1997. Isoflavonoids. In Handbook of plant and fungal toxicants. CRC press, FL, USA. p 117-137. 

  28. Hegnauer R, Grayer-Barkmeijer RJ. 1993. Relevance of seed polysaccharides and flavonoid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a chemotaxonomic approach. Phytochemistry 34: 3-16. 

  29. Jang CH, Lim JK, Kim JH, Park CS, Kwon DY, Kim YS, Shin DH, Kim JS. 2006. Change of isoflavone content during manufacturing of cheongg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food. Food Sci Biotechnol 15: 643-646. 

  30. Shon MY, Seo KI, Park SK, Cho YS, Sung NJ. 2001. Some biological activities and isoflavone content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s and Bacillus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62-667. 

  31. Lim SI, Choi SY, Cho GH. 2006.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79-784. 

  32. Brunner HR, Gavras H, Waeber B, Kershaw GR, Turini GA, Vukovich RA, McKinstry DN, Gavras I. 1982. Oral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in long-term treatment of hypertensive patients. Ann Intern Med 90: 19-23. 

  33. Atkinson AB, Brown JJ, Cumming AM, Fraser R, Lever AF, Leckie BJ, Morton JJ, Robertson JI, Davies DL. 1982. Captopril in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with renal artery stenosis: its long-term effect as a predictor of surgical outcome. Am J Cardiol 49: 1460-1466. 

  34.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35. Okamoto A, Hanagata H, Kawamura Y, Yanagida F. 1995. Anti-hypertens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natto. Plant Foods Hum Nutr 47: 39-47. 

  36. Nevala R, Vaskonen T, Jani Vehniainen J, Korpela R, Vapaatalo H. 2000. Soy based diet attenuates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when compared to casein based die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Life Sci 66: 115-124. 

  37. Wu J, Ding X. 2001. Hypotensive and physiological effec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soy protein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Agric Food Chem 49: 501-506. 

  38. Martin DS, Breitkopf NP, Eyster KM, Williams JL. 2001. Dietary soy exerts an antihypertensive effec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female rat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81: R553-560. 

  39. Kim SD. 2005. Antimicrobial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Chungkukjangs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ungkukjang. Nat Sci Res Thesis Coll 3: 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