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Collagenase에 의한 흰쥐의 뇌출혈 및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on Cerebral Hemorrhage and Edema in Collagenase Induced-ICH Rat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2 no.5, 2011년, pp.100 - 113  

구자승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이준석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신정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김성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손낙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rain edema is brain swelling that occurs due to the accumulation of excess water in the brain parenchyma. AQP4 and AQP9 are water-channel proteins expressed strongly in the brain and control water fluxes into and out of the brain parenchym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이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과, 뇌부종에 관여하는 주요인자인 AQPs 발현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흰쥐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뇌출혈을 유발하였고,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뇌출혈 크기와 이에 따른 호중성백혈구의 침윤, 뇌부종 비율과 뇌조직 수분함량 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뇌부종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인 AQP4와 AQP9 발현의 변화를 관찰한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이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과, 뇌부종에 관여하는 주요인자인 AQPs 발현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흰쥐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뇌출혈을 유발하였고,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뇌출혈 크기와 이에 따른 호중성백혈구의 침윤, 뇌부종 비율과 뇌조직 수분함량 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뇌부종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인 AQP4와 AQP9 발현의 변화를 관찰한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렇게 황련해독탕과 그 구성 약재들에 대한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뇌출혈과 뇌부종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이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뇌부종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QPs 발현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황련해독탕이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뇌부종 비율의 변화와 뇌조직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뇌부종의 비율적 변화를 보기 위해 뇌출혈 흰쥐에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을 투여한 후 정상측 대뇌반구에 대한 출혈측 대뇌반구의 면적 증가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ICH48+HHT군은 ICH48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뇌부종 비율의 감소를 나타내었다(Fig.
  •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이 AQP4와 AQP9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뇌조직내출혈이 유발된 대뇌반구의 뇌출혈 주변부에서 강한 AQP4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들이 많이 관찰된 것에 비해 ICH48+HHT군에서는 AQP4 양성반응 세포들의 발현 강도와 세포 수가 ICH48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이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과 뇌부종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quapor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흰쥐의 선조체에 collagenase를 주입하여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을 유발하였으며,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뇌출혈 부위의 크기와 호중성백혈구 침윤의 변화, 뇌부종의 비율, 뇌조직 수분함량 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뇌부종 발생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AQP4와 AQP9 발현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부종은 무엇에 의해 발생되는가? 뇌부종은 뇌실질 내에 과도한 수분이 축적되어 발생하며1), 뇌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뇌압상승의 이차적 악화요인이 된다2). 뇌부종은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에 따라 세포독성 부종 (cytotoxic edema)과 혈관성 부종(vasogenic edema)으로 나누어진다3).
뇌부종은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에 따라 어떻게 나뉘어지나? 뇌부종은 뇌실질 내에 과도한 수분이 축적되어 발생하며1), 뇌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뇌압상승의 이차적 악화요인이 된다2). 뇌부종은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에 따라 세포독성 부종 (cytotoxic edema)과 혈관성 부종(vasogenic edema)으로 나누어진다3). 뇌출혈이 발생되면 혈종이 형성되며, 혈종에 의한 직접적인 압박이나 누출된 혈액내의 혈관수축 물질에 의해 주변부위 혈류공급에 장애를 일으켜서 세포 허혈을 초래하여 초기에는 세포독성 부종이 나타나고 이후에는 혈관성 부종이 나타난다4).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이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과 뇌부종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quapor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흰쥐의 선조체에 collagenase를 주입하여 뇌출혈에 의한 뇌부종을 유발하였으며,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뇌출혈 부위의 크기와 호중성백혈구 침윤의 변화, 뇌부종의 비율, 뇌조직 수분함량 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뇌부종 발생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AQP4와 AQP9 발현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1.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 체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로 인한 호중성 백혈구의 침윤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3.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 비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4.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로 인하여 증가된 뇌조직 수분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5.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 주변부에서 AQP4 양성반응 세포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6. 황련해독탕 물추출물은 뇌출혈 주변부에서 AQP9 양성반응 세포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latzo I. Evolution of brain edema. Acta Neurochir suppl(Wien) 1994;60:3-6. 

  2. Sung JH. Intracerebral and Subarachnoid Hemorrhage; Decision Points in Neurovascular Critical Care. J Neurocrit Care. 2008;1:65-72. 

  3. Papadopoulos MC, Verkman AS. Aquaporin-4 and brain edema. Pediatr Nephrol. 2007;22:778-84. 

  4. Cho KH. Medical Management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Kor J Stroke. 2003;5: 26-9. 

  5. Xi G, Keep RF, Hoff JT. Pathophysiology of brain edema formation. Neurosurg Clin N Am. 2002;13:371-83. 

  6. King LS, Agre P. Pathophysiology of the aquaporin water channels. Annu Rev Physiol. 1996;58:619-48. 

  7. Nielsen S, Nagelhus EA, Amiry-Moghaddam M, Bourque C, Agre P, Ottersen OP. Specialized membrane domains for water transport in glial cells: high-resolution immunogold cytochemistry of aquaporin-4 in rat brain. J Neurosci. 1997; 17:171-80. 

  8. Badaut J, Lasbennes F, Magistretti PJ, Regli L. Aquaporins in brain: distribution,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J Cereb Blood Flow Metab. 2002;22:367-78. 

  9. 葛洪. ?後備急方. 上海:人民衛生出版社. 1996: 34-7. 

  10. 김상찬 외. 개정증보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 180-1. 

  11. Kawashima K, Haruo N, Kogure K. Effect of Oren-gedoku-to on cerebral vascular accident. Pharma Medica. 1988;6:33-6. 

  12. Hayashi T, Ohta Y, Inagaki S, Harada N. Inhibitory action of Oren-gedoku-to extract on enzym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Biol Pharm Bull. 2001;24:1165-70. 

  13. Fujiwara M, Iwasaki K. Toki-shakuyaku-san and Oren-Gedoku-To improve the disruption of spatial cognition induced by cerebral ischeamia and central cholinergic dysfunction in rats. Phytotherapy Research. 1993;7:60-2. 

  14. Kim DH, Park SJ, Jung JY, Kim SC, Byun SH.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Kor J Herbol. 2009;24:39-47 

  15. Kang HC.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on Blood-Brain Barrier Impairment of ICH-Induced Rats[dissertation]. Yongin-si, Kyung Hee University; 2010. 

  16. Kim KS. Effects of Coptidis Rhizoma on Brain Edema and Inflammatory Response of ICHInduced Rats[dissertation]. Yongin-si, Kyung Hee University; 2010. 

  17. Rosenberg GA, Mun-Bryce S, Wesley M, Kornfeld M.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Stroke. 1990;21:801-7. 

  18. Paxinos G, Watson C. The rat brain in stereotaxic coordinates. Waltham:Academic press. 2008:15-8. 

  19. Nathan C. Neutrophils and immun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Nat Rev Immunol. 2006;6:173 -82. 

  20. Filep JG, El Kebir D. Neutrophil apoptosis: a target for enhancing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J Cell Biochem. 2009;108:1039-46. 

  21. Savill J, Dransfield I, Gregory C, Haslett C. A blast from the past: Clearance of apoptotic cells regulates immune responses. Nat Rev Immunol. 2002;2:965-75. 

  22. Malle E, Furtmuller PG, Sattler W, Obinger C. Myeloperoxidase: a target for new drug development? Br J Pharmacol. 2007;152:838-54. 

  23. Lee ST, Chu K, Jung KH, Kim SJ, Kim DH, Kang KM, et a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intravascular neu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haemorrhagic stroke. Brain. 2008;131:616-29. 

  24. Kim HD. Neurology & Neurosurgery.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8:136. 

  25. Venero JL, Machado A, Cano J. Importance of aquaporins in the physiopathology of brain edema. Curr Pharm Des. 2004;10:2153-61. 

  26. Agre P, Kozono D. Aquaporin water channels: molecular mechanisms for human diseases. FEBS Lett. 2003;555:72-8. 

  27. Zador Z, Bloch O, Yao X, Manley GT. Aquaporins: role in cerebral edema and brain water balance. Prog Brain Res. 2007;161:185-94. 

  28. Agre P, Saboori AM, Asimos A, Smith BL. Purific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he Mr 30,000 integral membrane protein associated with the erythrocyte Rh(D) antigen. J Biol Chem. 1987;262:17497-503. 

  29. Verkman AS. Physiological importance of aquaporin water channels. Ann Med. 2002;34: 192-200. 

  30. Venero JL, Vizuete ML, Machado A, Cano J. Aquapori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g Neurobiol. 2001;63:321-36. 

  31. Nielsen S, Smith BL, Christensen EI, Agre P. Distribution of the aquaporin CHIP in secretory and resorptive epithelia and capillary endothelia.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7275-9. 

  32. Hasegawa H, Ma T, Skach W, Matthay MA, Verkman AS. Molecular cloning of a mercurialinsensitive water channel expressed in selected water-transporting tissues. J Biol Chem. 1994;269:5497-500. 

  33. Jung JS, Bhat RV, Preston GM, Guggino WB, Baraban IM, Agre P.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quaporin cDNA from brain: candidate osmoreceptor and regulator of water balance. Proc Natl Acad Sci USA. 1994;91:13052-6. 

  34. Manley GT, Fujimura M, Ma T, Noshita N, Filiz F, Bollen AW, et al. Aquaporin-4 deletion in mice reduces brain edema after acute water intoxication and ischemic stroke. Nat Med. 2000;6:159-63. 

  35. Badaut J, Hirt L, Granziera C, Bogousslavsky J, Magistretti PJ, Regli L. Astrocyte-specific expression of aquaporin-9 in mouse brain is increased after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J Cereb Blood Flow Metab. 2001;21:477-8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