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난 젓갈의 숙성 과정 중 미생물 및 자기소화효소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icrobial and Enzymatic Actions during the Ripening Process of Salted Alaska Pollack Trip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340 - 349  

채수규 (을지대학교 보건산업대학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난 젓갈의 숙성 과정 중 미생물 및 자기소화효소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과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을 시험 제조하여 각각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에 대한 생균수 및 화학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창난 젓갈의 숙성 과정 중 일반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에 있어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76.31%, 14.66%, 0.87% 및 7.80%이었고,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의 경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66.10%, 12.75%, 0.56% 및 20.32%이었다.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의 경우, 제조 직후의 생균수는 $10^5$ CFU/g이었으며,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은 숙성 5일째 $10^7$ CF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은 숙성 3일째까지 $10^4$ CFU/g으로 감소하였다가 숙성 5일 이후부터 $10^6$ CFU/g을 유지하였다.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의 경우, 제조 직후의 생균수는 $10^3$ CFU/g이었으나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이나 첨가하지 않은 것 모두 숙성 45일째까지 감소하여 균의 집락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그 이후부터 다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에 있어서 pH의 변화는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은 숙성 적정기인 5일 째에는 pH 6.35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pH 7.0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였고,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은 숙성 과정 중 pH 6.45에서 6.35 정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에 있어서 pH 변화는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이나 첨가하지 않은 것이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숙성 적정기인 45일째까지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이 pH 6.05 정도로 유지되었다.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의 경우 제조 직후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76.3 mg%이었으나, 적정 상태인 숙성 5일째에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은 283.5 mg%로,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은 208.0 mg%로 각각 증가하여 두 시료간의 차이는 75.5 mg/100 g으로 나타났다.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의 경우 제조 직후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57.2 mg%이었으나, 숙성 60일째에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은 198.3 mg%로,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은 162.0 mg%로 각각 증가하여 두 시료간의 차이는 36.3 mg/100 g으로 나타났다.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의 경우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은 숙성 7일째에 VBN 102.1 mg%, TMA-N 20.5 mg%로 부패하였으며, 항생물질을 첨가한 것은 숙성 21일이 경과하여도 VBN 60.0 mg%, TMA-N는 검출되지 않아 부패하지 않았다. 또한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에 있어서도 항생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것이 VBN 37.2 mg%, TMA-N는 검출되지 않아 부패하지 않았다. 따라서 창난 젓갈의 숙성 과정 중 미생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는 조건인 고염젓갈이나 저온에서 숙성한 젓갈에 있어서는 숙성 시 자기소화효소만의 작용이 주로 관여하고 있으나, 실온에서 숙성한 저염 젓갈의 경우는 자기소화효소 이외에 미생물의 작용도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자기소화효소는 젓갈의 숙성에 그리고 미생물의 작용은 젓갈의 부패와 변질에 각각 보다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autolytic enzymes and microorganisms in the ripening process of salted Alaska pollack tripe mad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lt i.e, 7.5% and 20% by weight. Salted Alaska pollack tripe treated with antibiotic agents for the inhibition of microbial growth and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5% 소금 첨가 저염 젓갈과 20% 소금 첨가 고염 젓갈에 각각 항생물질을 첨가해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한 것과 억제하지 않은 4종류의 창난 젓갈을 시험 제조하여 5℃ 및 25℃에서 각각 저장 숙성하면서 이들에 대한 생균수 및 아미노태 질소 등 이화학 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비교 분석함에 의해 창난 젓갈의 저염 및 고염의 염도와 5℃ 및 25℃의 저장온도에 따른 숙성 과정 중 미생물 및 자기 소화효소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은 몇 종인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은 침장원, 원료의 종류와 이용 부위, 제조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160여종의 젓갈과 식해류가 있다. 이들은 소규모 공장이나 가정에서 주로 만들어 지고 있으나, 산업적으로 양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것은 30여종이며, 새우젓, 멸치젓, 명란젓, 창난젓, 오징어젓, 조개젓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 중 산업적으로 양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것은 몇 종인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은 침장원, 원료의 종류와 이용 부위, 제조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160여종의 젓갈과 식해류가 있다. 이들은 소규모 공장이나 가정에서 주로 만들어 지고 있으나, 산업적으로 양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것은 30여종이며, 새우젓, 멸치젓, 명란젓, 창난젓, 오징어젓, 조개젓 등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이 우리나라 고유 식품의 하나인 김치를 제조할 때 부재료로 이용되고 있고, 일부 밥반찬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Lee 등 1987; KFRI 1992).
젓갈이란?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 각국에서는 옛 부터 기호 식품으로서 젓갈류가 애용되어 왔다(Van Veen AG 1965).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내장, 생식소 등에 비교적 다량의 소금을 가하여 부패를 방지하면서 숙성 과정 중 자기소화효소나 미생물 효소 작용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어 특유의 풍미와 조직감을 나타내도록 한 전통 수산 발효 식품이다(Beddows CG 1985; Cha & Lee 1985; Lee 등 1986; MMAF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k SH, Lim MS, Kim DH. 1996a.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proce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Korean J Food & Nutr 9:385-391 

  2. Baek SH, Lim MS, Kim DH. 1996b.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in proce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Korean J Food & Nutr 9:392-397 

  3. Beddows CG. 1985. Fermented Fish and Fish Products(Edit. by Wood BJB), Microbiology of Fermented Foods, Vol. 2. pp.1-39.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 

  4. Cha YJ, Lee EH, Lee KH, Chang DS. 1988. Characterization of the strong prote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the protease produced by that strain. Bull Korean Fish Soc 21:71-79 

  5. Cha YJ, Lee EH. 1985.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Bull Korean Fish Soc 18:206-213 

  6. Cho HR, Park UY, Chang DS. 2002.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652-660 

  7. Collins CH. 1964. Microbiological Methods, p.127, London Butterworths 

  8. Jo C, Kim DH, Lee WD, Lee JJ, Byun MW. 2003.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on manufacturing changran jeotkal (aged and seasoned intestine of Alaska pollack),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673-678 

  9. Kashiwada K. 1952. Studies on the enzyme of skipjack, Katsuwonus vagans, entrails-I.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proteolytic enzyme activity in pyloric coecca. Bull Japan Soc Scien Fish 18:151-154 

  10. KFIA. 2001. Food Code.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pp. 543-582 

  11. KFRI. 1992. Modernization Strategy for Traditional Food. Traditional Food Laborator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pp.43-44 

  12. Kim DS, Lee HO, Rhee SK Lee S. 2001. The processing of seasoned and fermented oyster and its quality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81-87 

  13. Kim SM. 1996. 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 salted myungran-je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937-943 

  14. Kim YM, Lee WJ, Jeong YM, Hur SH, Choi SH. 1995.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and its flavor components-2.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H on the growths of bacteria from isolated low salt fermented squid. J Korean Soc Food Nutr 24:631-636 

  15. Lee CH, Lee EH, Lim MH, Kim SH, Chae SK, Lee KW, Koh KH. 1986. Characteristics of Korean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Korean J Dietary culture 1:267-278 

  16. Lee CH, Lee EH, Lim MH, Kim SH, Chae SK, Lee KW, Koh KH. 1987. Korean Salt Fermented Sea Foods. p.14. Yulim publishing Co 

  17. Lee KH, Ahn HJ, Jo C, Yook HS, Byun MW. 2000. Production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by irradiation. J Food Sci 67:1772-1777 

  18. Lee KH. 1968.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J Korean Soc Agric Chem 11:1-27 

  19. Lee NY, Jo C, Lee WD, Kim JH, Byun MW. 200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changran jeotkal during storage at ${10^{\circ}C}$ .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129-1134 

  20. Lee WD, Chang DS, Kang SM, Yoon JH, Lee MS. 2001a.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1. Optimization of salting process. J Korean Fish Soc 34:114-118 

  21. Lee WD, Lee JJ, Chang DS, Yoon JH, Lee MS. 2001b.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2.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J Korean Fish Soc 34:109-113 

  22. Lee WD, Lee JJ, Chang DS, Yoon JH, Lee MS. 2001c.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3. Improvement of seasoning process and quality estimation. J Korean Fish Soc 34:119-124 

  23. Lee WD. 2001. Recent development of jeotkal(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its future. J Food Ind Nutr 6:23-27 

  24. MMAF. 2002.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jeotkal. Ministry of Marine Affairs and Fisheries. pp.30-65 

  25. Mori K. 1984. Shiokara(salt-fermented fish product), The ripening process of food(Edit. by Sato N.) pp. 631-653, Korin Ltd. Tokyo 

  26. Mori K, Shinano H, Akiba M. 1977. Studies on the microorganisms in salted and ripened squid meat product(Ika shiokara)-I. Yeasts in ripening process of Ika shiokara. Bull Japan Soc Scien Fish 43:1425-1432 

  27. Mori K, Shinano H, Akiba M. 1979. The aerobic bacteria in ripening process of Ika shiokara. Bull Japan Soc Scien Fish 45:771-779 

  28. Mori K., Shinano H, Akiba M. 1980. Histological changes Ika shiokara during the ripening process. Bull Japan Soc Scien Fish 46:1287-1292 

  29. Murray CK, Gibson DM. 1972a An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trimethylamine in fish muscle extracts by the formation of its picrate salt. Part I . J Food Technol 7:35-47 

  30. Oh SC, Cho JS,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16: 173-181 

  31. Park SH, Cho JS, Kim SS. 2005. Hangeul SPSS. SPSS Academy Press 

  32. Uno T. 1973.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2.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the sugars and monoglycerides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30:23-32 

  33. Uno T. 1974a.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3.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maltitol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31:22-30 

  34. Uno T. 1974b.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5.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lactic acid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31:23-33 

  35. Uno T. 1975.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6.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voltile fatty acid monoglycerides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32:31-39 

  36. Uno T. 1976.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7.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glycerine and xylose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33: 19-31 

  37. Uno T, Taketani H, Kim YK, 1972. Studies on the marine fermented foods.-1. On the flavor and preservative effects of alcohol added to squid shiokara. J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29:23-29 

  38. Van Veen AG. 1965. Fermented and dried sea-food products in South-East Asia. In Fish as Food (Edit. by Borgstrom G.), Vol. 3, pp.227-250. Academic Press, New York 

  39. Yoon JH, Lee WD, Chang DS, Kang JH, Lee MS. 2002.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kal-1. Shelf-life of a jar packing in changran-jeotkal. J Korean Fish Soc 35:8-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