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비만클리닉 시범사업'으로 실시한 Belly Dance와 영양교육이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lly Danc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Obese Women in a Study, 'Obesity Clinic Projects at Community Healthcen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0, 2011년, pp.1417 - 1422  

김경도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영호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 34명을 대상으로 벨리댄스와 영양교육 실시가 신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벨리댄스와 영양교육을 12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인슐린 저항성, leptinadiponectin 호르몬, 그리고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벨리댄스 프로그램은 1회 1시간씩 주3회 실시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60~85% HRmax로 실시하였다. 영양교육프로그램은 영양 교육과 개별 상담으로 나누어 총 4회 실하였다. 신체조성중 체중 5.53%, 체지방률 9.51%, BMI 5.6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골격근량은 0.81% 증가하였다. 혈청지질의 변화는 TG 13.50%, TC 9.51%, LDL-C 10.4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DL-C는 3.24% 증가하였다. 인슐린 농도는 19.76% HOMA-IR 지수는 18.22% 유의적으로 감소였다. Leptin 호르몬의 분비는 32.3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diponectin 농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총 유리기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혈중 총 항산화능의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비만클리닉 프로그램은 비만중년 여성의 체지방률을 낮추어 혈청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 12-week weight reduction program applied to obese wome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were studied. Middle 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but 34 persons finished the study (85% completion). Subjects practiced belly dancing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바람직한 식생활을 통해 조절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성인의 비만률을 낮추어 국민건강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 보건소를 통해 주민을 대상으로 운동과 영양을 병행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운동 습관이 없는 비만여성들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해 벨리댄스를 교습하고, 이들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보건소를 통한 일반인 대상 영양교육은 영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영양소의 중요성 및 균형 잡힌 식생활의 중요성에 관한 기본 지식을 단계별로 교육시킴으로써 이들의 식생활을 바람직하게 변화시켜 만성질환 발병을 예방하고,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13). 뿐만 아니라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체력향상과 함께 국가의 복지와 번영에 이바지하고 국민건강을 위한 의료비용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14). 특히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바람직한 식생활을 통해 조절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뿐만 아니라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체력향상과 함께 국가의 복지와 번영에 이바지하고 국민건강을 위한 의료비용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14). 특히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바람직한 식생활을 통해 조절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성인의 비만률을 낮추어 국민건강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 보건소를 통해 주민을 대상으로 운동과 영양을 병행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운동 습관이 없는 비만여성들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해 벨리댄스를 교습하고, 이들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MI 25 이상인 비만인의 질환 이환 가능성은 정상인에 비해 어떠한가? 오늘날 경제 성장과 세계화로 인해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운동 부족 및 과잉영양섭취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1,2). 한국인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 서에서 BMI 25 이상인 비만인의 질환 이환 가능성은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2배, 고혈압 1.5배, 대장암·신장암 1.3배, 전립 선암 1.5배, 갑상선암․흑색종은 2배 높다고 하였으며, BMI 30 이상의 고도 비만인의 경우에는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5배, 고혈압 2.5배까지 증가하여 비만도가 높을수록 만성질환 발병의 위험도가 높다고 하였다(3).
비만의 치료방법 중 식이조절을 극단적으로 시행하면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이러한 비만의 치료방법에는 약물치료, 운동요법, 행동수정 요법 그리고 식사요법 등이 있다. 식이요법 중 단식이나 절식 등의 극단적인 식이조절은 일시적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효과는 있으나 필수영양소의 섭취가 제한되어 건강을 해칠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시요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고, 이러한 식사요법을 운동과 병행하였을 때 체중 조절 효과는 더욱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비만은 어떤 질환을 유발시키는가? 5배까지 증가하여 비만도가 높을수록 만성질환 발병의 위험도가 높다고 하였다(3). 따라서 비만은 동맥 경화, 뇌졸중,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반드시 치료되어져야 하는 만성대사성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4). 2008년 한국인 사망 원인 통계자료에 의하면 암, 뇌혈관 질환과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전체 사망 원인의 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urke GL, Bertoni AG, Shea S, Tracy R, Watson KE, Blumenthal RS, Chung H, Carnethon MR. 2008. The impact of obesity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ubclinical vascular disease: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rch Intern Med 168: 928-935. 

  2. Hill MJ, Metcalfe D, Mcternan PG. 2009. Obesity and diabetes: lipids, 'nowhere to run to'. Clin Sci 116: 113-123. 

  3.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4. Kopelman PG. 2000. Obesity as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5. Choi SH, Jo MW, Shin DS. 2004. Effects of the 8-week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serum hormone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of obese females. Korean J Nutr 37: 888-898. 

  6. Huh SY. 2009. Effects of bellydance and yoga on the physical- efficacy of female participants. M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Lee YM. 2010. The influence of belly dance program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LDH, CPK enzyme of activity mentally retarded children.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8. Lee SJ. 2011. The effects of belly d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health fitness and metabolic.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9. Jung. MH. 2005. A study on effect of exercise program during short term in public health center on fitness, body component and blood component in mid-women. MS Thesis. Korean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Korea. 

  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1. Yoon HS. 2007.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n health care centers: social ecological model.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Song SK. 2008. A study on the name recogni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the effects of exercise health program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13. Kim EJ. 2007. A study on effects of a nutritional education and weight control program for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M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 

  14. Park YS, Lee JY Seo JS, Lee BG, Lee HS. 2010. Nutrition educations & counseling. Kyomunsa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4. 

  15. Kang JS, Kim HS.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 Nutr 17: 356-367. 

  16. Moon HK, Lee HJ, Park Y. 200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habits by percent body fat (PBF) change for adult women in the weight control program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Soc Commu Nutr 12: 477-488. 

  17. Kim DJ, Kwon CK, Choi DJ, Ka KH, Kim TM, Kim BT, Lee BK, Hwang JH, Ann ES, Kim DY. 2009.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improvement of diet intak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d women. Korean J Exerc Nutr 13: 179-184. 

  18. Jeon ER. 2006.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aerobic exercise program on weight control program of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Korean J Human Ecol 9: 65-73. 

  19. Eom IJ. 2005. Comparison of level of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rofiles and blood sugar in aerobics by career.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0. Kim JE. 2010. The effects of walking running exercise and dance sports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in obese middle-aged women.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1. Shin SE, Park HK. 2005. The effect of regularly dance sports exercise for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to middle aged women. Korean J Physical Edu 44: 781-789. 

  22. LaMonte MJ, Yanowize FG, Hunt SC, Adams TD. 2004. Fitness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severely obese adults. Med Sci Sports Exerc 36: S7. 

  23. Choi BH. 2003. Change of HOMA index by weight reduction in abdominal obesity women. M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4. Kim DH. 2010.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lood inflammatory markers, leptin and adiponectin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Growth Devel 18: 25-30. 

  25. Warner F, Blum WF, Englaro P, Hanitsch S, Juul A, Hertel NT, Muller J, Skakkebaek NE, Heiman ML, Birkett M, Attanasio AM, Kiess W, Rascher W. 1997. Plasma leptin levels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dependence on body mass index, body fat mass, gender, pubertal stage, and testosterone. J Clin Endocrinol Metab 82: 2904-2010. 

  26. Roemmich JN, Clark PA, Berr SS, Mai V, Mantzoros CS, Flier JS, Weltman A, Rogol AD. 1998. Gender differences in leptin levels during puberty are related to the subcutaneous fat depot and sex steroid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75: E543-E551. 

  27. Kim HA, Lee HS, Kim CS, An CU, Jeong YS, Lee GU, Heo GB, Kim DJ. 2003. Relationship with serum adiponection concentrations and obesity in Korean children. J Korean Endocr Soc 18: 473-480. 

  28. Hara T, Fujiwara H, Nakao H, Mimura T, Yoshikawa T, Fujimoto S. 2005. Body composition is related to increase in plasma adiponectin levels rather than trainining in young obese man. Eur J Appl Physiol 94: 520-526. 

  29. Kim TK, Kang HS. 2009. Association of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markers in young adults. Korean J Sports Med 27: 183-191. 

  30. Kim DY. 2009. Effects of regular aerobic exercise on HMW adiponectin concentration. Korean J Sport Sci 20: 445-454. 

  31. Kang HS, Park JK, Lee JY. 2010. The effects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serum adiponectin on insulin resistance markers in college male studen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7: 814-822. 

  32. Hulver MW, Saleh O, MacDonald KG, Pories WJ, Barakat HA. 2004. Ethnic differences in adiponectin levels. Metabolism 53: 1-3. 

  33. Hulver MW, Zheng D, Tanner CJ, Hoummard JA, Kraus WE, Slentz CA, Shina MK, Pories WJ, MacDonald KG, Dohm GL. 2002. Adiponectin is not altered sith exercise training despite enhanced insulin action.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3: E861-E865. 

  34. Jeong YJ, Nam MK, Kang KJ. 2011. The effect Angelica keiskei ethanol extract of proliferation, apoptosis and ROS accumulation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4-30. 

  35. Chun SI, Kim SB, Min WK. 2000.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in patr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and effect of hemodialysis. Korean J Clin Pathol 20: 275-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