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의 사례 연구 : 국내 제조기업 M사의 서비스화 사례
The Case Study of Open Collaboration Innovation Methodology(OCIM) : Servicitization of Local Manufacturing Company M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16 no.3, 2011년, pp.169 - 190  

이준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우경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추요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유아식 및 유제품 제조기업의 선두주자인 M사는 출산율의 감소로 인한 시장 규모 축소, 외산 분유의 유입 증가, 심화되는 경쟁사와의 내수시장 경쟁으로 인하여 점점 성장률이 침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 가운데 M사는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을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 혁신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서로가 필요한 가치를 상호 교환하고, 외부 자원과 내부의 축적된 기술적 역량을 연결함으로써 차별화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외부의 자원을 활용하여 신 서비스를 개발한 M사의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Open Collaboration Innovation Methodology, OCIM)"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또한, 방법론을 적용할 때에 나타난 한계점과 실제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향후 연구의 방향이 수립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rates of manufacturer M, the domestic market leader in the infant formula and dairy industry, has slowed because of the market reduction which is caused by the falling birth rates, the increasing growth in import of foreign~made infant formula and fierce competition with other rivals in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사는 기존에 없는 차별화된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외부자원으로부터 찾고자 하였다. M사가 기존에 가졌던 관점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에서 서비스를 바라봄으로써 기존에는 보이지 않았던 관점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이다. 1단계에서 혁신 비전에 대한 설정으로 통해 개괄적인 방향의 초점을 잡았다면 구체적인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출발점은 어떤 네트워크 참여자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먼저 따져보는 것이 이 방법론의 핵심이다’ 따라서 M사는 조직 내부의 이유식 사업과 관련된 프로세스 내의 이해관계자들과 유아식 사업을 둘러싼 많은 생태계 관점의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한 후, 그 관계로부터 기존에는 발견할 수 없었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였다.
  • M사는 조직을 둘러싼 생태계 환경을 파악함으로써 같은 산업군 내의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유아관련 산업군 내에서 경쟁사 및 동종업체 등을 아우르는 광의의 이해관계자를 모두 도출하고 그 중에서 핵심이해관계자를 선정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본질적으로 기존의 이미 존재하고 있는 많은 서비스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이해관계자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M사는 이러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 새로운 성장 가속도와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신 서비스 발굴 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없는 차별화된 신 서비스 발굴과 추진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고객기반을 더 단단히 굳히고, 신규고객을 자사의 충성고객으로 유입시켜 결과적으로는 매출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에 없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대안으로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을 통해 외부 참여자를 내부로 끌어올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 다음에서는 구체적으로 M사가 OCIM 방법론의 각 단계와 과정을 통해 어떠한 외부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 외부자원을 활용하여 어떠한 서비스가 개발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사업에서 활용된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여, 이 개발 방법론이 제조기업의 서비스 활동을 강화하는데 매우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실제 사업에 적용 시 나왔던 여러 가지 이슈들을 바탕으로 방법론을 활용할 때의 한계점을 정리해 보고, 이를 기반으로 방법론을 정제할 수 있는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그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아식 제조기업인 M사의 사례를 통해서 제조기업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의 목적에 맞추어 어떻게 외부 참여자를 정의하고 참여자의 행동을 어떻게 유도하는지, 이를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에 접합시키며 어떤 식으로 외부 이해관계자의 동기를 유발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적절한 통제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외부 자원을 통한 새로운 신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다음 장에서는 각 단계 (Phase) 순서에 맞추어 국내 M사의 적용 사례를 위주로 서술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사업에서 활용된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여, 이 개발 방법론이 제조기업의 서비스 활동을 강화하는데 매우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실제 사업에 적용 시 나왔던 여러 가지 이슈들을 바탕으로 방법론을 활용할 때의 한계점을 정리해 보고, 이를 기반으로 방법론을 정제할 수 있는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그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 이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2]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론의 전체적인 구조와 각 단계별 내용, 활동에 대해서만 소개하고, 그 외의 세부적인 단계나 구체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고자 한다.
  • 그래서 M사는 유아관련 산업군 내에서의 생태계 이해관계자 외에 최대한 고객의 시각 에서 출산을 앞두고 있거나 아이를 키우고 있는 주요 고객들의 관점에서 이해관계자를 다시 도출하게 된다. 즉, 고객을 둘러싼 환경과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고객 중심의 생태계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주요 잠재 고객들이 출산 전이나 육아과정에서 반드시 이용하게 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해관계자가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경규, 박성국,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개발 방법론 : 가치의 공동 창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 326-338, 2009. 

  2. 이준기, 이민혜, 추요한, "신서비스 개발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개방형 협력 모델 개발 방법론", 한국전자거래학회, 제16권, 제1호, pp. 49-70, 2011. 

  3. 한국산업연구원, "서비스화를 통한 국내 신성장전략", pp. 32-78, 2008. 

  4. Chesbrough, W. V., "Open innovation :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6. 

  5. Day, G., "Achieving Advantage with a New Dominant Logic," in Invited commentaries on "Evolving to a New Dominant Logic for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 68, pp 18-19. 2004. 

  6. Howe, J., "Crowdsourcing : Why the Power of the Crowd Is Driving the Future of Business," Three Rivers Press, NY, 2009. 

  7. IBM, Hiding in plain sight, 2006. 

  8. Tapscott, D. and Williams, A., "Wikinomics : How mass collaboration changes everything," Portfolio, Penguin Group, 2006. 

  9. Zeithaml, "The Service Infusion Continuum," MSI Conference, Service Innovation, London, 2010. 

  10. Von Hippel, E., "Lead users : A Source of Novel Product Concepts," Management Science, Vol. 32, pp. 791-806, 1986. 

  11. Von Hippel, E., "Democratizing Innovation," MIT Press, Cambridge MA, (April), 2005. 

  12. Nohira N. Garcia-Pont C., "Global strategic linkages and industry structur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Summer Special Issue, Vol. 12, pp. 105-124, 1991. 

  13. Hamel G., "Competitionn for competence and interpartner learning within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Starategic Management Journal, Summer Special Issue Vol. 12, pp. 83-103, 1991. 

  14. Hagedoorn J., "Understanding the rationale of strategic technology partnering : interorganizational modes of cooperation and sectoral differe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4, pp. 371-385, 1993. 

  15. Hagedoorn J. and Schkenraad, "The effect of strategic technology alliances on company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5, pp. 291-309, 1994. 

  16. Powell, W. W., K. W. Koput, and L. Smith-Doerr,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the locus of innovation : Networks of learning in biotechnolog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1, pp. 116-145, 1996. 

  17. Nambisan, S., "Designing Vitrual Customer Environment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 Toward a Theor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7, pp. 392-41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