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적 트리클로로에틸렌 노출과 비호지킨림프종의 연관성
Occupational Exposure to Trichloroethylene and Non-hodgkin Lymphoma Risk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5, 2011년, pp.358 - 368  

전재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한소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윤형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경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order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exposure to chloroethylene (TCE)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NHL), we conducted a meta-analysis of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and casecontrol studies and attempted to summarize the evidence of the association from molec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검색어 간 ‘AND/OR’ 기능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였고 찾은 문헌의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하는데 일어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TCE에 노출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단면 연구(cross-sectional) 디자인에서 노출 수준에 따라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배양된 인체세포에서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의 두 가지 형태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를 위한 항목은 저자, 연도, 연구형태, 연구대상자, 시료의 종류, TCE 노출량 정보, 주요 면역계 영향 등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TCE의 직업적 노출과 NHL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그동안 발표된 코호트 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 논문들을 수집한 다음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계량적으로 종합하고, 추가적으로 TCE 노출이 인체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연구뿐만 아니라 TCE 노출이 인체에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도 같이 정리하고자 하였다.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단면 연구에서 TCE에 대한 직업적 노출에 의해 세 사이토카인(IL-2, IL-4, INF-γ)의 변화가 일어나며,38) 주요 면역세포에 해당하는 CD4+ T cell, CD8+ T cell, NK(natural killer) cell, 그리고 B cell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이런 검색어 간 ‘AND/OR’ 기능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였고 찾은 문헌의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하는데 일어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CE의 급성효과는? TCE의 급성효과는 중추신경억제, 심장기능장애,간 및 신장 독성 등으로, 국내의 경우 2006년 전자제품 제조사업장에서 TCE 누출로 인한 급성중독으로 근로자 2명이 사망하고 2명이 입원하였으며, 2007년에는 2명(산업기능요원), 2008년에는 근로자 3명이 독성감염으로 입원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
호흡기나 위장관을 통해 흡수된 TCE는 cytochrome P-450에 의한 산화 및 glutathione 접합반응(conjugation)을 거친 후 어떻게 배설되는가? 호흡기나 위장관을 통해 흡수된 TCE는 cytochrome P-450에 의한 산화 및 glutathione 접합반응(conjugation)을 거친다.1) 즉, cytochrome P-450에 의해 chloral hydrate (CH)로 대사되는데, 이 물질은 산화과정을 더 거쳐서 trichloroacetic acid (TCA), dichloroacetic acid(DCA)로 되거나, trichloroethanol (TCEOH)로 환원되어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TCE의 다른 대사 경로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에 의한 환원과정으로 간에 있는 GST에 의해 S-(1,2-dichlorovinyl) glutathione으로 대사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TCE 및 대사산물은 간, 뇌, 지방 등의 친유성 조직에 축적이 되기도 한다.
트리클로로에틸렌이란?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TCE)은 금속의 탈지세정제, 건조제 및 드라이클리닝 용매 등에 사용되어 온 공업용 용매로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유해성 여부가 논란이 되면서 그 사용량이 감소하였다고는 하지만, 그동안의 광범위한 사용은 산업장 환경을 넘어 지하수, 대기, 토양 등의 자연환경까지 오염시켜 일반인의 인체조직 내에서도 흔히 검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 Toxicological review of trichloroethylene (CAS No. 79-01-6) in support of summary information on the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external review draft). Washington D.C. U.S.EPA 2009a Report nr EPA/635/R-09/ 011A, 2009. 

  2.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 Outbreak of a Case of Acute Poisoning in Three Toxic Chemicals, 2010. 

  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 Trichloroethylene health risk assessment;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external review draft). Washington D.C. U.S. EPA 2001 Report nr EPA/600/P-01/002A, 2001. 

  4. Anttila A, Pukkala E, Sallmen M, Hernberg S, Hemminki K. Cancer incidence among Finnish workers exposed to halogenated hydrocarbons. J Occup Environ Med. 1995; 37(7): 797-806. 

  5. Spirtas R, Stewart PA, Lee JS, Marano DE, Forbes CD, Grauman DJ. Retrospective cohort mortality study of workers at an aircraft maintenance facility. I. Epidemiological results. Br J Ind Med. 1991; 48(8): 515-530. 

  6. Wartenberg D, Reyner D, Scott CS. Trichloroethylene and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Environ Health Perspect. 2000; 108(Suppl 2): 161-176. 

  7. Kaneko T, Wang PY, and Sato A. Assessment of the health effects of trichloroethylene. Ind Health. 1997; 35(3): 301-324. 

  8. Scott CS, Chiu WA. Trichloroethylene cancer epidemiology: a consideration of select issues. Environ Health Perspect. 2006; 114(9): 1471-1478. 

  9. Herrington LJ. Epidemiology of the revised European- American lymphoma classification subtypes. Epidemiol Rev. 1998; 20(2): 187-203.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 (MW) : Statistics of Cancer Registry in 2009, National Cancer Center (NCC), 2009. 

  11. Garabrant DH, Held J, Langholz B, Bernstein L. Mortality of aircraft manufacturing workers in southern California. Am J Ind Med. 1988; 13(6): 683-693. 

  12. Blair A, Haas T, Prosser R, Morrissette M, Blackman K, Grauman D, van Dusen P, et al. Mortality among United States Coast Guard marine inspectors. Arch Environ Health. 1989; 44(3): 150-156. 

  13. Axelson O, Selden A, Andersson K, Hogstedt C. Updated and expanded Swedish cohort study on trichloroethylene and cancer risk. J Occup Med. 1994; 36(5): 556-562. 

  14. Blair A, Hartge P, Stewart PA, McAdams M, Lubin J.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of aircraft maintenance workers exposed to trichloroethylene and other organic solvents and chemicals: extended follow up. Occup Environ Med. 1998; 55(3): 161-171. 

  15. Morgan RW, Kelsh MA, Zhao K, Heringer S. Mortality of aerospace workers exposed to trichloroethylene. Epidemiology. 1998; 9(4): 424-431. 

  16. Ritz B. Cancer mortality among workers exposed to chemicals during uranium processing. J Occup Environ Med. 1999; 41(7): 556-566. 

  17. Boice JD Jr, Marano DE, Fryzek JP, Sadler CJ, McLaughlin JK. Mortality among aircraft manufacturingworkers. Occup Environ Med. 1999; 56(9): 581-597. 

  18. Hansen J, Raaschou-Nielsen O, Christensen JM, Johansen I, McLaughlin JK, Lipworth L, et al. Cancer incidence among Danish workers exposed to trichlorethylene. J Occup Environ Med. 2001; 43(2): 133-139. 

  19. Raaschou-Nielsen O, Hansen J, McLaughlin JK, Kolstad H, Christensen JM, Tarone RE, et al. Cancer risk among workers at Danish companies using trichlorethylene: a cohort study. Am J Epidemiol. 2003; 158(12): 1182-1192. 

  20. Chang YM, Tai CF, Yang SC, Chen CJ, Shih TS, Lin RS, Liou SH. A cohort mortality study of workers exposed to chlorinated organic solvents in Taiwan. Ann Epidemiol. 2003; 13(9): 652-660. 

  21. Boice JD Jr, Marano DE, Cohen SS, Mumma MT, Blot WJ, Brill AB, Fryzek JP, et al. Mortality among Rocketdyne workers who tested rocket engines, 1948-1999. J Occup Environ Med. 2006; 48(10): 1070-1092. 

  22. McLean D, Pearce N, Langseth H, Jappinen P, Szadkowska- Stanczyk I, Persson B, Wild P, et al. Cancer mortality in workers exposed to organochlorine compounds in the pulp and paper industry: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6; 114(7): 1007-1012. 

  23. Persson B, Dahlander AM, Fredriksson M, Brage HN, Ohlson CG, Axelson O. Malignant lymphomas and occupational exposures. Br J Ind Med. 1989; 46(8): 516-520. 

  24. Siemiatycki J. Risk factors for cancer in the workplace. Boca Raton, CRC Press; 1991. 

  25. Blair A, Linos A, Stewart PA, Burmeister LF, Gibson R, Everett G, et al. Evaluation of risks for non- Hodgkin's lymphoma by occupation and industry exposures from a case-control study. Am J Ind Med. 1993; 23: 301-312. 

  26. Scherr PA, Hutchison GB, Neiman RS. Non-Hodgkin's lymphoma and occupational exposure. Cancer Res. 1992; 52: 5503-5509. 

  27. Greenland S, Salvan A, Wegman DH, Hallock MF, Smith TJ. A case-control study of cancer mortality at a transformer-assembly facility.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4; 66(1): 45-54. 

  28. Hardell L, Eriksson M, and Degerman A. Exposure to phenoxyacetic acids, chlorophenols, or organic solvents in relation to histopathology, stage, and anatomical localization of non-Hodgkin's lymphoma. Cancer Res. 1994; 54(9): 2386-2389. 

  29. Figgs LW, Dosemeci M, Blair A. United States non-Hodgkin's lymphoma surveillance by occupation. 1984-1989: a twenty-four state death certificate study. Am J Ind Med. 1995; 27(6): 817-835. 

  30. Holly EA, Lele C, Bracci P. Non-Hodgkin's lymphoma in homosexual me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occupational, chemical, and environmental exposures. J Acquir Immune Defic Syndr Hum Retrovirol. 1997; 15(3): 223-231. 

  31. Tatham L, Tolbert P, Kjeldsberg C. Occupational risk factors for subgroups of non-Hodgkin's lymphoma. Epidemiology. 1997; 8(5): 551-558. 

  32. Fritschi L, Benke G, Hughes AM, Kricker A, Turner J, Vajdic CM,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pesticides and risk of non-Hodgkin's lymphoma. Am J Epidemiol. 2005; 162(9): 849-857. 

  33. Kato I, Koenig KL, Watanabe-Meserve H, Baptiste MS, Lillquist PP, Frizzera G, et al. Personal and occupational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risk of non- Hodgkin's lymphoma (NHL) in women (United States). Cancer Causes and Control. 2005; 16(10): 1215-1224. 

  34. Miligi L, Costantini AS, Benvenuti A, Kriebel D, Bolejack V, Tumino R,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solvents and the risk of lymphomas. Epidemiology. 2006; 17(5): 552-561. 

  35. Seidler A, Mohner M, Berger J, Mester B, Deeg E, Elsner G, et al. Solvent exposure and malignant lymphoma: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Germany. J Occup Med Toxicol. 2007; 2(1): 2. 

  36. Wang R, Zhang Y, Lan Q, Holford TR, Leaderer B, Zahm SH,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solvents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in Connecticut women. Am J Epidemiol. 2009; 169(2): 176-185. 

  37. Purdue MP, Lan Q, Bagni R, Hocking WG, Baris D, Reding DJ, et al. Prediagnostic serum levels of cytokines and other immune markers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Cancer Res. 2011; 71(14): 4898-4907. 

  38. Iavicoli I, Marinaccio A, Carelli G. Effects of occupational trichloroethylene exposure on cytokine levels in workers. J Occup Environ Med. 2005; 47(5): 453-457. 

  39. Lan Q, Zhang L, Tang X, Shen M, Smith MT, Qiu C,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trichloroethylene is associated with a decline in lymphocyte subsets and soluble CD27 and CD30 markers. Carcinogenesis. 2010; 31(9): 1592-1596. 

  40. Shen T, Zhu QX, Yang S, Ding R, Ma T, Ye LP, et al. Trichloroethylene induc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itric oxide synthase mRNA expression in cultured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Toxicology. 2007; 239(3): 186-194. 

  41. Liu J, Xing X, Huang H, Jiang Y, He H, Xu X, et al. Identification of antigenic proteins associated with trichloroethylene-induced autoimmune disease by serological proteome analysis. Toxicol Appl Pharmacol. 2009; 240(3): 393-400. 

  42. Sarma SN, Kim YJ, Ryu JC.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s exposed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xicology. 2010; 271(3): 122-130. 

  43. Mandel JH, Kelsh MA, Mink PJ, Alexander DD, Kalmes RM, Weingart M, et al. Occupational trichloroethylene exposure and non-Hodgkin's lymphoma: a meta-analysis and review. Occup Environ Med. 2006; 63(9): 597-607. 

  44. Purdue MP, Lan Q, Bagni R, Hocking WG, Baris D, Reding DJ, et al. Prediagnostic serum levels of cytokines and other immune markers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Cancer Res. 2011; 71(14): 4898-4907. 

  45. Yang ZZ, Novak AJ, Stenson MJ, Witzig TE, Ansell SM. Intratumoral CD4+CD25+ regulatory T-cellmediated suppression of infiltrating CD4+ T cells in B-cell non-Hodgkin lymphoma. Blood. 2006; 107(9): 3639-3646. 

  46. Yang ZZ, Novak AJ, Ziesmer SC, Witzig TE, Ansell SM. Attenuation of CD8(+) T-cell function by CD4(+) CD25(+) regulatory T cells in B-cell non- Hodgkin's lymphoma. Cancer Res. 2006; 66(20): 10145-10152. 

  47. Lee HL, Eom HS, Yun T, Kim HJ, Park WS, Nam BH, et al. Serum and urine levels of interleukin-8 in patients with non-Hodgkin's lymphoma. Cytokine. 2008; 43(1): 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