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Effecting on Gifted Students' Achievement : Self-determination, Learning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3, 2011년, pp.611 - 630  

조선미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재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영향력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영재들 중 학업성취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학교 2학년 영재학생 12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외적 조절동기는 학업성취에 부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된 조절동기, 숙달접근, 자기효능감, 정교화, 초인지 전략은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 6개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였는데 분석결과 영재들의 학업성취는 정교화에 의해 15.5% 가량이 설명되었고 확인된 조절동기에 의해 추가로 5% 정도 더 설명되었다. 독립표본 t 검정 분석결과 학업성취가 낮은 영재학생들은 자기결정성, 숙달접근성, 자기효능감, 정교화, 초인지, 공간관리, 교사도움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성적이 낮은 중학교 영재들의 학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교화 인지전략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 on the gifted students' achievement. As a psychological factor, self-determination, learning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belief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ere examined. The differenc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현철(2011)의 주장처럼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이 조사된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다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들이 어느 정도의 상대적 설명력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영재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들과 그 특성들의 상대적 예측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중 자료로 수집된 자기결정성,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동기와 인지요인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으며 최종적으로 요인들의 상대적 예측력을 비교하는데 있다. 또 다른 연구목적은 학업성취가 높은 영재와 낮은 영재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미성취영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중 자료로 수집된 자기결정성,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영재와 성적이 낮은 영재의 동기와 인지적 특성의 집단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미성취 영재들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미성취 영재들은 부정적이거나 낮은 수준의 심리적 특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런 심리적 특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을 명확히 찾고자 심리적 특성들 간의 관계성에 중점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동기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은 서로 관련성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성을 조사하였으며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요인들의 상대적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으로는 동기요인으로 외적조절동기와 확인된 조절동기가 있었으며 숙달 접근 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있었다.
  •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결과를 다시 검증할 것이며 심리적 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상대적으로 영재의 학업성취를 잘 예측하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동기와 인지요인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으며 최종적으로 요인들의 상대적 예측력을 비교하는데 있다. 또 다른 연구목적은 학업성취가 높은 영재와 낮은 영재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미성취영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목표지향성으로 구분된다(Ames, 1992). 숙달목표지향성은 성취하고자하는 기능과 지식에 중점을 둔 것으로 자신이 정한 자신만의 학습목표를 이루었을 때 목표가 성취되었다고 믿는 신념이다.
성적이 낮은 중학교 영재들의 학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교화 인지전략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학교 2학년 영재학생 12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외적 조절동기는 학업성취에 부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된 조절동기, 숙달접근, 자기효능감, 정교화, 초인지 전략은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 6개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였는데 분석결과 영재들의 학업성취는 정교화에 의해 15.5% 가량이 설명되었고 확인된 조절동기에 의해 추가로 5% 정도 더 설명되었다. 독립표본 t 검정 분석결과 학업성취가 낮은 영재학생들은 자기결정성, 숙달접근성, 자기효능감, 정교화, 초인지, 공간관리, 교사도움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성적이 낮은 중학교 영재들의 학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교화 인지전략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어떤 요인들에 의해 학생들의 성적이 영향을 받는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이 교육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동기, 신념, 가치판단, 인지전략 등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학생들의 성적이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Eccles & Wigfield, 2002). 일반학생들처럼 영재 또한 심리적 특성들에 의해 학업성적이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243-264. 

  2.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3. 류관열, 엄우용, 최성열 (2010).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661-685. 

  4. 문병상 (2000). 학업적 자기조절 검사 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3(1), 239-260. 

  5. 문병상 (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6. 박병기, 송정화 (2008).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인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교육심리연구, 22(2), 333-350. 

  7. 박병기, 채선영 (2005).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9(4), 1219-1240. 

  8. 박승호, 박지희 (200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관여하는 초인지, 초동기 및 의지통제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 1-17. 

  9. 송인섭, 박성윤 (2000).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29-64. 

  10. 신영회 (2005). 중학교 과학수학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동기 유형과 실패내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이경란 (2005). 미성취 영재아 성취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차이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2. 이미순, 류가애 (2011). 초등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상대적 자율성에 대한 학습동기 연속체관점. 초등교육연구, 24(1), 155-173. 

  13. 이신동, 유미선, 최병연 (2008).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18(3), 425-442. 

  14. 이주화, 김아영 (2005). 학업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15.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16. 최병연 (2009). 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8(2), 85-104. 

  17.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종단연구2005(III): 조사개요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19. 한순미 (2003). 중다목표관점에서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 291-312. 

  20. 한순미 (2004).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1), 329-350. 

  21. Ablard, K. E., & Mills, C. J. (1996).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self-perceptions of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and childre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5(2), 137-148. 

  22. Ames, C. (1992). Classroom: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5. Barron, K. E., & Harackiewicz, J. M. (2001). Achievement goals and optional motivation: Testing multiple goal mode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5), 706-722. 

  26. Blackwell, L. S., Trzesniewski, K. H., & Dweck, C. S. (2007).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78(1), 246-263. 

  27. Bouffard-Bouchard, T., Parent, S., & Larive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 115-134. 

  28.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NY: Plenum. 

  29. Deci, E. L., & Ryan, R. M.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motivation, huma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49, 182-185. 

  30. Deci, E. L., Vallerand, R. J., Pelletier, L. G., & Ryan, R. M. (1991).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The Educational Psychologist, 74, 852-859. 

  31. Dweck, C. S., Chiu, C., & Hong, Y. (1995). Implicit theories and their role in judgments and reactions: A world from two perspectives. Psychological Inquiry, 6, 267-285. 

  32. Dweck, C. S., & Leggett, E. L.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256-273. 

  33. Eccles, J. S., & Wigfield, A. (2002).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109-132. 

  34. Elliot, A., & Church, M. (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218-232. 

  35. Elliot, A., & McGregor, H. (2001). A $2{\times}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oy, 80, 501-519. 

  36. Greene, B. A., & Miller, R. B. (1996). Influences on achievement: goals, perceived ability, and reasoning engage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 181-192. 

  37. Henderson, V., & Dweck, C. S. (1990).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p. 308-329).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8. Malpass, J., O'Neil, H., & Hocevar, D. (1999). Self-regulation,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worry, and high-stakes math achieve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Roeper Review, 21, 281. 

  39. Marzooghi, R, Sheikholeslami, R., & Shamshiri, B. (2009). Compar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Iranian gifted and nongifted Schoolchildren. Journal of Applied Sciences, 9, 1990-1993. 

  40. McCoach D. B., & Siegle, D. (2003). Factors that differentiate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from high-achieving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44-154. 

  41. Neber, H., & Schommer-Aikins, M. (2002). Self-regulated science learning with highly gifted students: the role of cognitive, motivational, epistem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High Ability Studies, 13(1), 59-74. 

  42. Pintrich, P. R., & De Groot, E.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43. Radosevich, D. J., Vaidyanathan, V. T., Yeo, S., & Radosevich, D. M. (2004). Relating goal orientation to self-regulatory processes: A longitudinal field tes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9, 207-229. 

  44. Risemberg, R., & Zimmerman, B. J. (1992). Self- regulated learning in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5, 98-101. 

  45. Ryan, R. M., & Deci, E. L. (2000a).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46. Ryan, R. M., & Deci, E. L. (2000b).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47.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NY: Harper collins College. 

  48. Yoon, C. H. (2009). Self-regulat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factors in the scientific inquiry of scientifically gift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53(3), 203-216. 

  49.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84-290. 

  50.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51. Zimmerman, B. J., & Schunk, D. H. (1989).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 Verla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