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 비교
A Comparison on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of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2, 2016년, pp.161 - 175  

배지현 (대구범일초등학교) ,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5학년의 영재 97명과 일반학생 144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정의적 특성 검사지와 추론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인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수학불안, 학습습관에서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지녔고,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도 일반학생보다 능력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수학영재는 정의적 특성의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학습습관은 추론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학불안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수학영재는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 중 수학불안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수학 영재들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학 불안을 줄이는 실질적인 여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학생들은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 중 흥미가 수학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따라서 교실 수업에서 일반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교수 학습 구안 및 적용을 통해 수학적 추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 s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학교 교육의 목적의 본질은? 영재교육은 물론이고 일반 학교 교육의 목적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주장되고 있으나 그 주장의 본질은 ‘인간다운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다. ‘인간다운 인간’ 또한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질 수 있으나 넓은 의미로 보면 지적, 정의적, 심체 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전인적 인간을 말한다(신성균․황혜정․김수진․성금순, 1992).
영재란? 우리나라 영재교육 진흥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영재란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를 말한다. 송상헌(1998)은 수학영재란 선천적으로 타고난 소질과 적성 및 후천적으로 학습한 수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경으로 하여 수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지적, 정의적인 행동특성이 수학적 사고 기능과 긍정적으로 조화롭게 작용하여 특별한 수학적 과제를 창의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변인 중 학업적 자아개념을 Anderson(1981)는 무엇이라 하였나? 1) 학업적 자아개념: Anderson(1981)은 학업적 자아 개념을 “학업적 상황에 있어서 어떤 사람이 학습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각”으로 정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학습활동에 관련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으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문환 (2006). 수학영재, 수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ang, M. H. (2006). The Study of The Comparison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 Gifted on Math, the Excellent on Math, and the Common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2. 강순자?김용구?정인철?임근광 (2006). 수학영재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프로시딩, 9(1), 41-55. (Kang, S. J., Kim, Y. G., Jung, I. C., & Lim, G. K. (2006). A study on the affective variables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1), 41-55.) 

  3. 강신포?김판수?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학교 수학, 5(4), 441-457. (Kang, S. P., Kim, P. S., & Yoo, H. 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School Mathematics, 5(4), 441-457.) 

  4.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5. 김민강 (2003). 수학영재의 신념, 태도 및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M. K. (2003). A study on the beliefs, attitud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6. 라병소?신경자?신준식?서동엽 (2002). 초등학생들 의 형식적 추론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1(3), 291-318.. (Na, B. S., Shin, K. J., Shin, J. S., & Seo, D. Y. (2002). Investigation o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abilities of formal reason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41(3), 291-318.) 

  7. 박경숙?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Park, K. S., & Lee, H. S. (197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attitude and learning habit test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8. 박경옥 (2003).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추론 능력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와 그 차이에 관한 분석: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ark, K. O. (2003). A study on affective factor and differences related to problem-solving in mathematics and reasoning ability-Focused on 6th graders-. The Graduate School of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방정숙 (1996). 초?중학생의 수학적 조건 추론 능력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ang, J. S. (1996).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nditional reasoning abi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배혜정?남승인 (2005). 아동의 메타인지를 유발하는 발문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9(1), 43-58. (Bae, H. J., & Nam, S. I. (2005). Effects of metacognitive instructions o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9(1), 43058.) 

  11. 송상헌 (1998). 수학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Song, S. H. (1998).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discrimination of the mathematical gif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신성균?황혜정?김수진?성금순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Shin, S. K., Hwang, H. J., Kim, S. J., & Seong, G. S. (1992).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essence of education(II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3. 유세희 (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Yoo, S. H. (2009). A survey on 5th grade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Focused on figure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이영주 (199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ee, Y. J. (1999).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affective characteris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ability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전평국?김은희?김원경 (2002). 수학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3(2), 425-455. (Jeon, P. K., Kim, E. H., & Kim, W. K. (2002). A study on the scoring framework for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3(2), 425-455.) 

  16. 정재숙?전평국 (2002). 전제의 해석 유형이 아동의 수학적 추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3(1), 161-167. (Jeong, J. S., & Jeon, P. K.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analysis types of premise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reason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3(1), 161-167.) 

  17. 한미진 (2002). 소집단 토의 학습이 추론 능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an, M. J. (2002). The effect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improving reaso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황동옥 (1997).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wang, T. O. (1997). A development of a learning materials for improving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Boston, NY: Allyn and Bacon, Inc. 

  20. Fisibein, M., & Ai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21. Getzels, J. W. (1966). The problem of interests: A reconsideration. In H. A. Robinson(Ed.), Reading: Seventy-five years of progress(pp. 97-106). Supplementary Education Monographs. 

  22.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2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e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4. Sternberg, R. J. (1982). Reasoning, problem solving, and intelligence.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human intelligence(pp.225-307).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