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lications: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12 - 22  

이숙정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을 통한 자기결정적 조절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기본심리욕구,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지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26개의 중독방지 앱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8개는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 18개는 자기관리형 앱이었다. 내용분석 결과, 분석된 앱 중에서 오직 3개의 앱만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지지하는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자기관리형 앱의 경우, 대부분이 차단 제한 잠금 등 이용환경을 자율적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자율성 지지 속성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상 행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능성과 관계성 속성은 매우 낮았다.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이 모두 낮았으며, 자기결정적 동기를 저해하는 통제성이 상당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조절동기를 촉진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용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고려한 중독방지 앱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feature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have features to support adolescent users' basic needs, that i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26 app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해 볼 때, 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이용조절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앱이 그렇지 않은 앱보다 이용자의 과다 사용 행동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본심리욕구,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지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내용분석을 통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을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중독방지 앱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이용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지지해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된 이용자의 자기 결정적 동기를 촉진시켜 자기조절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은 자기관리형과 자녀폰 연동 부모 관리형으로 구분되는데, 자기관리형 앱과 부모관리형앱 간의 차이도 살펴볼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중독방지 앱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 하여 효과적인 중독방지 앱의 속성들을 도출해냈다. 현재 유해물차단이나 중독방지를 위한 부모관리형 앱들은 정부나 통신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들을 분류해 내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즉 중독방지 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중독방지 앱의 효과를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앱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하여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키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 앱 형태별로 그 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나아가 자기결정성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을 조절 및 중재할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중재 방안에는 부모 중재와 학교 교육 등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해 볼 때, 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이용조절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앱이 그렇지 않은 앱보다 이용자의 과다 사용 행동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중독방지 앱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 하여 효과적인 중독방지 앱의 속성들을 도출해냈다.
  •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들을 분류해 내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즉 중독방지 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중독방지 앱의 효과를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앱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분석한 앱의 자기결정적 요소와 이용자들 간의 평가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결정성 이론가들은 외재동기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자기결정성 이론가들은 외재동기를 외적 통제로부터 자기결정에 이르는 하나의 연속체로 개념화하고, 그 유형을 외적 조절(external regulation), 내사된 조절 (introjection), 확인된 조절(identification), 통합된 조절 (integration)로 구분한다. 외적 조절은 한 개인이 외적 제약에 대한 순응이나 외적 보상 또는 처벌 때문에 요구된 행동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동기유형이다.
부모 중재의 종류인 제한적 중재, 설명적(적극적) 중재, 공동 이용은 각각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부모 중재는 제한적 중재, 설명적(적극적) 중재, 공동 이용으로 구분된다[4][5]. 제한적 중재는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제한하기 위해 부모가 규칙을 정하거나 금지 및 차단을 하는 중재방식을 의미하며, 설명적(적극적) 중재는 부모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내용을 설명해 주는 중재방식이다. 공동 이용은 부모와 자녀가 미디어를 함께 이용하지만 중재를 목적으로 하는 의도된 대화는 일어나는 않는 형태이다. 부모의 중재방식이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김형지와 정세훈 연구에 따르면[6], 부모의 설명적(적극적)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인 관계를 보인 반면에, 제한적 중재는 오히려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이란 무엇인가? 관계성은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적 환경 내에서 타인과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고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이다[17]. 사람들은 타인들과 서로 관심을 주고받고, 나아가 사회적 집단에 소속 되어 있음을 느끼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하성보, 강승묵, "스마트폰의 이용행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 89-99, 2011. 

  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2015. 

  3.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208-217, 2013. 

  4. L. S. Clark,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Vol. 21, No. 4, pp. 323-343, 2011. 

  5. P. M. Valkenburg, M. Krcmar, A. L. Peeters, and N. M. Marseille, "Developing a scale to assess three styles of television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restrictive mediation," and "social coviewing"," J.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43, No. 1, pp. 52-66, 1999. 

  6. 김형지, 정세훈,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2권, 제1호, pp. 87-120, 2015. 

  7. 이창호, 김경희,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3-R08, 2013. 

  8. 고민삼, 이준원, 양수빈, 이의진, "스마트폰 과도 사용 중재 모바일 앱 분석: 중재 방법 관점," HCI pp. 747-750, 2014. 

  9.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No. 1, pp. 68-78, 2000. 

  10.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 11, No. 4, pp. 227-268, 2000. 

  11.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4호, pp. 169-187, 2002. 

  12.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 329-350, 2004. 

  13. E. L. Deci, R. J. Vallerand, L, G. Pelletier, and R. M, Ryan,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26, No. 3-4, pp. 325-346. 1991. 

  14. 김수연, "욕구만족도, 자기결정동기가 청소년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2호, pp. 169-189, 2009. 

  15. 조한익, 권혜연,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 47-68, 2010. 

  16. 김은영, 성소연, 최명구, "자기결정동기 유형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 1-27, 2014. 

  17. E. L. Deci and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5. 

  18. C. P. Niemiec and R. M. Rya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classroom Applying self-determination theory to educational practice,"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 Vol. 7, No. 2, pp. 133-144, 2009. 

  19. G. C. Williams, H. Patrick, C. P. Niemiec, R. M. Ryan, E. L. Deci, and H. M. Lavigne, "The smoker's health project: a self-determination theory intervention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obacco abstinence,"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Vol. 32, No. 4, pp. 535-543, 2011. 

  20.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Macmillan, 1997. 

  21. S. N. Sweet, M. S. Fortier, S. M. Strachan, C. M. Blanchard, and P. Boulay, "Testing a longitudinal integrated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model for physical activity post-cardiac rehabilitation," Health Psychology Research, Vol. 2, No. 1, 2014 

  22. W. M. Rodgers, D. Markland, A. M. Selzler, T. C. Murray, and P. M. Wilson, "Distinguishing Perceived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 Example From Exercis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Vol. 85, No. 4, pp. 527-539, 2014. 

  23. R. Jackson-Kersey and C. Spray,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need support on a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1356336X15591341, 2015. 

  24. R. M. Ryan and E. L. Deci, "Self-regulation and the problem of human autonomy: does psychology need choice, self-determination, and will?," J. of personality, Vol. 74, No. 6, pp. 1557-1586, 2006. 

  25. J. Reeve and H. Jang, "What teachers say and do to support students' autonomy during a learning activity,"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8, No. 1, pp. 209-218, 2006. 

  26. 최정화, 박동진, 노기영,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제17권, 제2호, pp. 76-110, 2013. 

  27. P. R. Sama, Z. J. Eapen, K. P. Weinfurt, B. R. Shah, and K. A. Schulman, "An evaluation of mobile health application tools," JMIR mHealth and uHealth, Vol. 2, No. 2, 2014.. 

  28. J. Reeve, H. Jang, P. Hardre, and M. Omura, "Providing a rationale in an autonomysupportive way as a strategy to motivate others during an uninteresting activity," Motivation and emotion, Vol. 26, No. 3, pp. 183-207, 2002. 

  29. 이숙정, 전소현,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 289-322, 2010. 

  30. P. M. Valkenburg, J. T. Piotrowski, J. Hermanns, and R. de Leeuw,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perceived parental media mediation scale: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39, No. 4, pp. 445-46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