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관계 분석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3, 2011년, pp.773 - 796  

이지애 (부산대학교) ,  박수경 (경남대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중학생 과학영재 110명을 대상으로 사고 양식,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의 특징과 수준을 조사하고,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은 Sternberg가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기능, 형식, 수준, 범위, 경향성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13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사고 양식 검사는 Sternberg와 Wanger (1991)의 TSI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방법검사'로 명명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를, 과학탐구능력은 국내에서 최근 개발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T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과학영재들은 입법적 사고양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자유주의적, 외부지향적, 계급제, 사법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였고 보수주의적 사고양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사고양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변인은 입법적, 계급제, 지엽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큰 변인은 입법적 사고양식인 반면 과두제 사고양식은 부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사고양식 유형 및 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한 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고양식의 유형별 집단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hinking styl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n the basis of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by the different types of th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과학영재들이 드러내는 다양한 특성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으로, 이들 특성의 하위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사고양식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나머지 두 가지 능력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하위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사고양식(thinking style)’은 Sternberg (1990, 1997)가 정신자치제 이론(the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미국, 홍콩, 중국, 필리핀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른 구인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사고양식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사고양식 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사고양식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사고양식 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 사고양식과 다른 능력간의 다양한 관계성이 검증된다면, 사고양식의 특성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수 전략을 탐색하는데 시사점을 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한 중학생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사고양식 유형 및 수준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밝혀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은 다음에 제시하는 바와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는 윤미선과 김성일(2002)의 접근 방법을 수용하되, 실시한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를 근거로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섯 가지 개별 사고 양식(입법적, 계급제, 과두제, 지엽적,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만을 기준으로 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여섯 가지 개별 사고양식은 동일차원 내에서 대립되는 사고양식이 아니며, 대상학생들이 하나의 사고양식만을 가지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있다. 먼저, 개별 사고양식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응답자의 중앙값(median)을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나눈 뒤,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표 8>과 같이 6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적인 측면에서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과는 다르게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과학영재들을 위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실시해야만 한다는 필연적 당위성은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모두 요구된다. 특히, 개인적인 측면에서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과는 다르게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 사회적, 직관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Karnes & Bean, 2001) 이에 알맞은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개별 학생의 특성과 기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영재교육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은 일관되게 그들의 개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점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인지 전략 및 메타인지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됨과 동시에, 동기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고, 성취를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하려는 능동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인지 전략 및 메타인지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됨과 동시에, 동기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Zimmerman & Martinez-Pons, 1990; Schunk & Zimmerman, 1994).
사고양식이란 무엇에 기초한 개념이며 어떻게 구성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중학생 과학영재 110명을 대상으로 사고 양식,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의 특징과 수준을 조사하고,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은 Sternberg가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기능, 형식, 수준, 범위, 경향성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13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사고 양식 검사는 Sternberg와 Wanger (1991)의 TSI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방법검사'로 명명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를, 과학탐구능력은 국내에서 최근 개발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T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김미숙, 윤초희, 조석희 (2005). 우리나라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 일반학생과의 비교 및 학년과 성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6(3), 25-58. 

  3. 김소연 (2000). Sternberg의 지능 및 사고양식 이론의 타당화.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 김수경, 김명숙, 이은경, 하민수, 김동훈, 김중복, 차희영, 김성하, 강성주, 김정률 (2007).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63-177. 

  5.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연구(I): 기초 연구편. CR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노태희, 장신호 (1999).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29-238. 

  7.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8.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25(8), 708-718. 

  9.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10. 서혜애 (2009).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반 중학생들의 특성: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따른 개인적 성향 및 학습선호도. 영재교육연구, 19(3), 457-476. 

  11. 서혜애, 김영민, 정영숙 (2010). 영재교육 대상자 관찰 . 추천 도구 매뉴얼. 부산: 부산광역시교육청. 

  12. 양명희 (1999).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3(2), 47-70. 

  14. 양태연 (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5. 유진상, 심규철 (2007). 과학탐구대회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분석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09-116. 

  16. 윤미선 (1997).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7. 윤미선, 김성일 (2004). 학업성취 및 성취동기 예측변인으로서의 사고양식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18(1), 351-366. 

  18. 윤소정, 윤경미, 유순화 (200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유형 차이 및 교사 특성별 사고유형. 영재교육연구, 13(3), 19-44. 

  19. 윤초희, 정현철 (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2), 321-339. 

  20. 이진희 (2010).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 탐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1. 정미선 (2007).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2. 정현철, 윤초희 (2005). 과학영재의 자율연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전략 탐색 및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수탁연구 CR 2005-3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3.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수탁연구 CR 2004-4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검사 제작편. CR-97-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한기순, 김희정 (2010).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0(1), 289-316. 

  26.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 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1), 49-68. 

  2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 A Process Approach II (SAPA II). Hudson, NH: Delta Education, Inc. 

  28. Bernardo, A. B., Zhang, L. F., & Callueng, C. M. (2002).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ilipino student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2), 149-163. 

  29. Bouffard-Bouchard, T., Parent, S., & Larive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 115-134. 

  30. Dai, D. Y., & Feldhusen, J. F., (1999). A validation study of the thinking styles inventory: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21(4), 302-307. 

  31.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 (1995). Thinking styles. In H. D. Saklofske, & M. Zeidner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p. 205-229). New York, NY: Plenum Press. 

  32.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 (1997). Styles of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Exceptional Children, 63, 295-312. 

  33. Karnes, F. A., & Bean, S. M. (Eds.). (2001).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Waco, TX: Prufrock Press. 

  34.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 801-813. 

  35. Schunk, D. H., & Zimmerman, B. J.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Hillsdale, NJ: Erlbaum. 

  36. Sternberg, R. J., & Wanger, R. K. (1991). MSG Thinking Styles Inventory (Unpublished test, Yale University). 

  37. Sternberg, R. J. (1988). Mental self-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38. Sternberg, R. J. (1990). Thinking styles: Keys to understanding student performance. Phi Delta Kappan, 71, 366-371. 

  39. Sternberg, R. J. (1994).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52(3), 36-40. 

  40. Sternberg, R. J. (1997). Thinking style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Weinstein, C. E., & Mayer, R. E. (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42. Zhang, L. F. (2001). Do thinking styles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 beyond self-rated abiliti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6), 621-637. 

  43. Zhang, L. F. (2002). Thinking styles: Their relationships with modes of thinking and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y, 22(3), 331-348. 

  44. Zhang, L. F., & Sternberg, R. J. (1998). Thinking styles, 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3(1), 41-62. 

  4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46.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84-290. 

  47.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