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준비도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및 심리적 특성 차이 검증: 부모, 교사의 중다 평정 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School Readiness and Testing its' Relationship to School Ada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41 - 50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한 최적의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탐색된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10차년도(2017년) 자료의 1,154명을 분석 대상으로 했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했을 때, 잠재계층은 '일치된 하 집단', '부모가 교사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 '교사가 부모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 '일치된 상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차이 검증 결과, '일치된 상 집단'과 '교사가 부모보다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이 '일치된 하 집단'보다 대체로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1~3학년 시기의 학업 수행능력,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일치된 상 집단'이 '일치된 하 집단'보다 대체로 학업수행능력, 자아존중감, 행복감 수준은 높지만, 문제행동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취학 전 유아 시기의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를 활용하여 학교준비도 수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에 기초한 적절한 교육적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school readiness which were measured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and to test the relationship with school adaption, academic abilities, problematic behaviors, self-esteem, and happines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MANOVA, and one-way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한 최적의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탐색된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 문제행동, 자아 존중감, 행복감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중요한 특성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은 아동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특성 중 하나이다. 교사 단일 평정 결과에 기초한 학교준비도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한 연구에 따르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의 학교적응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대다수 선행연구가 활용한 단일 평정 정보를 사용했던 것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중다 평정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그로 인해 밝혀진 것과 실제적 의의는 무엇인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관련된 대다수 선행연구가 단일 평정 정보인 부모 또는 교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 자료에 기초하여 잠재계층을 확인했다는 학문적 의의가 있다. 특히 부모와 교사의 평정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공존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중다 평 정 결과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실제적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학교준비도가 무엇인가? 학교준비도는 아동이 학교생활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고, 배우는데 필요한 다양한 행동과 기술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가를 의미하며[1], 학습과 발달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 총체적 개념이다[4]. 취학 전 유아기의 학교준비도는 초등학교 시기의 학업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학교준비도의 하위 요인에 포함된 기술을 잘 갖추고 있는 것이 복잡한 인지 능력 발달, 긍정적 학교 적응에 기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5 재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 J. Duncan, C. J. Dowsett, A. Claessens, K. Magnuson, A. C. Huston, P. Klebanov, L. S. Pagani, L. Feinstein, M. Engel, J. Brooks-Gunn, H. Sexton, K. Duckworth, C. Japel,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3, No.6, pp.1428-1446,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43.6.1428 

  2. S. A. Lee, S. A. Lim, "The mediated effects of school readiness and social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30, No.1, pp.221-233, 2019. DOI: http://dx.doi.org/10.20972/Kjee.30.1.201903.22 

  3. T. M. Achenbach, S. H. McConaughy, C. T. Howell, "Child/adolesce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mplications of cross-informant correlations for situational specificity", Psychological Bulletin, Vol.101, pp.213-232, 1987.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01.2.213 

  4. P. Ip, N. Rao, J. Bacon-Shone, S. L. Li, F. Ka-wing Ho, C. B. Chow, F. Jiang, "Socioeconomic gradients in school readiness of Chinese preschool children: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processes and kindergarte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35, pp.111-123, 2016. DOI: http://dx.doi.org/10.1016/j.ecresq.2015.10.005 

  5. E. Commodari, "Preschool teacher attachment, school readiness and risk of learning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28, No.1, pp.123-133, 2013. DOI: http://dx.doi.org/10.1016/j.ecresq.2012.03.004 

  6. Y. A. Jung, S. J. Kim, "School readiness profiles on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18, pp.875-895, 2019.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18.875 

  7. J. Y. Lee, S. H. Le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children's peer interactions,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23, No.3, pp.171-199, 2019. 

  8. J. S. Won, J. S. Kim, "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3, No.9, pp.177-205, 2016.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6.09.23.9.177 

  9. H. J. Suh, S. H. Rh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10, No.4, pp.55-70, 2018. 

  10. A. De Los Reyes, A. E. Kazdin, "Informant discrepancies in the assessment of childhood psychopathology: A critical review, theoretical framework,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4, pp.483-509, 2005.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31.4.483 

  11. B. R. Lane, J. Paynter, R. Sharman,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aptive and challenging behaviour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Vol.7. pp.1196-1203, 2013. DOI: http://dx.doi.org/10.1016/j.rasd.2013.07.011 

  12. A. De Los Reyes, T. M. Augenstein, M. Wang, S. A., Thomas, D. A. G. Drabick, D. E. Burgers, J. Rabinowitz, "The validity of the multi-informant approach to assessing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Vol.141, No.4, pp.858-900, 2015. DOI: http://dx.doi.org/10.1037/a003849 

  13. T. M. Achenbach, "Multi-informant and multicultural advances i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students' behavioral/emotional/social difficult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ol.34, No.2, pp.127-140, 2018. DOI: https://doi.org/10.1027/1015-5759/a00044 

  14. A. G. Hartley, A. L. Zakriski, J. C. Wright, "Probing the depths of informant discrepancies: Contextual influences 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Vol.40, No.1, pp.54-66, 2011. 

  15. http://panel.kicce.re.kr 

  16. S. H. Baek, H. W. Chu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changing community spirit as determined by means of growth mixture modeling", Studies on Korean Youth, Vol.28, No.1, pp.151-182, 2017. DOI: http://dx.doi.org/10.14816/sky.2017.28.1.151 

  17. E. M. Yeon, H. S. Choi, "Exploring the latent classes in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y mother and teacher: Multivariate analysis across school ada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6 pp.38-47,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6.38 

  18. J. M. Kim, S. Y. Hong,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 readiness,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5, No.3, pp.507-525, 2019, DOI: https://doi.org/10.24159/joec.2019.25.3.507 

  19. Y. H. Kim, J. Y. Koo, H. K. Kim, "Longitudinal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school: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9, No.3, pp.191-213, 2019.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9.39.3.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