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3, 2014년, pp.76 - 89  

김용국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 증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등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은 확장하고 있으나, 확장된 기능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공원 정책개발 및 집행 과정에 도시공원의 다기능성과 분배적 형평성을 반영하기 위해 녹색복지 개념을 제안한다.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NUP)의 분배적 형평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원복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색복지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생애주기별 시민 모두가 건강 증진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녹색 서비스 전달과정에 참여하고 공정한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정의했다. 분석결과 서울시는 자치구별 사회 경제 환경적 지위에 따라 1인당 NUP 면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NUP 면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공원복지 지표는 인구밀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홍수 및 대기오염 취약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공원복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NUP는 불균형적으로 공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의 향후 도시공원 정책은 양적 확충을 넘어 공원이 지닌 기능의 공정한 분배가 요구되며, 이는 공원서비스의 수요자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nctions of urban park including health related benefit and clim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are expanding. However, in-depth research and discourse on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expanded park function has been limited so far. Following research suggests Green Welfare concept to reflect d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은 어떻게 공급되어야 하는가? 도시공원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공정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충분한 양과 높은 질의 도시공원 서비스는 모든 시민이 공평하게 제공받아야 하는 공공 재이다.
어떤 상황 속에서 질 높은 도시공원의 보전,확충,관리는 사회 및 환경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가? 하지만 서울을 포함한 다수의 대도시는 공원 절대량이 부족한 상황 속에서1) 급격한 도시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경제구조 변화와 사회 양극화, 저성장 상황에서의 빈곤, 질병 등의 구 사회위험 문제와 저출산․고령화, 가족해체, 근로 빈곤 등의 신 사회위험 문제, 그리고 기후변화 등에 따른 환경 및 안전문제가 중첩되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복지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Cho, 2013).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질 높은 도시공원의 보전․확충․관리는 사회 및 환경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충분한 양과 높은 질의 도시공원 서비스란? 도시공원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공정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충분한 양과 높은 질의 도시공원 서비스는 모든 시민이 공평하게 제공받아야 하는 공공 재이다. 도시민들이 이와 같은 공공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선출한 중앙 및 지방정부는 공원녹지 등의 기반시설을 시민 모두가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의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e, M. K and Y. R. Kim(2013) Development of urban park supply alternatives considering the equity evaluation of urban park service: Focused on Cheongju cit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7: 49-66. 

  2. Bowler, D. E., L. Buyung-Ali, T. M. Knight and A. Pullin(2010) Urban greening to cool towns and citi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7(3): 147-155. 

  3. Chang, C. R., M. H. Li and S. D. Chang(2007) A preliminary study on the local cool-island intensity of Taipei city pa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 386-395. 

  4. Chiesura, A.(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129-138. 

  5. Cho, H. S.(2013) (The)Economic andWelfare Policy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complied by Seoul Institute of Social and Economic Studies. Hanul Publishing Group. 조흥식(2013) 박근혜정부복지정책의방향과과제,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엮음. 박근혜 정부 경제.복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울 아카데미. 

  6. Choi, B. D.(2009) Definition of green, concept of green city. Busan Development Forum 119: 8-11. 최병두(2009) 녹색의 의미와 녹색도시의 개념. 부산발전포럼 NO 119: 8-11. 

  7. Citizen, Public Landscape Architects Group, Seoul Metropolitan city (2014) Strategies for declaration of green city. 시민.공공조경가 그룹.서울특별시(2014) 푸른도시선언 전략계획. 

  8. Comber, A., C. Brunsdon and E. Green(2008) Using a GIS-based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urban greenspace accessibility for different ethnic and religious group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 103-114. 

  9. Ernstson, H.(2013) The social production of ecosystem services: A framework for studying environmental justice and ecological complexity in urbanized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9: 7-17. 

  10.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2009) Framework and conceptual model of korean ecowelfare.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2009) 생태복지의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 결과 보고서 

  11. Feyisa, G. L., K. Dons and H. Meilby(2014) Efficiency of parks in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An example frm Addis Abab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3: 87-95. 

  12. Fuller, R. A. and K. J. Gaston(2008) The scaling of green space coverage in European cities. Biology letters 5(3): 352-355. 

  13. Heynen, N., H. A. Perkins and P. Roy(2006) The political ecology of uneven urban green space: the impact of political economy on race and ethnicity in producing environmental inequality in milwaukee. Urban Affairs Review 42(1): 3-25. 

  14. Jim, M. and W. Y. Chen(2008) Assessing the ecosystem service of air pollutant removal by urban trees in Guangzhou(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8(4): 665-676. 

  15. Joo, H. S. and S. C. Kim(2009) Impacts of urban green spaces on air quality.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47(3): 386-393. 

  16. Kabisch, N. and D. Haase(2013) Green spaces of European cities revisited for 1990-2006.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0: 113-122. 

  17. Kabisch, N. and D. Haase(2014) Green justice or just green? Provision of urban green spaces in Berlin,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2: 129-139. 

  18. Kazmierczak, A. and G. Cavan(2011) Surface water flooding risk to urban communities: Analysis of vulnerability, hazard and exposu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2): 185-197. 

  19. Kim, E. J. and M. G. Kang(2011)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7(3): 27-42. 

  20. Kim, I. H(2012). Urban forest and construction of green welfare poles. Urban Affairs 47(521): 24-28. 김인호(2012) 도시의 숲과 녹색복지거점구축 방안. 도시문제 47(521): 24-28. 

  21. Kim, Y. G., S. Y. Han and K. J. Zoh(2011a) A stud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83-97. 

  22. Kim, Y. J. and K. H. Ahn(2011b) Influences of neighborhood's physical environment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the elderl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6): 89-99. 

  23. Konijnendijk, C. C., M. Annerstedt, A. B. Nielsen and S. Maruthaveeran (2013) Benefits of urban parks: A systematic review. Copenhagen. 

  24. Lakes, T., M. Bruckner and A. Kramer(2014)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justice index to determine socio-economic disparities of noise pollution and green space in residential areas in Berlin.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7(4): 538-556. 

  25. Lee, J. P.(2011a) Green welfare is possible and needed. Redian. 이정필(2011a) 녹색복지, 가능하고 필요하다. 레디앙. 2011년 5월 4일. 

  26. Lee, J. P.(2011b) Assessment and prospect on 'green welfare' by alternative discourse of Korean society. Progress Review 50: 88-110. 이정필(2011b) 한국 사회 대안담론으로서의 '녹색복지'에 대한 평가와 전망. 진보평론. 50: 88-110. 

  27. Lee, K. H. and K. H. Ahn(2008)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3): 249-261. 

  28. Lee, N. Y., Y. S. Cho and J. Y. Lim(2014) Effect of climate change on mortality rate analysis of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1): 456-484. 

  29. Lim, Y. R., J. M. Chu, J. Y. Shin, H. J. Bae and C. S. Park(2009)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natural greenspace and urban parks by income class factor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4): 133-146. 

  30. Lee, G. and I. Hong(2013)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in the context of spatial disparity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urban park servi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9: 85-90. 

  31. Low, S.(2013) Public space and diversity: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for parks. In G. Young, & D. Stevenson (Eds.),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Planning and Culture (pp. 295-310). Surrey: Ashgate Publishing. 

  32. Mass, J., R. A. Verheij, S. de Vries, P. Spreeuwenberg, F. G. Schellevis and P. P. Groenewegen(2009) Morbidity is related to a green living environment.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3(12): 967-973. 

  3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2013) Hope with everyone, urban regene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국토교통부(2013) 함께하는 희망, 도시재생. 국토교통부. 

  34. Mitchell, R. and Popham, F.(2008) Effect of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on health inequalities: An observational population study. The Lancet 372(9650): 1655-1660. 

  35. Nam, S. H., Y. S. Kim and Y. S. Joo(2012) A study of composite index on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6. Oh, K. and Jeong, S.(2007)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1/2): 25-32. 

  37. Reyes, M., A. Paez and C. Morency(2014) Walking accessibility to urban parks by children: A case study of Montrea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5: 38-47. 

  38. Seo, H. J. and B. W. Jun(2011)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 221-237. 

  39. Seoul Green Trust(2013) 10,442,426 citizens' garden culture solution. Sourcebook of Symposium on 10th Anniversary of 2013 Seoul Green Trust. Seoul Green Trust. 서울그린트러스트(2013) 10,442,426 시민의 정원문화 솔루션. 2013 서울그린트러스트 10주년 심포지엄 자료집. 서울그린트러스트. 

  40. Shin, J. Y.(2010) Assessment of social equity in access to urban parks in regions with both new and old urban developments : focusing on first stage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1. Sister, C., J. Wolch and J. Wilson(2010). Got green? Addressing environmental justice in park provision, GeoJournal 75(3), 229-248. 

  42. Smoyer-Tomic, K. E., J. N. Hewko and M. J. Hodgson(2004) Spatial accessibility and equity of playgrounds in Edmonton, Canada. The Canadian Geographer 48(3): 287-302. 

  43. Song, J. J.(2011) SPSS/AMOS Statistic Analysis Methods. 21 century book. 송지준(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44. Sung, J. H., H. J. Baek, H. S. Kang and Y. O. Kim(2012) The assessment of future flood vulnerability for Seoul region.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4(3): 341-352. 

  45. Sung, J. S.(2014) Green-health topology - enhancement of health and happiness through green.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53: 71-79. 성종상(2014) 녹색-건강 위상학 -그린을 통한 건강.행복 증진. 환경논총 53: 71-79. 

  46. Thompson, C. A., J. Roe, P. Aspinall and R. Mitchell(2012) More green space is linked to less in deprived communities: Evidence from salivary cortisol patter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5: 221-229. 

  47. Wolch, J., J. P. Wilson and J. Fehrenbach(2005) Parks and park funding in Los Angeles: An equity-mapping analysis. Urban Geography 26(1): 4-35. 

  48. Wolch, J. R., J. Byrne and J. P. Newell. Urban green spac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justice: The challenge of making cities 'just green enough'. Landscape Urban Plan. (2014), http://dx.doi.org/1016/j.landurbplan. 2014.01.017 

  49. Yin, S., Z. Shen, X. Zou, S. Che and W. Wang(2011) Quantifying air pollution attenuation within urabn parks: An experimental approach in Shanghai, China. Environmental Pollution 158(8-9): 2155-216. 

  50. Yoo, H. J., E. H. Lee, K. J. Kim and K. W. Cha(2011) A contents analysis of the 'Green' concept through a review of 21 Korean law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7(3): 53-77. 

  51. Zoh, K. J.(2010) Urban park, limit, mediation and horizontalit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on NewIdeas on Urban Parks : 11-19. 

  52. http://stat.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