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주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에 따른 가공식품 관련 식행동과 식품표시 인식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Food Labeling Syst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in Won Ju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2 no.3, 2011년, pp.379 - 393  

원향례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혜령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who will be the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and looked for the measures to understand and establish the right food labeling system by survey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The data w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영양지식 정도에 따라 가공식품 관련 식행동과 식품표시제도의 활용과 이해도를 알아보고 식품표시 제도의 올바른 인식과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앞으로 소비의 주체가 될 대학생의 영양지식 정도에 따른 가공식품 관련 식행동 양상을 비교해보고, 식품표시의 이해정도와 활용도를 조사함으로 식품표시 제도의 올바른 인식과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영양지식 정도에 따른 가공식품 관련 식행동 양상을 비교해보고, 식품표시의 이해정도와 활용도를 조사함으로 식품표시 제도의 올바른 인식과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조사분석 한 결과는? 1. 대학생의 가공식품과 관련된 영양지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가공식품 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10문항을 제시하였고, 문항 당 1점씩, 1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총점 평균은 6.8점이었고, 최하점은 2점, 최고점은 10점이었다. 평균점수(6.8)를 기준으로 7점 이상은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 6점이하는 영양지식이 낮은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이 두 그룹 간 가공식품 관련 식행동과 식품 영양표시 인식정도를 비교해보았다. 2. 대학생의 가공식품 선택기준은 즉흥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영양지식 정도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은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선택 기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영양지식이 낮은 그룹은 TV광고에 나온 제품을 선택 기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공식품 구매시 맛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영양, 맛, 가격, 외관(모양), 유통기한 항목을 더 고려해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최근 이슈화 되어 식품표시에도 표시가 의무화 된 트랜스 지방의 경우 들어보았다는 응답률은 93.2%였고,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좀 더 많이 들어본 것으로 나타났다(P<0.005). 3. 대학생의 식품표시 확인정도는 51.3%로 나타났고,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에서 확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품별 식품 표시 확인정도를 알아본 결과 우유 및 유제품을 가장 많이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육가공품, 과자, 빵, 면류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확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품별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품표시는 유통기한으로 나타났고, 구입한 식품을 보관하는 방법도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식품포장에 적힌대로 보관하며(P<0.05), 구입한 식품이 변질 또는 잘못 구입한 것을 알았을 때에도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반품 및 교환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대학생이 영양표시를 알고 있는 비율은 49.6%인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은 57.5%, 영양지식이 낮은 그룹은 36%가 영양 표시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필요도와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ㆍ홍보 필요도는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에서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표시의 효과는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에서는 제품의 질 향상(P<0.01), 영양지식이 낮은 그룹에서는 타제품과의 비교(P<0.05)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영양표시 이해도 전체 평균은 3.8점이었고,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영양 표시 이해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6. 식품ㆍ영양표시에 대한 신뢰도ㆍ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이지는 않았으나 높지 않았고(2.50~2.95) 영양표시의 필요성은 느끼지 않는 편으로 나타났다(1.52~2.20).
영양소를 정확하게 알고 먹는 것을 거의 불가능한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가공식품 섭취율의 급격한 증가는 특히 미래의 소비의 주체가 될 대학생의 경우 생활 패턴의 변화와 부족한 영양학적 지식으로 인해 현명한 식품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가공식품은 가공과정에서 일부 영양소가 파괴되기도 하고, 특정 영양소를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 동일한 식품이라 하더라도 제품이 가진 영양적 가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문가라고 해도 실험실에서 분석해 보지 않고서는 영양소를 정확하게 알고 먹는 것을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영양표시제도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식품표시제도가 창안되었다. 또한 영양표시제도는 식품표시 항목 중의 하나로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적절한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식품 선택과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보건복지부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나영.김성환.김은미(2006) 충남 일부 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생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6(1), 46-53. 

  2. 박혜련.민영희(1995) 식품의 영양표시제도 정착을 위한 기초조사(1):소비자 인식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3), 155-166. 

  3. 박혜련(2010) 영양관리사업의 추진방향. 국민영양관리법의 핵심과제와 적용방안: 영양전문가의 역할. 2010년 (사)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9-23. 

  4. 보건복지부(2006)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부문. 

  5. 보건복지부(2010) 새로 개정한 한국인을 위한 식생 활지침-II.영.유아, 어린이, 청소년-국민영양 2010년 3월호, 22-26. 

  6. 성수정(2009) 대학생이 간식으로 섭취한 가공식품 실태 - 간식 가공식품.영양소.식품 첨가물 섭취량.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신유진(2009) 대학생의 영양표시제도에 관한 인식과 영양관련지식과의 관련성 분석.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승희(2008) 전북지역 대학생들의 식행동과 식품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강자.이윤희(2004) 식품영양표시 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이용실태:20대 남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1), 54-63. 

  10. 이경애.이현진.박은주(2010) 대학생의 영양표시 확인 여부에 따른 영양 표시에 대한지식, 인식 및 유용성 자각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2), 253-266. 

  11. 이민진(2009) 냉동가공식품에 대한 이미지와 식품.영양표시의 인식도(식품업계 종사자와 일반인과의 비교). 경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장남수(1997) 서울지역 성인의 식품.영양.건강태도와 식품영양표시 활용실태. 한국영양학회지 30(3), 360-369. 

  13. 정화영(2007)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이용실태와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광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수희.유현희 (2007) 여고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5), 519-533. 

  15. 주나미.윤지영.김옥선.박상현.고영주.김지연(2006) 영양표시 제도에 대한 여성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2), 209-215. 

  16. 최은숙(2010) 간식으로 섭취하는 가공식품의 영양 표시에 대한 인식도조사와 길거리 음식 섭취실태 조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7. Azadbakht L, Mirniran P, Esmaillzadeli A, Azizi F (2006) Dietary diversity scor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ehranjan adults. Public Health Nutr 9(6), 728-36. 

  18. Barba G, Russo P(2006) Dairy foods, dietary calcium and obesity: a short review of the evidence Nutr. Metab Cardiovase Dis 16(6), 445-451. 

  19. Ha TY, Kim HY, Kim YJ(1995)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J. Korean Soc. Food Nutr 24(1), 420-426. 

  20. Mickelborough TD, Forgarty A(2006) Dietary sodium intake and asthma: an emiological and clinical review. Int J Clin Prac 60(12), 1616-1624. 

  21. Niemeier HM, Raynor HA, Lloyd-Richardson EE, Rogers ML, Wing RR(2006) Fast food consumption and breakfast skipping predictors of weight gai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 Adolescence Health 39(6), 842-849. 

  22. Park YJ(2008) Facts of Understanding,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 Nutrition label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North of Gyeonggi-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23. Su LJ, Arab L(2006) Salad and raw vegetable consumption and nutritional status in the adult us population: result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Diet Assoc 106(9), 1394-1404. 

  24. Won HR(2003) A study of the college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attitude by comparing thoe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major students and tho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students. The Korean J. of Community Living Sci. 14(3), 47-57. 

  25. Yoon HS, Choi YS(2002)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health consciousness and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of eli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Korean J Nutr 35(3), 368-379. 

  26. Yoon HS, Choi Y, Lee KH(2003) Eval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nurse working in Kyungnam area. The Korean J Nutr 36(3), 306-318. 

  27. Zarkin GA, Dean N, Nauskopf JA, Willians R(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i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83, 717-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